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top 50 / 경영학과 / 학점 3.2 / 오픽 IH / 인턴3, 학술 공모전 1, 수상 3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
새창
목록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대한민국의 성장은 곧 멈추나]
한국은행은 2016년7월 14일 2016년국내총생산 성장률을 2.7%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최근발표된 ‘2017년 한국 경제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내년 경제 잠재성장률은 2.6%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주열한국은행 총재는 그 이유로 수출부진, 내수위축 등 이미 구조적인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된데다 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00년대4%에서 2010년대 초반3%까지 떨어졌고 현재는 2%대까지 떨어진 것입니다. 이러한저성장 기조가 유지된다면 우리나라는 과거 일본과 같은 장기 불황에 빠질 것입니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동력이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활발한 투자를 통해 기술과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해주어야합니다.
하지만 잠재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세제, 노동, 산업, 부동산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제도적 규제로 인해 이러한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조적 변화가 없는 확장적 재정, 통화정책의 파급력은 잠재성장률의저하로 인해 지금보다 약해지게 될 것입니다.
삼성그룹은 이러한 저성장 기조에 비교적 대비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투자와 해외 매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해외 매출 중 경제 성장률이 높은 신흥국의 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국내의 구조적인개혁과 삼성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술혁신을 위한 투자를 지속해 나가며 정부의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SERI 경제연구소 등을 통해 도움을 주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