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성장과정 및 개인특성
[목표를 향한 준비]
저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목표였던 배낭여행을 하기 위해 대학생이 되자마자 꾸준히 아르바이트해서 자금을 모았습니다. 35일 동안 유럽의 10개 나라를 여행하기로 정했으며, 날짜별로 스케줄과 버킷리스트를 만들어 여행했습니다. 처음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였으며, 스스로 이루기 위해 노력한 것이라 의미가 있었습니다. 배낭여행은 유럽에서 더 많은 경험을 하고 싶게 만들었고 교환학생이라는 목표가 생겼습니다. 학교에 유학 오는 외국인 교환학생 멘토링을 하면서, 친구들의 생활에 불편함이 없게 도와주고 한국 문화를 알려주며 영어로 말하는 것에 자신감을 가졌습니다. 이런 준비를 거쳐 교환학생에 지원한 후 유럽에서 1년 동안 교환학생을 하게 되었습니다.
[도전과 집요함]
미국의 화장품 유통회사에서 디지털 마케팅 인턴을 하며, 콘텐츠에 변화를 줘서 조회 수를 100배 늘렸습니다. 기존에 업로드된 콘텐츠는 단순히 상품 사진만 올라가 있어서 고객의 관심이 적었기 때문에 콘텐츠 구성에 변화를 줘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운영을 맡은 SNS 채널인 핀터레스트를 분석해서 사용자들이 모은 이미지가 구매로 연결되는 것이 강하다는 것과 시장조사를 통해 고객이 피부 관련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한 사진에 화장품의 사용 전, 후와 제품 사진을 함께 담아 한눈에 효과를 보여줘서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일을 진행할 때 이해를 하지 못하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집요함이 단점입니다. 단순히 암기하기보다,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계속 학습하고, 주변 사람에게 물어봐서 이해를 한 후에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의 업무는 기한이 있어서 이런 저의 집요함이 진행과정에 차질을 주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만의 마감 시간을 만들고 이를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제가 정한 마감 시간 전에 이해와 수행해야 하는 과제를 마쳐서 한 번도 과제나 프로젝트의 기한을 어긴 적이 없습니다.
2. 성공 및 실패사례
[사용자를 이해한 서비스 제공]
캐피탈 회사의 홈페이지 개선 프로젝트에 기획자로 참여해서 다양한 부서의 IT 서비스를 기획하며 웹과 모바일 화면을 설계했습니다. 고객사와 꾸준한 소통을 통해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정의했으며, 제작한 기획물에 대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퍼블리셔와 개발자, PM과 함께 제 기획을 실현할 수 있는지, 더 나은 방향으로 기획을 서비스할 수 있는지 의견을 나눴습니다. 동료들과 협력하며 효율적이고 편리한 서비스 프로세스와 화면 이동을 설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직원들이 외부 현장에서도 편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모바일 플랫폼을 만들고 부서별로 이용하는 서비스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UI를 구성했습니다. 모바일 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관련된 업무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직원들에게 편리한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일을 했습니다. 중고차제휴 부서에서는 제휴사의 차량 검수를 위해 모바일을 활용한 차량 실사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기존 프로세스는 휴대폰으로 촬영 후 PC에 전송시킨 후 웹페이지에 등록해야해서 번거로웠는데, 사진 확인과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기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던 장기렌터카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원하는 차량 모델에 대해 견적을 내고 대출을 신청하는 신규상품을 기획했습니다.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업무를 자동화시켜서 편리하게 상품을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빠르고 간편한 소액 대출 서비스를 제공해서 기다림을 싫어하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해서 즉시 고객의 통장으로 대출금이 입금되는 신규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기존 프로세스를 간소화했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처음으로 상주하는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어려움이 있었지만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고객이 이용하고 싶어하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3. 지원동기 및 비전
기획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찾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특히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와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은 꾸준히 공부해야하며 제가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아 관심 갖게 되었습니다. 더존ICT그룹은 다양한 산업들이 디지털화되는 상황에서 고객이 만족하는 서비스를 알고 제공하려고 합니다. 최첨단 기술을 융합한 편리한 서비스 제공은 고객에게 신뢰를 주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솔루션를 제공하고 있는 더존ICT에서 주인의식을 갖고 고객을 만족시키는 기획을 하고 싶어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창업 제안 받은 VR 콘텐츠 기획]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직무체험 VR 콘텐츠를 기획하여 만들었습니다. PM으로서 팀원들이 기간 동안 얼마나 완성할 수 있는 지 능력을 파악하고 분업하여 계획을 짰습니다. 팀원들과 소통으로 꾸준히 피드백하며 프로젝트를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시장조사를 통해 VR 산업이 점점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고, 신기술을 활용한 창작물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직무를 희망하면서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가상으로 체험하는 내용이 관심을 끌 것이라 느꼈으며, 시간 내에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획했습니다. 최종 전시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저희 결과물에 관심을 갖고 줄서서 체험하길 원했습니다. 또한 창업관계자에게 창업을 제안 받을 정도로 작품의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고객 중심으로 생각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기획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존iCT에서 새로운 경험을 주는 기획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입사 후 직원과 고객을 IT로 연결하는 기획을 수행하며 프로젝트 매니저로 성공하고 싶습니다. IT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고 신기술을 적용시켜 편리한 서비스를 기획하겠습니다. 니즈를 충족시키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회사와 함께 성장하겠습니다.
4. 기타
기획직무는 유관 부서들과 협력하며 서비스를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담당자들과 원활한 소통이 중요합니다. 저는 대학생활과 대외활동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하겠습니다.
[고객을 생각한 방법으로 다운로드 2배 성과]
맛집 검색 서비스인 망고플레이트 애플리케이션 홍보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일평균 다운로드 수를 2배 증가시켰습니다. 오프라인으로 행사를 진행하며 앱 설치를 하면 저희 팀이 준비한 게임을 참여할 수 있고, 게임 결과에 따라서 사은품을 주는 내용으로 기획했습니다. 공원에서 행사를 진행해서 사람들이 돗자리나 텐트를 쳐서 한 자리에 오래 머무르고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원래는 부스를 설치해서 사람들이 올 수 있도록 했는데, 회의를 통해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사람들에게 다가가서 행사를 참여하도록 변경했습니다. 사람들의 편의를 생각해서 직접 고객에게 홍보한 저희 팀의 다운로드 수가 부스를 설치해서 고객이 오도록 한 팀보다 더 많은 성과를 냈습니다.
[협력으로 만든 최초 외부공연, 관객 20% 증가]
기타학회 회장을 맡으며 10년 넘게 학교 내에서만 공연한 것을 외부에서 공연하며 관객을 20% 늘렸습니다. 학교에서 공연 장소를 무료로 빌려주기 때문에 저희 학회는 교내에서만 공연했습니다. 회원들에게 잊지 못 할 경험을 만들어 주고 싶은 마음에, 회장단이 힘을 합쳐 새로운 장소를 구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가격과 위치를 고려해서 찾았는데 회비가 충분하지 않아서 사설 공연장을 빌리는 것은 무리였습니다. 학교 근처의 공용시설 등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서 교회의 강당을 무료로 빌릴 수 있었습니다. 외부 공연이 학회 최초여서 교내 공연보다 선배들과 학회 외부인이 더 많이 오게 되어 관객이 증가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제 경험은 많은 사람들과 협업하며 업무를 진행하는 기획 업무에서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