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개인의 성장과정 및 차별화된 강점 기술
[도전 - 12살 어린 나이 캐나다에서 홀로 살아가다]
저의 차별화된 강점은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실천하는 자세입니다. 관련 경험으로 12살의 어린 나이에 캐나다에서 혼자 생활하며 무사히 연수 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귀국했을 때입니다. 2002년 캐나다로 어머니와 함께 연수생활을 위해 처음으로 비행기를 탔습니다. 홈스테이 생활을 하였고 어머니는 한달 후에 한국으로 귀국하셨습니다. 결국 어린 나이에 혼자 외국에서 생활해야 했고 가장 큰 문제점은 상대방과의 영어 소통이었습니다. 12살까지 초등학교에서 배운 영어가 전부였고 외국인과 영어로 소통했던 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외국인과 소통하는 두려움을 떨치기 위해 매일 10명 이상의 사람들과 대화를 하고 처음 배우는 어휘들을 30개씩 공책에 작성하며 외우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습관이 생활화되며 한 달 후에는 외국인을 만나는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외국 생활에 금방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입사 후에도 처음 하는 일에 두려움을 가지지 않고 누구보다 빠르게 업무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2. KCC 지원동기 및 사내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
KCC은 글로벌 실리콘 기업인 모멘티브를 인수하며 최근에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저의 글로벌 역량을 살려서 이바지하고 싶기 때문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원하는 해외영업 직무가 미주, 동남아시아를 목표로 시장을 확대하며 친환경 제품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전세계가 환경 보호를 좀 더 민감하게 고려하고 최우선 목표로 생각하며 KCC도 이러한 목표를 추구한다고 판단되어 지원하였습니다.
입사 후 실리콘을 활용한 친환경 사업에 관심을 두며 사업 확장이 이바지하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 실리콘학회 사이트를 참고하여 최근 실라콘 사업의 이슈를 확인했습니다. 최근, 베트남을 대상으로 친환경 타이어 생산을 위해 나노 투과성 실리카와 나노분산필러를 계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자동차산업에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와 동시에 친환경 소재로 실리콘을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두가지 목표를 입사 후 성취하고 싶습니다.
3. 지원분야(직무) 준비한 과정 - 개인의 경험을 토대로 구체적 기술
[넝쿨째 갑자기 굴러온 벨기에 학생들]
해외출장 경험을 통해 돌발상황에 대해 슬기로운 대처 경험입니다. 관련 경험으로 00아카데미에서 인솔자 조교 역할로 중국의 00학교에 단기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총 40명 정원의 한국인 대학생들과 함께 중국에서 지내는 연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하지만 연수 첫째 날, 갑작스럽게 중국인 업무 담당자 분이 벨기에 학생들도 담당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원래 연수 프로그램이 사전에 신청한 학생들만 프로그램 참여에 가능했으며 벨기에 학생들에 대한 언급은 사전에 없었기 때문에 많이 당황스러웠습니다. 한국 학생들은 미리 연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지만 벨기에 학생들은 연수 프로그램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준비한 것은 매일 벨기에 학생들과 만나며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해줬습니다. 강의실, 과제 내용, 학교 근처 식당 및 가게 등 연수에 적응할 만한 것들을 알려줬고 궁금한 것에 대해 수시로 연락을 달라고 메신저와 이메일을 얘기해줬습니다. 덕분에 연수에 금방 적응하였으며 무사히 해외출장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4. KCC 인재상 중 자신에게 가장 부합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개인의 경험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술
[미션 - 논문심사에 합격할 것]
인재상 중 knowledge가 저에게 가장 부합합니다. 그 이유는 어떠한 일이나 업무라도 사전에 꼼꼼히 계획하고 연관된 지식을 파악하기 때문입니다. 관련 경험으로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당당하게 발표를 하고 긴장감을 떨쳤던 일이 있습니다. 대학원 졸업논문 심사 때 심사위원 교수님과 학과 학생들 앞에서 제 논문을 발표해야 했습니다. 평소 무대 공포증이 있고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하면 극도의 긴장감으로 손이 덜덜 떨리곤 했습니다. 그래서 논문 심사 대비를 위해 이전 학기 학생들의 논문 발표를 하나도 빠짐없이 참여했습니다. 논문 심사 때 오고가는 질문과 답변 그리고 심사를 받는 학생들의 반응과 말투 하나하나에 집중을 했습니다. 논문 심사 대비를 위해 최대한 논문심사 청강에 참여하고 사전에 준비를 하면 평소보다 덜 긴장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습니다. 이러한 준비 과정 덕분에 논문 심사 때 평소보다 덜 긴장할 수 있었고 심사위원 분들의 질문에도 대답을 잘할 수 있었으며 무사히 논문이 통과되며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배운 것은 저의 취약점 파악과 사전 준비과정의 중요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