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학점 3.50/4.5 / 토익: , 토익스피킹: , 오픽: AL, 기타: / 사회생활 경험: 유니버설뮤직코리아 재직, 뉴욕 온라인 라디오 방송국 인턴, 커리어 경험 공유 플랫폼 스타트업 인턴, S사 방송국 뉴미디어팀 인턴, 종합광고대행사 H사 인턴 / 나와 비슷한 성격의 아티스트를 매칭해주는 서비스, 끝장토론 '말대말' 서비스 기획 및 개발 / 한국사검정시험: , 컴퓨터활용능력: , 기타: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
새창
목록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자기소개
저는 직접 만든 '무언가'로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주는 일을 좋아합니다.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을 바꾸고, 그래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마음껏 "왜?"라고 질문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각자 스킬을 가진 사람들과 서비스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저는 문제를 잘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바로 실행하는 실행력을 갖고 있습니다. '문제 발견 → 해결책 고안 → 추진'의 사이클을 다양하게 경험하면서, 1) 비즈니스 목표 파악 2) 사용자의 행동과 니즈 파악 을 통해 솔루션을 엮어내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주도적인 태도로 끝까지 책임지는 태도로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소비자의 행동을 보고 문제 해결하기]
뉴욕의 팟캐스트 방송국 Talk Radio NYC에서 첫 인턴을 했을 때, 쇼를 알리고 청취자와 소통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방송 모습을 찍고 SNS를 운영하다가, 몇 가지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실시간으로 호스트가 전화 연결을 하거나 게스트와 이야기할 때 청취자 수가 확실히 높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진행이 있는 쇼와 없는 쇼 사이에서도 격차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더 후킹하고, 소통이 강조되는 콘텐츠를 만들면 청취자 수가 늘어날까?'라고 고민해봤습니다. 게다가 이건 Boss와 소통하며 들었던 목표 - 청취자 수를 높여서, 호스트를 더 유치하려는 것 - 과도 같은 방향의 고민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때부터 트위터의 트렌딩 해시태그를 적극 활용해 콘텐츠 노출 수를 높이고, 사진 대신 라이브 비디오를 중심으로 채널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처음 듣는 청취자들의 온보딩을 위해 쇼 주제를 알리는 가벼운, ever-green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결과는 점점 놀라웠습니다. 우선 실시간 청취율이 20%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쇼 호스트 중 소셜미디어 대행사를 운영하던 CEO에게 같이 일하자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광고주를 위한 제안서 작성을 하면서, 광고주의 문제를 파악하고 유저를 분석하기 위한 Tool을 제안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련의 과정에서 저는 '회사가 느끼는 문제'와 '사용자가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파악하여 솔루션을 제안하는 일에 열정을 갖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보고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경험 공유 서비스' 리드미에서 인턴 당시 Google Analytics를 활용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습니다. 그 때 타 서비스와 신규 제휴를 맺어 방문자 수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퍼널별로 분석한 결과, 트래픽에 비해 회원 가입 전환율이 낮다는 문제를 도출했습니다. 그리고 회원 가입 중 2단계에서 가장 이탈이 높다는 사실을 팀에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 중 이탈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과 실행을 담당했습니다. 이탈 발생 이유에 대해 추론하고 10명의 VOC를 직접 들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정보 입력을 귀찮게 인식한다'는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해당 페이지에 '프로필을 완성한 예시를 볼 수 있는 팝업 추가' 아이디어를 발전시켰고 개발 이후 회원 전환율이 30% 증가했습니다.
[구조의 문제를 보고 0에서 1을 만들기]
유니버설뮤직코리아에 입사하고 채널 관리 업무를 맡았을 때, 광고 운영에서 두 가지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1. 어떤 아티스트, 어떤 음악에, 어떤 콘텐츠로 광고를 집행했는지 데이터가 쌓이지 않았습니다.
2. 연 10억 가까운 비용을 지출함에도 광고에 대한 효과 분석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콘텐츠 제작자와 SNS 운영자가 분리되어 있고, 콘텐츠 제작자가 구글 시트에 콘텐츠 업로드 요청과 광고 요청을 같이 메모장에 기입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사와 계약을 추진하여, 연간 계약을 맺었습니다. 또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값을 데이터로 쌓을 수 있는 시트를 마련했습니다. 콘텐츠 제작자 - 광고 담당자 - 대행사 간의 데일리 업무 프로세스와 리포팅 방식을 정했습니다.
매월 지출 비용과 음원별 콘텐츠별 퍼포먼스 리뷰를 진행하여, 6개월 뒤에는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내부 컨센서스와 업무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에서 전혀 무명이던 13개 트랙에서 유의미한 매출을 발생시켰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요청 대시보드를 바탕으로 자동 집행하는 환경을 대행사와 개발하여 운영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개선 → 커뮤니케이션' Loop를 여러 번 거쳤으며, 대표적으로 대시보드의 데이터 필드값을 필수적인 것으로 간소화하고 사용 규칙을 정해 커뮤니케이션하였습니다. 또한 광고 비승인 건에 대한 알람을 수동으로 1:1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의 불편함을 파악하여, 슬랙을 통한 자동 알람을 마련하고 제공했습니다.
이처럼 저는 발견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해결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시너지를 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카카오에서 발휘할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입니다.
새창
목록
합격 자소서
카카오 / Service & Biz developers / 2021 상반기
성균관대학교 /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학점 3.50/4.5 / 토익: , 토익스피킹: , 오픽: AL, 기타: / 사회생활 경험: 유니버설뮤직코리아 재직, 뉴욕 온라인 라디오 방송국 인턴, 커리어 경험 공유 플랫폼 스타트업 인턴, S사 방송국 뉴미디어팀 인턴, 종합광고대행사 H사 인턴 / 나와 비슷한 성격의 아티스트를 매칭해주는 서비스, 끝장토론 '말대말' 서비스 기획 및 개발 / 한국사검정시험: , 컴퓨터활용능력: , 기타: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
새창
목록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자기소개
저는 직접 만든 '무언가'로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주는 일을 좋아합니다.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을 바꾸고, 그래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마음껏 "왜?"라고 질문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각자 스킬을 가진 사람들과 서비스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저는 문제를 잘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바로 실행하는 실행력을 갖고 있습니다. '문제 발견 → 해결책 고안 → 추진'의 사이클을 다양하게 경험하면서, 1) 비즈니스 목표 파악 2) 사용자의 행동과 니즈 파악 을 통해 솔루션을 엮어내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주도적인 태도로 끝까지 책임지는 태도로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소비자의 행동을 보고 문제 해결하기]
뉴욕의 팟캐스트 방송국 Talk Radio NYC에서 첫 인턴을 했을 때, 쇼를 알리고 청취자와 소통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방송 모습을 찍고 SNS를 운영하다가, 몇 가지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실시간으로 호스트가 전화 연결을 하거나 게스트와 이야기할 때 청취자 수가 확실히 높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진행이 있는 쇼와 없는 쇼 사이에서도 격차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더 후킹하고, 소통이 강조되는 콘텐츠를 만들면 청취자 수가 늘어날까?'라고 고민해봤습니다. 게다가 이건 Boss와 소통하며 들었던 목표 - 청취자 수를 높여서, 호스트를 더 유치하려는 것 - 과도 같은 방향의 고민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때부터 트위터의 트렌딩 해시태그를 적극 활용해 콘텐츠 노출 수를 높이고, 사진 대신 라이브 비디오를 중심으로 채널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처음 듣는 청취자들의 온보딩을 위해 쇼 주제를 알리는 가벼운, ever-green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결과는 점점 놀라웠습니다. 우선 실시간 청취율이 20%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쇼 호스트 중 소셜미디어 대행사를 운영하던 CEO에게 같이 일하자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광고주를 위한 제안서 작성을 하면서, 광고주의 문제를 파악하고 유저를 분석하기 위한 Tool을 제안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련의 과정에서 저는 '회사가 느끼는 문제'와 '사용자가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파악하여 솔루션을 제안하는 일에 열정을 갖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보고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경험 공유 서비스' 리드미에서 인턴 당시 Google Analytics를 활용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습니다. 그 때 타 서비스와 신규 제휴를 맺어 방문자 수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퍼널별로 분석한 결과, 트래픽에 비해 회원 가입 전환율이 낮다는 문제를 도출했습니다. 그리고 회원 가입 중 2단계에서 가장 이탈이 높다는 사실을 팀에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 중 이탈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과 실행을 담당했습니다. 이탈 발생 이유에 대해 추론하고 10명의 VOC를 직접 들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정보 입력을 귀찮게 인식한다'는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해당 페이지에 '프로필을 완성한 예시를 볼 수 있는 팝업 추가' 아이디어를 발전시켰고 개발 이후 회원 전환율이 30% 증가했습니다.
[구조의 문제를 보고 0에서 1을 만들기]
유니버설뮤직코리아에 입사하고 채널 관리 업무를 맡았을 때, 광고 운영에서 두 가지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1. 어떤 아티스트, 어떤 음악에, 어떤 콘텐츠로 광고를 집행했는지 데이터가 쌓이지 않았습니다.
2. 연 10억 가까운 비용을 지출함에도 광고에 대한 효과 분석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콘텐츠 제작자와 SNS 운영자가 분리되어 있고, 콘텐츠 제작자가 구글 시트에 콘텐츠 업로드 요청과 광고 요청을 같이 메모장에 기입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사와 계약을 추진하여, 연간 계약을 맺었습니다. 또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값을 데이터로 쌓을 수 있는 시트를 마련했습니다. 콘텐츠 제작자 - 광고 담당자 - 대행사 간의 데일리 업무 프로세스와 리포팅 방식을 정했습니다.
매월 지출 비용과 음원별 콘텐츠별 퍼포먼스 리뷰를 진행하여, 6개월 뒤에는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내부 컨센서스와 업무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에서 전혀 무명이던 13개 트랙에서 유의미한 매출을 발생시켰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요청 대시보드를 바탕으로 자동 집행하는 환경을 대행사와 개발하여 운영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개선 → 커뮤니케이션' Loop를 여러 번 거쳤으며, 대표적으로 대시보드의 데이터 필드값을 필수적인 것으로 간소화하고 사용 규칙을 정해 커뮤니케이션하였습니다. 또한 광고 비승인 건에 대한 알람을 수동으로 1:1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의 불편함을 파악하여, 슬랙을 통한 자동 알람을 마련하고 제공했습니다.
이처럼 저는 발견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해결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시너지를 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카카오에서 발휘할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