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합격 자소서

CJ ENM / E&M부문 디지털콘텐츠 제작PD / 2018 하반기

수도권 4년 / 영상 / 학점 3점 중반대 / 토익 700 / 직무와 별로 상관없는 봉사활동 40시간, 공모전 1개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시사프로젝트_스포츠조선_[LG생건/올영/토니모리]뷰티 3대장 직무스펙 한번에, 뷰티메이저기업 신입 상시인재 발굴 프로젝트_250328 자만검 배너 이미지


-필수 기존 방송콘텐츠와 디지털콘텐츠를 비교해보고,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1,000자 이내) 기존 방송콘텐츠와 디지털콘텐츠의 가장 큰 차이는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컨텐츠는 어떤 연령층과 어떤 타겟을 위한 것인지 시청자에 따라 모든 점이 좌지우지 됩니다. 그렇기에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시청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이 곧 컨텐츠의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콘텐츠가 각광을 받고 부각을 드러낸 점은 이점에서 시청자와의 빠른 피드백을 갖추었기 때문입니다. 방송컨텐츠는 주로 일방형적 구조를 벗어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생방송이 아닌한 한 방송이 끝난 후에야 시청자의 피드백이 오갈 수 있고 또 피드백을 바로 반영하는 방식이 아닌 방송의 여러 구조와 단계를 거쳐야만 하는 한계 때문에 즉각적인 시청자와의 피드백보다는 참고 수준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예로, 예전의 포켓몬고라는 게임이 엄청난 유행이였습니다. 한창 유행일때 모든 sns와 디지털컨텐츠에서 포켓몬고를 다뤘었고, 유행이 사그라지기 시작 할때쯤 방송컨텐츠에서 포켓몬고를 다루는 모습을 보며 두 콘텐츠에서의 확연한 속도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