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KT 및 해당 직무에 지원한 동기와 KT 입사 후 해당 직무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500자 입력가능)
[개방적인 자세, 그리고 SDN 기반의 5G 구현]
IT 전문가로서 성장, 성취감, 책임감을 이룰 수 있는 곳은 KT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는 SDN 관련 연구 및 업무 경험이 있어 본 직무에 적합한 사람이라고 생각되어 KT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KT에 입사하게 된다면 크게 2가지의 노력을 반드시 수행할 것입니다.
첫째, IT 신기술에 대해서 빠르게 팔로우할 것입니다. 대학원에서는 2주마다 세미나를 진행하며 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처럼 배움의 끈을 놓지 않고 항상 배움을 갈망하는 자세로 빠른 변화에 적응력을 갖춘 사원이 될 것입니다.
둘째, 대학원에서 했던 SDN 연구와 회사에서 일했던 네트워크 경험으로 KT에서 SDN을 적용한 5G 기술이 표준기술로 되도록 힘쓰겠습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해 키워온 저의 도전 마인드는 향후 회사의 중요한 SDN 기반의 5G Standalone 표준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 최근 3년 내 가장 어려웠던 도전은 무엇이었으며,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500자 입력가능)
[특허 등록 거절에서 배운 도전 정신]
대학원에서 SDN 연구를 시작하면서 강병석 포스트 닥터의 저널 논문인 “An SDN-enhanced load-balancing technique in the cloud system”을 관심 있게 보았고 특허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허 아이디어는 SDN 환경에서 대기 중인 작업 수에 따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호스트에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작업 처리 속도를 향상하는 것이었습니다. 특허 출원은 성공적이었습니다.
그 후, 특허 등록을 진행하였고 진보성이 없다는 거절 통보를 받았습니다. 특허청에서 제기한 인용 발명과 특허 등록하려는 아이디어를 비교/분석하여 특허 명세서를 보완한 뒤, 변리사와 미팅을 하였고 결국 특허 등록을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실패했지만 경험한 실패를 밑거름으로 다시 도전하여 성공으로 끌어내는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특허 등록을 성공한 것처럼 포기하지 않고 해결 방법을 찾아 다시 도전하는 자세를 지니고자 합니다.
3.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협업 경험을 본인이 수행한 역할 중심으로 제시하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500자 입력가능)
[상호 협력을 통해 발견한 소통의 중요성]
SDN 연구를 하면서 네트워크 분야와 관련된 실무를 경험하고 싶어서 에스넷시스템의 SDN사업부에서 주로 삼성전자 기흥/평택사업장에서 일하였습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일은 2명 이상이 함께 일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물리적인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저는 ACI GUI에서 장애 원인을 파악하여 통신이 되는지 파악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멀티파드로 구성된 각 데이터센터와의 거리는 셔틀버스로 5~7분 걸리므로 물리적인 장애가 있을 때 다른 엔지니어와의 협업이 필요했습니다. 장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여 현장에 계시는 엔지니어한테 필요한 부분을 명확하게 말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작업할 때 협업하여 네트워크나 장비에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더 효율적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실무를 경험하면서 무엇보다도 협업과 소통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협업을 통한 경험은 제가 강한 책임감을 느끼고 협력할 수 있는 자세를 지니도록 하였습니다.
4. 지원 직무와 관련된 주요 연구/업무경험 및 보유역량(skill)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1,000자 입력가능)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의 차선책]
석사 졸업 논문은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with Split Point Selection in SDN’이라는 주제이며 사용자의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핸드오버 및 전송 지연과 같은 문제로 인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끊김이 발생하였고, 끊김 없는 이동성 솔루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논문이 제안한 알고리즘은 트래픽이 새로운 AP를 향하여 핸드오버하면 후보 AP 목록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지연 측면에서 토폴로지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스플릿 포인트를 결정합니다. 스플릿 포인트는 이전 플로우와 새로운 플로우의 최적경로를 가진 스위치를 의미합니다. 스플릿 포인트 선정방식은 단말이 다른 AP로 이동하였을 때, 경로에서 각 스위치의 가중치를 스위치와 후보 AP 사이의 평균 거리를 홉으로 계산하고 최소 가중치를 갖는 스위치가 스플릿 포인트로 선택됩니다. 그래서 이 알고리즘의 중요한 기능인 종단 간 최소한의 지연시간을 구현하기 위해 SDN 기술이 필요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를 스위치로 구성하고 서버는 PC나 노트북을 사용하여 구현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제안한 알고리즘은 대규모 네트워크망인 것을 가정한 것이므로 테스트로 사용할 스위치 14대, AP 10대 및 서버 5대가 필요했고 필요한 수량이 많아 비용면에서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SDN 컨트롤러는 Openflow를 사용하였고 파이썬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새로운 언어를 사용하여 제안 알고리즘을 구현한다는 것은 저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었습니다.
처음 SDN을 다뤘고 해당 분야에 지식도 많이 부족했기 때문에 논문을 읽고 검색을 하면서 지도교수님의 지도를 받았습니다. 졸업 논문을 무사히 완성했지만 아쉬운 점은 kubernetes도 추가하면 로드밸런싱 기능도 확장되어 졸업 논문의 질이 더 좋아졌을 거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항상 도전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경력기술서)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SDN 도입사업, 삼성전자 반도체 DS 클라우드 - EUV 신규 ACI 구축 설계,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 C-데이터센터 ACI 구축, CJ ENM ACI 구축, 반도체 VMware ELA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