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여러분이 CJ올리브네트웍스 IT사업 부문과 해당 직무를 지원한 동기는 무엇인가요?
① CJ올리브네트웍스 IT사업 부문이 아니면 안되는 이유, ② 직무에 관심갖게 된 계기, ③ 본인이 직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이유(본인의 강점, 노력, 경험 등에 근거)를 반드시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1,000자 이내)
[클라우드 전문가라는 꿈을 CJ에서 이루겠습니다.]
저는 CJ올리브네트웍스를 통해 클라우드 전문가가 되고 싶어 이렇게 지원하였습니다. 저는 평소 IT 신기술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 새로운 기술과 최근 기술 동향에 대해 조사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클라우드 기술을 조사하던 중 클라우드에 가능성과 매력을 알게 되었고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클라우드 기술에 좀 더 자세히 알고자 이번 여름에 SK C&C에서 하는 Cloud 인턴십에 참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Cloud PaaS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모니터링 분석 업무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Cloud 상에서 SW를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한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PaaS 인프라를 직접 구축함으로써 Cloud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PaasS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구축 과정 중 발생하는 에러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시스템 운영 능력도 기를 수 있었습니다. Cloud에서 사용되는 Redis DB서비스의 모니터링 작업과 PaaS위에 샘플 앱을 배포하는 작업을 통해 Cloud 서비스에 대해 이해와 오픈 소스 활용 능력도 기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량은 클라우드 운영 직무에 있어 빠른 실무 투입과 적응이라는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CJ 전 그룹의 시스템을 관리함으로써 최고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회사라면 분명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전문가라는 저의 꿈을 이 회사에서 이룰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망설임 없이 지원하였습니다.
여러분이 경험한 IT와 관련된 가장 의미있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세요.
①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한 이유, ② 해당 사례에서 노력한 과정과 결과, ③ 해당 경험이 입사 후 기여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작성해 주세요.(1,500자 이내)
[책임감을 배우다]
작년 여름, SK플래닛에서 주최한 런쳐 서비스 앱 공모전에 참가했습니다. 후배 한 명과 졸업 전에 재미있는 앱을 한 번 만들어보자며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매일 다른 영화, 음악, 책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가 고민 없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상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생각지 못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갑작스럽게 후배의 할아버지께서 위독하시게 되어 후배의 참여가 어려워진 것입니다. 결국, 저는 혼자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습니다. 처음 세웠던 계획을 모두 변경하고 다시 시작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다시 시작하기가 두려웠습니다. 그러나 저는 저 혼자서라도 제가 하기로 결심한 일을 책임감을 가지고 끝까지 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작은 성과라도 꼭 성취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용기를 내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혼자 여러 밤을 새워가며 작업을 진행했고, 작업 중 풀리지 않는 어려움은 SK플래닛의 개발팀에 자문을 구하며 프로젝트를 완성했습니다. 그 결과, 장려상이라는 기쁜 결실을 맺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 공모전을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책임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입사 후, 이러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맡은 업무에 있어 책임있게 수행하며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회사생활을 이루겠습니다.
[창의적 발상을 배우다]
저는 IT-3S캡스톤 설계라는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하여 IT기술을 활용해 국한된 고정관념을 탈피해보려 하였습니다. 작년 여름 사회적 이슈 중 하나였던 것이 바로 메르스 사태였습니다. 정부 및 보건복지부의 미흡한 대응으로 여러 물의가 있기도 했던 당시 사건을 보면서,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손씻기를 통한 아이디어나 상품을 통해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는 것이 어떨까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팀원들과 얘기를 하던 중 인터넷 뉴스에서 우연히 교육용 손 세척 상품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UV램프에 특수 제작된 글리터버그라는 세제를 손에 묻히고 가져가면 손에 묻은 세균정도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제품이었습니다. 여기에 착안하여 단순한 학교의 연구나 교육용이 아닌 일반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화장실에 직접 설치한다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를 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30초 이상 손을 씻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띄워주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우리는 이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 발표했고, 교수님과 학생들의 좋은 평가를 받아 1등을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발상을 훈련할 수 있었습니다. 입사 후, 이를 토대로 맡은 업무에서 사고의 전환을 이루는 사원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