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검색결과 8건

Copyright © Linkareer Inc. All Rights Reserved.

합격 자소서

네이버 / [지식베이스] 네이버 영화 서비스 개발 신입/경력사원 모집 - (신입) 네이버 영화 서비스 개발 / 2021 상반기

인하대 / 컴퓨터공학과 / 학점 3.36 / 토익: , 토익스피킹: , 오픽: IM2, 기타: / 사회생활 경험: / SW 마에스트로 / 한국사검정시험: , 컴퓨터활용능력: , 기타: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자사_윈스펙_바이오헬스 자만검 배너 이미지


자신이 개발자로서 성장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기술해 주세요. "항상 기록하고, 새로운 것을 두려워 하지 않는 개발자" 나날이 발전하는 개발 skill들 속에서 개발자에게 새로운 학습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유튜브 영상, 논문과 같은 양질의 자료들을 단순히 기억 속에 남기거나, 실습을 한두번 하는 것만으로는 온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 잊혀질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저의 성장을 기록해 이를 토대로 저의 부족한 점을 피드백 하는 등, 항상 성장하는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학생때 프로그래밍에 입문하고서부터 초보적인 부분이라도 제가 짠 코드를 기록하곤 하였습니다. 개발자는 글보다는 코드로 얘기한다고 생각해, 블로그보다는 github를 애용하였습니다. 다양한 알고리즘을 익히기 위해 백준 문제들을 풀고 이를 알고리즘 분류별로 github에 정리해 두곤 했습니다. Spring과 같은 웹 백엔드 skill들을 익히고 난 뒤 해커톤 등 팀 프로젝트 결과물 또한 github에 항상 기록하였습니다. 가끔 이를 되돌아보며 저의 행적에 대한 피드백과 앞으로 어떤 skill을 익혀야 하는지 계획을 수립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여러 코드들을 기록해왔지만, 앞으로는 이론적인 부분 역시 기록할 생각입니다. velog와 같은 블로그에 업무와 관련된 이론적 사항, 개인적인 공부 등 다양한 글을 올려 후배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선배 개발자들에게 피드백을 받아 모난 부분을 조금씩 개선시켜 나갈 생각입니다. 만일 Naver 영화 서비스 개발 팀에 합류한다면 여러 선배 개발자 분들하고 다양한 영화 서비스 개발을 할 것 같습니다. 개발을 수행하면서 배워야 하는 skill, 코드 리뷰를 통해 배운 Clean Code 등 여러 사항을 기록해 나가면서 선배 개발자 분들처럼 끊임없이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본인의 개발/프로젝트 경험들을 소개해주세요. 1.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챗봇, 앱 서비스 IITP에서 주관하는 sw마에스트로 10기에서 팀 '돌아가는 세상'의 팀장과 데이터 수집, 가공 파트를 맡았습니다. 저희 팀은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챗봇, 앱 서비스' 프로젝트를 2019년 6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진행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복지를 받을 수 있지만 해당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복지 혜택을 놓치는 사람들을 위해 시작하였습니다. 주요 기능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개인별 맞춤 복지 추천 서비스 입니다. 복지 추천은 사용자 정보와 복지 제도의 수혜 조건을 조합해 이루어집니다. 사용자 정보는 회원가입시 입력받습니다. 단, 복지 추천에 이름, 연락처 같이 필요없는 정보는 입력받지 않고, 성별, 나이, 거주지 등 복지의 수혜조건과 관련있는 정보만 입력받습니다. 복지 제도의 데이터는 복지로라는 공공기관 사이트에서 웹 크롤링(JSOUP, Spring)을 사용해 가져와 항목별(복지 제도의 이름, 수혜조건, 지원 규모, 기관 연락처 등)으로 나누어 MariaDB에 저장했습니다. 사용자와 매칭해 주기 위해 복지 수혜 조건에서 형태소 분석기(Konlpy)를 이용해 명사(실업자, 노인 등)와 나이 조건(n세 이상 등)등을 추려내 해당 복지의 테이블(복지 id를 FK로 만든)에 저장했습니다. 이렇게 추려낸 명사와 조건등을 사용자 개개인의 상황(연령, 성별, 장애여부 등)과 비교해 수혜 가능성이 높은 순서대로 복지 제도를 추천해줍니다. 두번째 기능인 챗봇은 제 담당은 아니었지만, 사용자와 서버 간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질문을 분석 후 이를 추려낸 명사와 조건 등과 비교해 가장 유사한 복지 제도들을 추천해주는 기능입니다.챗봇은 직접 구현하기에 시간이 촉박해 Google의 DialogFlow를 활용하였습니다. 이 두가지 기능 중 제가 주로 맡게 된 부분은 첫번째 기능으로, 복지 추천에 필수불가결한 복지 제도 정보 크롤링과 DB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기획 심사, 중간 평가 발표, 출원 신청 등 각종 사무적인 부분을 맡았습니다. 2.. 담배연기 탐지 & 미세먼지 농도 측청 가로등 2018년 9월~11월에 걸처 준비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주최의 아이디어 메이커톤에서 웹 솔루션 파트와 사진 전송 소켓 프로그래밍을 담당하였습니다. 프로젝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었는데, 가로등에 부착하는 하드웨어 부분과 이를 관리하는 웹 솔루션 입니다. 하드웨어 파트에서는 니코틴 감지 센서, 미세먼지 측정 센서 기반으로 사람 탐지를 위해 OpenCV도 사용하였습니다. 웹 솔루션은 JAVA Spring을 사용해 구축하였습니다. 기본적인 데이터 흐름은 가로등 아래에서 흡연자가 있을 경우, 니코틴 감지 센서로 이를 감지한 후 해당 가로등 아래를 촬영한 다음 해당 사진과 가로등의 번호를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에서 OpenCV를 사용해 해당 사진에서 몇명의 사람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DB에 사진과 함께 저장하는 구조입니다. 저는 웹 솔루션에 Naver Map API를 사용해 지도를 넣고, 각 가로등의 경도, 위도을 이용해 지도에 마커로 표기하였습니다. 마커를 클릭하면 최근 찍힌 사진과 인원 수, 미세먼지 농도, 대략적인 니코틴 농도를 볼 수 있게 웹 솔루션을 구축하였습니다. 3. 유권자들의 후보에 대한 선호도 조사 목적의 정치 커뮤니티 앱 서비스 2020년 1월~2월에 스타트업 “행복한 다람쥐단”에서 정치 커뮤니티 앱 서비스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2인 팀으로 진행하였는데, 저는 백엔드와 DB, café 24 호스팅 관련 업무를 맡았습니다. 기능은 다른 커뮤니티와 비슷하게 정당별 게시판, 댓글, 답글 CRUD등의 기본적인 기능과 회원들끼리 서로 모의 투표를 해볼 수 있는 모의 선거 서비스로 구성하였습니다. 프론트는 다른 팀원분이 react native로, 백엔드는 제가 평소에 사용하던 Spring으로 구현하고 관심이 있었던 RESTFUL API 방식을 적용해 구현하였습니다 . 가장 먼저 프론트 담당이 데이터 요청 형식을 손쉽게 보기 위해 swagger.ui, 데이터베이스 명세서 등 문서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crud 게시판, 소셜 회원가입과 같은 커뮤니티 기본 기능과 모의 선거 서비스와 같이 기획에 맞추어 개발하기 위해 요구사항 정의서를 명확히 작성하는 작업도 거쳤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crud 게시판, 댓글 같은 커뮤니티의 기본적인 기능들은 비교적 관련 자료들이 많아 구현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지만, 모의 선거와 이런 기능들을 restful 하게 구성하는 데는 처음이라 난항을 겪었습니다. 대표적으로 get, post, put, delete와 같은 http 메소드를 정확히 사용하기 위해 개발하면서 다시 한번 공부하곤 했습니다. 또한 uri에 정보의 자원을 표현하기 위해 프론트 개발자분과 상의하여 함수명이나 uri 호출 형식을 정하기도 하였습니다. 플레이 스토어에 릴리즈를 하지 않은 채 인턴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대량의 트래픽 요청이 들어온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나 실 사용자들의 피드백같은 사항은 알 수 없지만, 사내 직원분들(10~20명 가량)이 테스트 했을 때는 의도하였던 대로 작동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상 사용자 수가 약 1천 명 가량이기 때문에, 추후 보완 프로젝트로 로드 밸런서같이 대량의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