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Q)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협업 경험을 본인이 수행한 역할 중심으로 제시하고, 해당 경험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전달 능력 : 협업의 필수요소]
성공적인 업무 수행에는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Galaxy와 함께 하는 새로운 모바일 라이프 스타일 IDEA'공모전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통신 공부를 하면서 흥미를 느꼈던 주제인 NB-IoT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주제를 정했습니다. 기술적인 지식만으로는 공모전 진행이 힘들었기에 타 전공자들과 함께 협업했습니다.
저는 주로 기술적 지식 수집과 그 지식에 대한 전달을 담당했습니다. 동료들은 IT에 관한 배경지식이 없었기에 지식 전달이 필수적이었습니다. NB-IoT를 이해시키기 위하여 IoT가 어떤 방식으로 통신하는지와 IoT와 NB-IoT의 차이를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시를 통해 설명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NB-IoT의 장점을 부각한 원격 검침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PPT를 제작했고 UI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여 공모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지식을 아는 것과 그것을 전달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본인이 전문적인 지식을 잘 알고 있다고 하여도 협업하는 동료가 이해하지 못하면 업무 수행에 차질이 생깁니다. IT컨설팅/수행 직무는 IT에 관한 지식을 비전문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이러한 역량을 토대로 kt 내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소통하며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Q) 도전적인 목표를 가지고 실행하여 성공 혹은 실패한 경험과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새로운 분야로의 도전]
3학년 동계방학 때부터 교내 음성인식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으로 각종 프로젝트에 참가하였습니다. 특히 DNN 구조에 관한 공부를 하며 'Keyword Spotting'이라는 개인 과제를 시도해본 적이 있습니다. 배경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오직 논문 하나만 바라보고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이었습니다. 일주일 동안 아무런 진척이 없어 연구실 선배들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그리하여 주요 키워드의 의미를 알게 되었고 참조할만한 논문과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온라인 공개수업을 활용하여 딥러닝에 관한 공부를 진행하면서 음성 feature 특성과 DNN 구조에 대하여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알맞은 feature 선정과 신경망 모델링을 할 수 있었고 한 달 동안 과제에 매달린 결과 6가지 키워드를 약 83%의 확률로 분류해 낼 수 있는 분류기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기초가 거의 없었지만, 자발적인 의지를 갖추고 여러 방면으로 과제에 도전한 결과 스스로 간단한 형태의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분야에 대해 도전한 경험을 통해 이후 데이터 분석에 관한 분야를 접했을 때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kt에서도 신기술에 관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