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분석력을 기반으로 유익한 콘텐츠를 만드는 예비 마케터]
저는 누군가 본인이 기획 및 제작한 콘텐츠를 접하고 이를 통해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낼 때 보람을 느낍니다. 이에 IT 산업의 마케터가 되길
희망하며 대학 재학 중 다양한 방식의 마케팅을 시도하기 위해 줄곧 노력해왔습니다.
마케터는 소비자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도출을 기반으로 비로소 주목받는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러한 저의 신념을 적용해
보고자 지난해 초까지 약 4개월간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1일1식`의 에디터로 활동하였고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계정 내 게시글 중에서 가장 많은 `좋아요` 수와 호의적인 반응을 얻은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 당시 에디터이자 계정의 분석팀으로 활동하며, 계정이 많은 팔로워 수를 보유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댓글이나 `좋아요` 수와 같은 정량적인 반응이 낮게 나타난다는 문제점을 발견했고 이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고자 했습니
다. 이에 프로패셔널 기능을 통해 계정 주요 사용층인 20대 수도권 남성 이용자들의 이목을 끌 만한 시의성 있는 콘텐츠를 제작할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기사를 통해 MZ세대가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를 찾던 중 `MZ세대의 정부 정책에 관한 관심도`가 증가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고 `예정된 3월 대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콘텐츠를 구상하였습니다. 콘텐츠 발행 이후 2022년 3월 기준, 콘텐츠 게시물에 1,780개의 `좋아요` 수와 당시 2월 기준, 도달
173,812회 노출 196,197회를 기록하여 도합370,009회라는 수치를 얻었습니다. 앞으로 저는 조직에서의 협력 경험과 분석에 기반한 인사이트 도출로
타겟층의 소구점을 파악한 콘텐츠 제작 경험을 살려, 시청자들에게 유익하고도 유쾌함을 선사할 것입니다.
제약사 디지털헬스케어팀 디지털마케팅직무 인턴 성과 작성 및 포트폴리오 별첨 (pdf/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