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본인이 회사를 선택할 때의 기준은 무엇이며, 왜 현대자동차가 그 기준에 적합한지를 기술해 주십시오
[기업 = 비전 제시 + 혁신 완수]
석기시대가 돌이 부족해서 끝난 것이 아니듯이 모든 시대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라 바뀝니다. 따라서 기업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야하고 이를 완수할 Drive가 있어야 합니다. 현대자동차는 스마트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하고 다양한 협력사와 사업을 이끌던 노하우를 통해 비전 완수의 drive가 있는 기업입니다.
<스마트 모빌리티 비전>
현대자동차는 끊임없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완수하는 기업입니다.
MaaS 비전을 중심으로 차량과 서비스를 통합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과 고객과 차량이 직접 소통하며 실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사업 로드맵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차량 자체를 하나의 IT 제품이라는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수소자동차와 EV 그리고 나아가 UAM까지 모빌리티의 미래를 제시하고 이끌고 있습니다. 한발 빠른 개발 로드맵과 수행으로 최초의 양산형 수소차량 모델을 출시했고 EV모델 출시하여 모빌리티 전동화를 완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UAM 비전을 제시하며 더욱 큰 로드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는 고객에게 '이동경험' 이라는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키면서 현대자동차는 시대에 변화에 발빠르게 적응하고 완수하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입니다.
<협력사와 발전하는 기업>
종합상사의 인턴을 하며 스포츠 웨어러블 센서 신사업을 기획했습니다. 관련 기술력을 갖고 있는 스타트업 및 연구실을 찾으며 효과적인 협력이 가격적 비효율성을 타파하고 비즈니스를 현실화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유력한 협력사와 효율적인 파트너쉽을 통해 비즈니스 구축해야합니다. 현대자동차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협력사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상생가치를 통해 가격 효율성과 제품 경쟁력을 키웠습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는 앞으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격 효율화를 통해 제품 현실화까지 이끄는 Drive가 있는 기업입니다.
현대자동차 해당 직무 분야에 지원하게 된 이유와 선택 직무에 본인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이유 및 근거를 제시해 주십시오.
EV산업의 성장에 따라 SLB 기술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현대자동차 EV산업의 새로운 수익성과 자원 순환을 책임 질 SLB 사업에 대한 관심과 관련 사업 기획 경험이 있어 SLB 기술 개발 부서에 지원했습니다.
SLB 사업은 사용 후 배터리의 평가와 재활용 기술 개발을 위해 배터리 관련 전공지식과 2040년에 성장하는 사업 분야인만큼 사업 기획력이 필요합니다. 배터리 관련 전공수업과 종합상사 인턴으로 EV배터리 재활용 신사업 기획안을 작성해 관련분야의 전공지식과 사업 기획력를 키웠습니다.
[배터리 전공수업 및 연구경험]
에너지소재/고분자화학/신소재합성실험 전공과목을 통해 리튬이온배터리와 다양한 이차전지의 원리와 전해질과 인터칼레이션에 대한 매커니즘, SEI 박막으로 양극재에 쇼트를 일으키는 side-reaction을 억제하는 실질적인 공정방법부터 양극재/음극재/전해질의 재료와 케미스트리, 미세구조에 따른 특징과 전해질의 안정성 이슈를 공부했습니다. 또한, PVDF를 사용한 LIPB의 SEM, XRD를 Case study하여 높은 이온전도성과 화학적 안정성을 분석하고 LCO를 이용한 코인셀을 제작, 전기용량을 측정해 전기화학적 분석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LIB와 관련한 전공지식과 연구경험을 키웠습니다.
[종합상사 신사업 프로젝트]
EV용 이차전지의 재활용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재활용 벨류체인 구축" 신사업을 기획했습니다. 팀장을 맡아 업체별 배터리 재활용 기술력과 사업화 가능성을 분석했습니다. 민관 협력 제주 배터리 재활용 센터의 관리 및 제도적 미흡성을 확인해 'EPR 제도 도입 가능성에 따른 재활용 전문 서비스 제공자 포지셔닝'이라는 BM을 기획했습니다. 가정용 ESS 재사용 사업의 기술적 가능성도 분석했지만 배터리 규격 차이에 따른 안정성 문제로 배터리의 종착지인 재활용 사업을 기획했습니다. 또한 EV배터리 교체주기와 재활용 소재의 LME 연동에 따른 사업 예산을 짰습니다. 이를 통해 SLB 산업의 전반적인 이해와 포지션별 사업성을 분석했습니다.
주요 학습, 연구경력 및 세부전공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수행 프로젝트/연구경력 중심 기술)
※ 본 항목은 선택사항이므로, 희망자에 한해 작성해 주십시오.
[에너지소재공학]
LIB부터 LIPB까지 이차전지의 화학 반응메커니즘과 양극재/음극재/전해질의 미세구조와 케미스트리 설계에 따른 특성 등을 공부하였습니다. 전해질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과 해결방안, PVDF를 사용한 LIPB의 SEM, XRD 분석을 통한 이온전도성과 화학적, 물리적 안정성 분석을 했습니다. 또한, LCO를 이용한 하프셀을 제작하고 측정하여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분석을 배웠습니다.
[데이터 분석 및 예측 프로그래밍]
Python 프로그래밍과 웹크롤링, 통계 tool, 다변수 regression을 활용하여 MLB 사이영상 우승자 예측 프로그래밍을 제작했습니다.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개발]
학부연구생으로서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연구하여 수십 편의 해외논문 분석, 재료선정, 소자의 제작, AFM/XRD/XPS 분석을 하였습니다.
한국전력공사의 산학협력연구과제로 "아일랜드 형태를 이용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투명 태양전지"를 연구하여 한국진공학회 (2019. 12) 에서 "Sol-gel을 이용한 Co 도핑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포스터 발표에 참여했습니다.
습도에 안정적인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연구해 전지 효율을 5.36%까지 올리는 연구성과를 내고 SEM/XRD/XPS/AFM 측정으로 재료엔지니어링 매커니즘을 분석한 "세슘클로라이드 도핑된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 개선"에 대해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EV용 이차전지 재활용 신사업 구상 PJT]
종합상사 인턴으로 EV용 배터리 재활용 사업 구상안을 연구했습니다.
관련업체 및 연구실 인터뷰와 환경부 및 다양한 싱크탱크의 정책 리포트를 분석하여 EPR 제도 도입에 따른 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포지셔닝을 분석하고 자동차 및 배터리 OEM과의 협업 시나리오에 따른 BM을 제작했습니다.
LME에 연동된 재활용된 소재 가격과 EV 배터리 재활용 주기, EV 보급 대수 증가에 따른 사업 예산과 기대 수익 분석과 업체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JV 구상안을 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