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Q1.[My Story] 자신의 성장과정 및 개인 특성, 장점 중심으로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Guide> 성장과정, 본인의 특성 및 성격(장단점)을 자유롭게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BTU 박사]
이해가 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탐구해서 답을 알아내야 직성이 풀렸습니다. 단위변환에 대해 처음 배울 때 1BTU = 1055J의 이유에 대해 궁금해서 한 학기 동안 고민한 경험이 있습니다. 답을 알아내기 위해 BTU와 J을 구성하는 단위들을 변환해 보았지만 1055라는 숫자를 얻어낼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BTU의 정의를 분석하면서 열량식 Q=cmT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한 학기 내내 BTU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다니는 저를 보고 친구들은 BTU에 대해 논문 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웃었고, 심지어는 ‘BTU 박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끊임없이 탐구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연결고리]
팀원들과의 소통과 경험의 가치를 알고 있습니다.
종합설계 수업에서 한 제약회사의 공장신축 허가를 받기 위해 시청을 설득할 방안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시청에서는 신축공사를 하는 공장부지 주변에 경전철 건설이 계획되어 더 이상의 신축을 허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원들은 경전철 건설 이후의 공장 이전문제와 그에 따른 보상금 지급 문제를 신축 불허가의 원인으로 생각하고 이전에 유리한 modular type의 공장으로 건설하여 시청을 설득하자고 제시했습니다. 저는 교양으로 들었던 법의 이해 수업을 바탕으로 제약회사와 비슷한 상황의 판례를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사이트에서 찾아보았고 판례를 통해서 시청에서 신축을 허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자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조원들은 앞서 토의한 결과들을 포기하기에는 아깝다고 생각해서 둘을 합쳐 서희의 외교담판 이야기에 대입하여 발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발표 결과 아이디어가 좋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종합설계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조원들의 의견을 수용했으면 뻔한 답변이 될 수 있었고, 저의 의견을 고집했다면 설득이 아니게 되었을 것을 소통을 통해서 적절한 연결고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Q2.[My Competency] 관심분야 및 희망직무 중심으로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Guide> 관심분야 및 직무에 관련된 경험, 역량, 개인의 목표 및 비전 등을 자유롭게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500자)
[고부가가치 제품 전문가]
대학교 3학년에 학교에서 대산석유화학단지의 LG화학으로 산업시찰을 갔습니다. LG화학 대산공장의 업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고 버스를 타고 둘러본 PP, PVC 공정을 통해서 생산기술 직무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후 석유 및 정밀화학 수업에서 원유로부터 출발해서 6가지 기초유분과 석유화학중간제품을 거쳐 석유화학제품이 생산되는 downstream 공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또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확인하기 위해 화공기사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공정에서 수율은 중요합니다. 수율의 증가는 생산성의 증대를 통한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유가나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는 석유화학산업이지만 SAP, ABS, 엘라스토머 등 고부가가치 제품은 쉽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저는 증설 중인 엘라스토머 공정의 수율 증대를 통해서 세계 1위 LG화학으로의 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