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합격 자소서

기아 / 품질 / 2016 하반기

성균관대학교 / 화학공학 / 학점 3.61 / 토익 875, 토스 160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번. 여러분은왜 “기아인”이 되고 싶으신가요? (다음 사항을 포함해서 작성해 주세요.) ①”기아” 또는 “자동차” 관련 특별한 경험이나 인연 ② “기아인”이 본인에게 주는 의미 (1800/2000자) [송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 2014년한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카레이싱에 대해 방영한 적이 있습니다.TV 화면으로만 봐도 숨막히고 박진감 넘치는 카레이싱에 끌려 저는 당해 카레이싱 대회인KSF(Korea Speed Festival)를 관람하기 위해 인천 송도로 갔습니다. 그곳에서레이싱카 박람회와 운전 및 정비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 등에 참석하고 카레이싱을 바로 눈 앞에서 즐길 수 있었습니다. 자동차의 엄청난 속도를 현장에서 직접 보니 저 또한 레이싱카를 타고 달리는 선수들처럼 매우 흥분됐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흥분도 잠시, 송도 경기장이 도심 속 경기장인 만큼중간중간 크고 작은 접촉사고에서부터 차량이 도저히 움직일 수 없을 만큼의 큰 파손사고까지 많은 사고가 있었습니다.당시 출전한 150대의 차량 중에서 무려 40대이상의 차량이 파손사고를 겪었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그 사고들을 눈 앞에서 직접 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자동차를 더 빠르면서도 더 튼튼하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을까? 그렇기에 자연스럽게 신차가 양산되기 전에 안전 등 여러 부분에서 고장 없는 차량 품질을 구현하는 품질 직무에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도전할 수 있는 기회] 도전이란무엇일까요? 아무런 대책도 없이 일단 지르고 보는 것을 도전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도전이란 막연한 것이 아닌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을 갖고 행동하는 제가 도전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그역량을 마음껏 발휘하여 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곳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기아자동차는 2016년 시장조사업체 JDPA의 차량 초기품질지수(IQS)에서 전체 33개의 브랜드 중 1위에 올랐습니다. IQS에서 전체1위를 달성한 것은 1994년 미국 진출 이래 처음이며 한국 브랜드로도 사상 첫 쾌거입니다. 같은 JDPA에서 조사한 차량 내구품질지수(VDS)는 지난해보다 4계단 오른17위에 올랐습니다. 이 두 가지 지수를 통해 기아자동차가 소비자들에게 우수한 품질의 차량을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고 도전을 위한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아자동차는고객을 위해 혁신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고객과 소통하기 위해 자동차뿐만 아니라 서비스에도 총력을 다하는 등 다양한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 예로 기아자동차는 카카오와 협력하여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빠르게 수렴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피드백이 가능한소통 채널 ‘K플라자’를 오픈 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의견에 단순히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 고객의 의견을 제품 및 서비스에 적극 반영한다는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자동차용 T맵 서비스 ‘기아 T맵’을 국내 최초로개발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이용하던 실시간 내비게이션 ‘T맵’을 차량의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아 T맵’은 고객들에게 차 안에서 ‘T맵’을 좀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기아자동차에서는창의, 소통, 도전을 중요시하고 있고 그룹의 핵심가치를 바탕으로기아만의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기아인”이라 부릅니다. 제가 생각하는 “기아인” 또한이와 일맥상통합니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창의와 소통을 통해 도전할 수 있는 자리, 그것이 바로 “기아인”의자리입니다. 저는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자리인 “기아인”의 자리에서 기아자동차와 함께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도전을 하여 회사의 비전을 달성하고 제 자신의 가치를인정받고자 하는 저의 비전 또한 달성할 것입니다. 2번. 여러분을왜 “기아인”으로 선택해야 하나요? (지원하신 직무를 중심으로 작성해 주세요.) ① “기아인”이 될 수 있는 본인의 강점 또는 차별점 ② “기아인”으로서 본인이 생각하는 Career Path (999/1000자) [품질에 품질을 더하다] 저는품질 분야에서 기아자동차가 현재의 우수한 품질 경쟁력을 더욱 높이는데 도움을 보태고 싶습니다. 품질의여러 업무 중 제가 관심 있는 신차품질은 개발단계 차량 및 양산 전 신차의 품질 확보를 담당하는 직무로서 차체,의장, 샤시 등 각 부분에서 고장 없는 차량 품질을 구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동차 사고율로 1위입니다. 사고율이 높으면 그에 따른 사상자 수도 많아질 수 있기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책임질 자동차의 품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개념 CEO] 완벽한품질을 위해서는 차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부품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부품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에 대해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환경 및 경제를 중요시하는 사회상에맞춰 자동차에도 철보다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화학공학과에 진학한 만큼, 그 핵심과목인 고분자와 소재 관련 과목을 모두 들어서 플라스틱의 성질에 대해 누구보다 자세히 알고 있습니다. 품질은여러 팀과의 교류가 필요한 직무입니다. 때문에 개발단계 차량이나 양산 전 신차의 완벽한 품질 확보를위해 연구개발, 생산기술 및 현장 근로자들과의 소통을 통한 협력이 가장 중요하고 그에 따라 훌륭한 리더를필요로 합니다. 저는 팀의 앞에 서서 남들 눈에 많이 띄는 역할을 하는 카리스마 리더는 아닙니다. 하지만 팀의 뒤에서 팀원들을 밀어주고 받쳐주는 서번트 리더로서, 서로간 신뢰를 형성시켜 팀원들의 성장 및 발전을 돕고, 궁극적으로 조직성과를 달성하게 합니다. 저는제 자신을 CEO라고 생각합니다. 기존 의미의 CEO로서 필수로 갖고 있어야 하는 리더십과 새로운 의미의CEO(Chemical Engineer of Organic)로서의 역량을 모두 갖췄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CEO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미래에 기아자동차가 국내를 넘어 전세계 품질을 책임질 큰 범위의 CEO가 되는데 이바지하겠습니다. 3번. 여러분은어떤 선택을 하실 건가요? – 당신은 현재 내년초 대리승진이 확정적입니다. 대리승진 후에는 상당 부분의 의사결정 권한과 폭넓은 업무경험으로 해당 직무 전문가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 마침 당신이 꼭 가고 싶었던 국가의 해외전문가 교육과정 공모가 진행 중입니다. 6개월 교육 후 최종 선발을 하는데 최종 선발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해당교육과정에 참여할 경우 승진이 불투명해 진다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493/500자) [우물 안 개구리, 우물 밖 호랑이]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제 꿈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목표를 뛰어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저는 해외전문가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도전하겠습니다. 안정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도전을 하는 것이 저의 직무뿐만 아니라 회사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물 안 개구리’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국내라는 좁은 우물에 갇혀 해외라는 더 큰 세상을 경험해보지 못한다면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시대에 적응할수 없고 결국은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해 완벽하게 준비해서치열한 경쟁을 이겨내고 해외로 나가면 국내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 후 이를 알맞게 개선하여 적용한다면 기아자동차가 국내를 뛰어넘어 우수한 해외 시장 경쟁력을 가지는데 도움이될 것입니다. 야생의 왕 호랑이처럼 기아자동차가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