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본인이 지원한 직무관련 지원동기와 역량
[친환경 기술: 에너지 하베스팅]
친환경 기술인 에너지 하베스팅이 대두되는 요즘 ○○연구원에서 무선통신 온도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해당 위치의 온도를 확인하여 RF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을 하여 컴퓨터로 실시간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전기력에 흐르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획득 함으로써 전력공급이 필요가 없으며 전기력선이 있는 어느곳에서 든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저비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력공급이 필요없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이용하여 저비용 고효율 회로설계의 선구자가 되겠습니다.
[기본적인 실수로 더해진 꼼꼼함]
고전력을 필요로한 무선통신 혹은 방송통신에 필요한 전력결합기를 설계 후 제작을 하였습니다. EM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설계 였기 때문에 제작한 제품은 시뮬레이션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와 회로를 쓸 수가 없었습니다. 차근히 다시 회로를 살핀결과 가장 기본적인 문제였던 GND 연결을 layout상에서 하지 않은 것 입니다. 회로를 다시 제작하면 약 1주일 이상의 시간을 낭비하게 되어 고민을 하던 중 PCB의 패턴을 'ㄷ'형식으로 바꾸었더니 GND가 연결이 되어 회로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였습니다. 이후로 다시 실수하지 않도록 가장 기본적인 문제인 layout을 제일먼저 꼼꼼히 살피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2. 향후계획
[고전력과의 융합]
소형화 회로를 만들기 위하여 정합특성이 내장된 전력결합기를 만들어 RF회로에 적용할 것입니다. 고전력이 필요한 방송통신, 마이크로웨이브 무선통신에서는 고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더해주는 전력결합기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전력결합기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정합이 되야 하므로 전체 회로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정합특성이 내장되어있는 전력결합기는 출력정합회로의 크기만큼 사이즈가 소형화 됩니다. 뜬 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니며 이미 정합특성이 내장된 전력결합기를 설계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RF 회로를 소형화하여 세계시장의 LG전자의 경쟁력을 다시한번 보여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