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올리브영 및 해당 직무에 지원한 동기는 무엇인가요? 관심 갖게 된 계기를 반드시 포함여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1000자)
올리브영은 드럭스토어라는 개념을 널리 퍼트린 회사입니다. 한국에서는 드럭스토어를 약국이라고 배웁니다. 그렇지만 실제 영어권 국가에서의 드럭스토어는 약국이라기보다는 헬스케어 잡화점 정도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아준 기업이 CJ 올리브영입니다. 올리브영을 필두로 기타 회사들의 드럭스토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접근성과 다양성]
전국에 400여개의 매장이 있어서 어디에서든지 올리브영을 찾을 수 있습니다. 헬스와 뷰티 상품 면에서는 편의점보다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기 남녀노소 모두의 발길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화장품은 기본이고 고데기를 비롯한 미용 기구, 간식류까지 다양한 품목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성 고객이 많기는 하지만 올리브영의 고객층은 여성만을 타겟팅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루밍족 및 비교적 뷰티에 관심이 적은 남성들을 위한 헤어 제품, 면도기 등의 구색도 갖추고 있습니다. 꾸미는 용품뿐만 아니라 기름종이, 핸드크림, 치약칫솔, 성인 용품 등도 취급함으로써 다양성이라는 유리함을 가지고 있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군마트 Manager]
2년간 월매출 1억 3천만 원 가량의 군마트를 운영하며 저의 매장을 가지고 싶다는 꿈을 키웠습니다. 병사 신분이었지만 간부의 역할은 대외적인 업무와 관리이고, 매장 내부의 일은 온전히 저의 일이었습니다. 헬스와 뷰티 상품도 있었지만 군부대 마트 특성상 식품 위주의 품목군 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유통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판매, 진열의 기본적인 업무부터 발주, 재고조사, 판매전략, 이벤트 기획 등 매출과 관련된 계획도 세워보았습니다. 2년간 마트를 운영하면서 작은 변화만으로 매출의 상승을 이루기도 하였고, 행사 기획으로 고객의 호응을 얻기도 하였습니다.
비록 헬스, 뷰티 상품을 위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마트를 운영한 경험은 Store Manager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장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2. 대학 또는 단체 생활 중 책임자 또는 리더로서 운영이나 관리 책임의 경험이 있다면 사례를 적어주시고, 그 기간 중 구성원과 갈등이 있었다면 어떻게 풀었는지, 갈등이 없었다면 그것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세요. (1000자)
군마트를 운영하던 2년동안 3가지의 변화를 주었습니다.
[진열 방식 변경=손실액 50% 감소+매출, 발주량 상승]
처음에는 냉장고에 규칙 없이 채워 넣기만 했습니다. 고객의 선택을 쉽게 하고 외관상 정돈되고 통일성 있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각 냉장고당 탄산음료, 유제품, 주스 등 진열 품목을 정했습니다. 가장 아래부터 차례대로 1.5L, 500ml PET, 캔을 진열했습니다.
한 달 단위로 평가를 하는 군마트에서는 손실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출 상승에 가장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월 1회 재고조사 시 월매출의 0.4% 정도인 50만원이 손실액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손실액의 원인을 분석했고, 아이스크림과 냉동식품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칸막이를 설치하면 냉동고의 상품 파손이 없어질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유리 칸막이를 설치를 설치 한 후, 상품 파손이 줄었고, 진열 및 정돈이 용이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