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본인만의 차별화된 강점과 이 강점을 활용하여 어떻게 “기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작성해주세요.
- 직무역량 외의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해 주세요. (최대 700자 이내로 작성)
0/700자
[먼저 해라. 따라올 것이다.]
옛말에 군자는 말보다 행동을 먼저하고 행동에 말을 맞춘다고 합니다. 저는 스스로의 실천을 토대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 신뢰성을 가져오는 의사소통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부시절 디지털 논리회로 실험을 수강하면서 4인1조로 term project를 진행하였습니다. 논리회로에서 배운 gate와 레지스터/카운터 등의 IC칩으로 슬롯머신의 전자회로설계하고 직접 구현하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전공시험과 겹치면서 팀원들이 프로젝트에 소원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저는 시험과 프로젝트 모두 성공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먼저 수행하자고 설득해야 했고, 효과적으로 팀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선행(先行)을 실천하였습니다. 참여를 독촉하기보다는 선행의 결과를 알리고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하자 조원들도 성취 욕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조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빠른 프로젝트 진행뿐만 아니라 20개의 팀 중에서 3위의 성적으로 좋은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원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행동이 먼저 선행되어야 된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교훈을 꾸준히 실천하여 KIA자동차 어느 부서에서도 ‘먼저 행동하여 남에게 동기부여를 주는’ 사원이 되겠습니다.
지원 직무를 중심으로 아래 항목에 대해 작성해주세요.
①지원 분야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비전은 무엇입니까?
②지원 분야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 (최대 900자 이내로 작성)
[Need IT innovation...Why?]
과학기술의 급격한 변화를 타고 글로벌 경쟁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생산체계는 기업간 또는 생산라인간의 One way Communication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문제가 꾸준히 대두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기술발전으로 real-time 정보공유가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서 앞으로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한 물류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또한 효율적인 물류관리뿐만 아니라 생산라인 내에서 IoT 모니터링을 통하여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지고, 당면한 문제를 네트워크에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사람들이 문제해결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대학시절부터 소비자가 얻게 되는 상품을 직접 만드는 생산 현장에 관심으로 해당 직무의 역량을 기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전공으로 전자회로, 공학수학 등 기초과목과 통신, 제어, 임베디드 시스템 등의 교과목을 수강하였습니다. 특히 통신과목을 듣고 IoT에 대한 관심이 생겨 공학설계과제 과목에서 Lora모듈을 직접 사용해 보았습니다. 또한 Lora모듈을 구매하여 화분관리시스템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앞으로는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조직원간의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해질 것입니다. 저는 의사소통역량을 위해 격주로 독서토론모임에 참석하여 여러 사람들과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통해 소수의견이 다수의견으로 변화는 과정과 어떤 의사소통방식이 유용할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회자 역할을 하며 대화의 흐름을 알게 되었고 공놀이를 하듯 자연스럽게 대화를 진행하는 버릇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의사소통역량과 지식을 가진 I형 인재로써 기아자동차 생산현장에서 Global NO.1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겠습니다.
0/900자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경험과 그 경험이 인생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작성해주세요. (최대 700자 이내로 작성)
[협력은 필수]
대학시절 공학설계과제를 수강하며 센서 네트워크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스스로 Zigbee, Lora, BLE등 다양한 통신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고 Lora를 이용하여 수분/온도센서를 통신하는 농업 하우스용 네트워크를 구현하려고 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심화 지식의 부족이었습니다. 다양한 통신 모듈을 조사하면서 어떤 스펙에 집중해야 하는지 알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 모듈을 조사해서 리스트를 뽑아 무작정 대학원 선배를 찾아갔습니다. 그리고 하나씩 물어보았습니다. 선배의 도움과 적극적인 태도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로는 전문가의 부족이었습니다. 저는 단순한 네트워크를 넘어 현재 상용되고 있는 네스트사의 온도계와 같이 사용자의 습관을 학습해 관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딥 러닝과 같은 또 다른 분야의 지식이 부족하였고, 처음의 목표를 하향 수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비록 처음 계획했던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는 실패하였지만 실패를 통하여 배운 것이 많았습니다. 최첨단 기술은 여러 분야의 융합으로 인해 협업이 필수라는 점입니다. 그 이후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지식과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KIA자동차의 생산부문에서 뛰어난 성과를 만들어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