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공정 엔지니어 직무를 지원한 이유와 Applied Materials에 지원하게 된 동기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500자]
반도체 분야에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석사 2년 동안 나노 소재 및 소자 연구실에서 PVD 장비를 활용하여 박막 특성을 개선하는 연구들을 진행하였습니다. 반도체 증착 공정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제어하여 불량의 원인을 분석하여 공정에서의 직무역량을 키웠습니다. 또한, SEM, AFM, Mask aligner 등의 반도체 장비 교육과 반도체 관련 전공 수업을 통해 8대 공정의 목적과 개요를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지금껏 쌓아온 저의 역량들을 활용하여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시스템 반도체 시장을 선도할 파운드리 사업부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모두 확보하는 최고의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1위 목표를 위해 도약하는 삼성전자 Foundry 사업부와 함께 성장하며 제 꿈을 펼쳐 보겠습니다.
2. 본인이 지원한 공정 분야 관련하여 보유한 지식 및 경험을 기술하여 주십시오.[800자]
태양광 100% 활용을 위한 광전극 소자의 박막특성 개선 연구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공정 이슈를 개선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기존 광전극의 흡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주기적인 Micro pillar 패턴위에 전도성층, 광흡수층을 증착 시킨 광전극 구조를 고안해 냈습니다. 하지만 소자 제작과정에서 광 흡수 반도체 물질인 BiVO4 물질이 불균일 하게 증착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SEM, AFM 장비로 표면특성과 공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증착공정을 One step에 진행하여 복잡한 구조 위에 한꺼번에 너무 높은 전력으로 증착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었습니다. 이후 스퍼터 장비의 전력조건을 100W에서 75W로 낮추는 대신 공정을 여러 STEP으로 나누어서 공정을 진행하였고 막질을 향상시켜 흡수층의 흡수효율을 개선하였습니다. 막질의 향상은 얻었지만 공정의 step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성은 감소하게 되었고, 이러한 trade-off 관계에서 최적의 recipe을 찾는 것이 엔지니어의 핵심 능력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레시피를 토대로 공정을 진행하여 Reference sample에 비해 68%이상 전류 밀도 값이 증가한 광전극 소자를 제작하였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여 SCI 저널에 1저자로 투고하였습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사업부에서 증착 관련 공정을 맡게 된다면 보다 빠르게 현업에 적응하여 공정개선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 공정 엔지니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중요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해당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떠한 노력과 경험을 하였는지 상세히 서술하십시오. [800자]
학부 4학년 정보전자소재라는 과목을 수강하고 SEMICON Korea, KES 2019 등의 반도체 행사를 방문하며 반도체 엔지니어의 꿈을 키웠습니다. 실제 반도체 제품의 양산프로세스를 책임지는 양산기술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두 가지 역량을 키웠습니다.
첫째, 신소재공학부에서 배웠던 재료공학적 지식을 반도체 소자 제작에 적용해보고자 나노 소재 및 소자 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대학원에서 반도체 응용공학, 반도체 소자 및 공정, 마이크로 나노 리쏘그래피 등의 과목을 수강하며 단위공정에 대한 이해와 공정변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현직자 강의를 통해 단위공정에서의 기술적 이슈, 현업에 쓰이는 용어 등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둘째, 반도체 공정에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Sputter , Spin coater 등의 증착장비와 SEM AFM등의 분석장비 등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유연 폴리머 필름 위에 구현되는 IoT 소자용 저용량 메모리 제조기술이라는 과제를 진행하며 E-beam ,Evaporater Sputter 등의 PVD 장비로 박막특성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패턴 층이 삽입된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면서 SEM 과 AFM 장비를 통해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수정해 나갔습니다. 그 결과 최적화된 공정조건을 도출해내고 전기적 특성 평가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었습니다. 주어진 기한 내에 공정변수들을 제어하며 아이디어를 재현시키며 성과를 낸 경험을 통해 빠르게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적용시키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새창
목록
합격 자소서
Applied Materials Korea / Process Support Engineer / 2021 상반기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공정 엔지니어 직무를 지원한 이유와 Applied Materials에 지원하게 된 동기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500자]
반도체 분야에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석사 2년 동안 나노 소재 및 소자 연구실에서 PVD 장비를 활용하여 박막 특성을 개선하는 연구들을 진행하였습니다. 반도체 증착 공정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제어하여 불량의 원인을 분석하여 공정에서의 직무역량을 키웠습니다. 또한, SEM, AFM, Mask aligner 등의 반도체 장비 교육과 반도체 관련 전공 수업을 통해 8대 공정의 목적과 개요를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지금껏 쌓아온 저의 역량들을 활용하여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시스템 반도체 시장을 선도할 파운드리 사업부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모두 확보하는 최고의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1위 목표를 위해 도약하는 삼성전자 Foundry 사업부와 함께 성장하며 제 꿈을 펼쳐 보겠습니다.
2. 본인이 지원한 공정 분야 관련하여 보유한 지식 및 경험을 기술하여 주십시오.[800자]
태양광 100% 활용을 위한 광전극 소자의 박막특성 개선 연구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공정 이슈를 개선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기존 광전극의 흡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주기적인 Micro pillar 패턴위에 전도성층, 광흡수층을 증착 시킨 광전극 구조를 고안해 냈습니다. 하지만 소자 제작과정에서 광 흡수 반도체 물질인 BiVO4 물질이 불균일 하게 증착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SEM, AFM 장비로 표면특성과 공정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증착공정을 One step에 진행하여 복잡한 구조 위에 한꺼번에 너무 높은 전력으로 증착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었습니다. 이후 스퍼터 장비의 전력조건을 100W에서 75W로 낮추는 대신 공정을 여러 STEP으로 나누어서 공정을 진행하였고 막질을 향상시켜 흡수층의 흡수효율을 개선하였습니다. 막질의 향상은 얻었지만 공정의 step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성은 감소하게 되었고, 이러한 trade-off 관계에서 최적의 recipe을 찾는 것이 엔지니어의 핵심 능력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레시피를 토대로 공정을 진행하여 Reference sample에 비해 68%이상 전류 밀도 값이 증가한 광전극 소자를 제작하였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여 SCI 저널에 1저자로 투고하였습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사업부에서 증착 관련 공정을 맡게 된다면 보다 빠르게 현업에 적응하여 공정개선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 공정 엔지니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중요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해당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떠한 노력과 경험을 하였는지 상세히 서술하십시오. [800자]
학부 4학년 정보전자소재라는 과목을 수강하고 SEMICON Korea, KES 2019 등의 반도체 행사를 방문하며 반도체 엔지니어의 꿈을 키웠습니다. 실제 반도체 제품의 양산프로세스를 책임지는 양산기술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두 가지 역량을 키웠습니다.
첫째, 신소재공학부에서 배웠던 재료공학적 지식을 반도체 소자 제작에 적용해보고자 나노 소재 및 소자 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대학원에서 반도체 응용공학, 반도체 소자 및 공정, 마이크로 나노 리쏘그래피 등의 과목을 수강하며 단위공정에 대한 이해와 공정변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현직자 강의를 통해 단위공정에서의 기술적 이슈, 현업에 쓰이는 용어 등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둘째, 반도체 공정에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Sputter , Spin coater 등의 증착장비와 SEM AFM등의 분석장비 등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유연 폴리머 필름 위에 구현되는 IoT 소자용 저용량 메모리 제조기술이라는 과제를 진행하며 E-beam ,Evaporater Sputter 등의 PVD 장비로 박막특성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패턴 층이 삽입된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면서 SEM 과 AFM 장비를 통해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수정해 나갔습니다. 그 결과 최적화된 공정조건을 도출해내고 전기적 특성 평가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었습니다. 주어진 기한 내에 공정변수들을 제어하며 아이디어를 재현시키며 성과를 낸 경험을 통해 빠르게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적용시키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