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검색결과 34건

Copyright © Linkareer Inc. All Rights Reserved.

합격 자소서

LG디스플레이 / Mobile사업부 Panel공정 / 2021 상반기

서울시립대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학점 3.58 / 토익: 800, 토익스피킹: 140/레벨 6, 오픽: , 기타: / 사회생활 경험: / 한국사검정시험: , 컴퓨터활용능력: , 기타: 운전면허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자사_윈스펙_2차전지 자만검 배너 이미지


1. 지원 직무와 관련된 수강 과목 및 경험을 간략하게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학교수강교과목, 외부교육수강 이력, 프로젝트 경험 등을 제목/경험/성적(또는 성과) 등으로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교내 최초,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RRAM 제작 프로젝트> 교내 최초로 수행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RRAM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우선, E-beam evaporator, Parylene coater 장비로 하부전극로(Ti), 유기 절연체(Parylene C), 상부전극로(Cu)로 구성된 RRAM을 제작하였습니다. 또한, Probe Station으로 공정한 소자 특성을, KITE 분석기시스템으로 소자 Endurance, On-Off ratio를 측정하였습니다. 차세대반도체소자 연구 교수님과 소수정예로 진행하며 배우는 것이 많았으며, 세미나가 끝난 후에도 팀원들과 공정법을 변경해보며 소자 특성과 성능을 개선했던 순간이 기억에 남습니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공정 실습 수료> 대학 심화전공과정 후,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주관 반도체 공정 실습을 수료했습니다. Cleanroom에서 6인치 Si wafer위에 세정, 이온주입, 산화, 금속, 사진, 식각 공정을 거쳐 MOS Capacitor를 제작했습니다. 또한 Probe Station, Ellipsometer, 4-point probe를 이용하여 각 공정 결과에 대한 박막특성, wafer의 면저항과 제작된 소자 C-V특성을 측정해보았으며, 결과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며 불량 유무 검사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며 공정에 대한 실질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반도체 과목 수강, 한국반도체기술교육원 Clean Room구조와 8대공정 강의> 대학에서 고체전자물리, 반도체소자 과목을 수강하며 반도체 소자 물성 이해도와 물리∙화학적 특성 관련 지식을 충실히 쌓았습니다. 또한 전자회로와 집적회로설계 과목에서의 SPICE Tool 시뮬레이션으로 데이터 분석력을 길렀고 융합반도체기술과 집적회로공정을 통해 반도체 공정 flow 및 소자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이후 한국반도체기술교육원 주관 반도체 공정기초 및 양산설비부터 Cleanroom 구조와 8대공정 강의로, 공정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었습니다. 2. 지원 직무 수행과 연계한 본인만의 경쟁력 및 강점을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세상에 없는 것은 머리 속에 있습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RRAM 제작 프로젝트에서 많은 문제들에 맞닥뜨렸습니다. 소자 개선을 위해 진행한 3번의 공정 중, 첫 공정에서는 Deposit Rate가 일정하지 않아 Crack형태의 Defect가 발생하여 Recipe 수정을 통해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공정에서는 절연체로 사용한 Parylene C 물질의 금속과의 접착력 문제가 생겨 Adhesion Promoter용액으로 개선했으며, 마지막, Mask align Metal 증착 공정을 통해 소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Probe tipping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문제를 예방했습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소자 전용판에 있었습니다. 이에 절연층 Parylene C 증착 시 소자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사방에 둘러쌓이게 증착해 금속과의 결합력을 개선한 논문을 떠올려, 소자를 올려놓는 판의 바닥에 압정을 고정하고 그 위에 소자를 올려 공정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 방식은 불안했고 결국 판을 옮기는 과정에서 소자가 떨어졌습니다. 평소 문제가 생기면 좌절보다 새로운 해결책을 생각하는 저는, 과거 접한 3D프린팅 기술 접목을 생각했습니다. 즉,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압정처럼 소자를 받쳐주면서도 칸막이를 두어 추락 위험이 없는 형태로 소자 전용 판을 만들되, Parylene C 증착 시 내부 온도가 120도 근처로 형성되는 특성을 고려해 녹는점이 200도 이상인 ABS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매우 좋은 제안이라며 제작을 컨펌하신 교수님 지도 아래, 소자가 흔들려도 떨어지지 않는 안정성과 한 번에 여러 개 소자를 넣고 빼는 편리성을 갖춘 판을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위와 같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배드민턴 중앙동아리 회장 경험으로 길러진 팀워크를 더해, LG디스플레이 OC 공정기술 팀에서 종합공정팀과의 소통을 통해 협력을 이끌어내겠습니다. 또한 수율과 불량률을 개선하고 생산 라인 최전방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는 엔지니어로 성장하겠습니다. 3. 지원 직무 관련 최근 Issue를 간략히 기술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OLED 초격차와 뉴노멀의 조건, 중소형 OLED 입지 확대와 POLED 집중> 최근 LG디스플레이는 LCD패널에서 OLED패널로의 전환이 이뤄지면서 TV, Mobile,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를 본격적으로 노리고 있으며, 차량용 OLED패널에서는 92.5%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세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은 20%로 1위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디스플레이의 뉴노멀을 위해 대형과 함께 중형과 소형에서도 입지를 굳건히 다질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삼성디스플레이가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중소형 OLED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선두에 있는 글로벌 협력업체를 발굴하고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성전자가 입지를 다져 나가고 있는 ‘폴더블폰’ 경쟁에 애플이 뛰어들 계획을 갖고 있고, 이 경쟁에 LG디스플레이의 OLED패널과 함께 뛰어들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기회를 꼭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선 전략적 제휴 방안을 고려해 상호 win-win 관계를 더 많이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OLED 산업은 협력관계를 잘 유지해야 더 많은 기업으로부터 위탁 받을 수 있고, 이는 글로벌 시장으로의 기반을 잡는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둘째, 대형과 차량용 OLED 시장을 위해 POLED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자율주행 자동차와 5G가 보급화 되면서 곡선이 많은 차량 내부의 특성에 맞춘 POLED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향후 10년은 자율주행이 키워드가 될 것이고 코로나로 주춤했던 5G 보급도 가속화될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공정을 토대로 한 캐시카우를 바탕으로 최신공정에 대한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기업들에서 최신 제품을 위탁 받는 것. 승자 승 원칙이 적용되는 OLED 시장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입니다. 다가오는 OLED 슈퍼사이클을 맞아, 업계의 초격차를 이뤄내고, 뉴노멀 시대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함께 성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