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당사에 지원한 동기를 간략하게 밝히고, 본인이 지원한 부문에서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600자 이하)
[임베디드 분야에서의 성장]
회사를 선택할 때 중요한 요소는 전문성과 성장 가능성입니다. 이타스는 다른 기업과 달리 오직 자동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 때문에, 자동차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타스 코리아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평소 흥미 있던 분야인 자동차 제어 분야에서 큰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지원하였습니다.
차량 제어기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제 노력과 관심이 엔지니어링 솔루션 부문에서의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차량 제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자동제어 , 프로그래밍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수강하여 기초를 다졌고 ECU를 양산하는 데 필요한 규격인 AUTOSAR 와 ISO26262를 공부하였습니다. 또한 배운 이론들을 접목하여 ADAS기능인 ACC&AEB 시스템을 설계하고, MATLAB에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통해 MILS 환경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차량 제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을 통해 이타스 코리아에서 LABCAR 개발업무에 보탬이 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2. 지금까지 겪었던 모든 경험 중에서 가장 큰 성취감을 느꼈던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00자 이하)
[주도적으로 해낸 공모전]
주도적으로 팀을 만들고 공모전에 참가해 수상한 경험이 있습니다. 미세먼지 센서와 빗물 센서를 통해 센서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버스 창문을 설계하여 공모전에 출품하였습니다. 또한 필요 시에 기사님이 창문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여기서 저의 역할은 팀장 및 모터제어업무였습니다.
제작품을 만드는 과정중에 가장 큰 문제는 모터제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모터가 센서에 의해 돌아가는 시간에 약 2초정도의 딜레이가 발생하였고 앱의 버튼을 눌렀을 때는 3초정도의 딜레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시간에 배운 PID 제어기를 설계하였습니다. 우선 제어에 필요한 모터의 사양을 조사한 후, SIMULINK를 통해 필요한 값들을 도출 하였습니다. 그 결과, 센서를 통한 딜레이를 0.8초 , 앱을 통한 딜레이를 1초 이내로 줄일 수 있었고 제작품 완성 시간도 단축했습니다.
저희 작품은 약 80팀 중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처음에는 누구의 도움 없이 직접 모든 일을 결정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어려웠지만, 포기하지 않고 해낸 것이 가장 큰 성취감으로 이어졌습니다.
3. 지원하신 부문, 근무지에 관련하여 특별히 희망하는 점이 있으면 알려주시고, 회사서 이루고 싶은 자신의 포부를 밝혀주십시오. (600자 이하)
[제어 엔지니어로서의 성장]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 속에서 유연한 의사소통과 개개인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일을 하게 된다면 일의 능률이 올라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헷갈리거나 모르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확한 의사 표현을 통해 업무를 더 확실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업무와 관련된 회의에서 개개인의 의견이 존중된다면, 모두가 이해할만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고 때때로 개인의 한 의견이 훌륭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타스 코리아에서 자동차 제어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한층 더 성장시키고 싶습니다. 자동차 제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여러 가지 경험들을 하였지만, 현업을 직접 체험 해보는 것이 최고의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용 시뮬레이션인 LABCAR를 개발해봄으로써 기존의 경험과 지식에 더해, 현업에서만 배울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얻고 싶습니다. 끊임없이 배우면서도 제어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여 연구원님들의 업무에 보탬이 되는 인턴이 되고 싶습니다. 또한 개발 업무가 아닌 행정적인 업무 면에서도 꼼꼼한 모습을 지닌 엔지니어의 모습을 갖추겠습니다.
4. 그 외에 추가적인 사항이 있으시다면, 1장 이내로 아래의 란에 자유로운 형태로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글자수 제한 없음)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전에 해보지 않았던 일을 접하여 이뤄나가는 과정에서 저 자신이 성장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부 연구생을 진행하면서 센서 퓨전을 통해 디지털 트윈이라는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공모전에 출품한 적이 있습니다. 저의 업무는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을 담당하는 일을 하였습니다.
이 역할을 처음 맡았을 때 평소 수업시간에 볼 수 없었던 센서들과 프로그래밍 언어 , 툴 등 새로운 것을 접해야 했습니다. 수업시간에는 보통 C언어와 JAVA를 다루었지만 이 프로젝트에선 델파이라는 언어를 다뤄야 했고, UC/WIN Road라는 시뮬레이션 툴도 처음 접했습니다.
맡은 업무를 위해서 먼저 가상 시뮬레이션 기본 배경 지식 학습, SDK 분석, 델파이 언어 학습을 매일 3~4시간씩 하였습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배경을 익혔음에도 불구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은 델파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지만 센서는 C언어로 작성한 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성 및 실시간 통신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hared memory , TCP/IP 오픈소스 조사 및 적용 테스트 진행을 하여 실시간으로 차량과 시뮬레이션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하였습니다.
GPS에서 사용하는 위도, 경도 값과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쓰이는 값이 달라 변환해주어야 하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github을 통해 프로젝트와 관련된 코드들을 수집하고, 랩실에 문의를 하여 코드를 작성하여 해결하였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해나가면서 프로젝트를 완성하였고 한국 자동차 공학회에서 주최하는 대회에서 수상하였습니다. 이 과정들 속에서 자신감과 새로운 도전에 대한 흥미가 생기게 되었으며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LABCAR 개발 과정에서도 전혀 해보지 않았던 업무들을 줬을 때 해결해내는 모습을 보여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