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직무 지식/경험
지원 직무와 관련된 수강 과목 및 경험을 간략하게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Guide> 학교수강교과목, 외부교육수강 이력, 프로젝트 경험 등을 제목/경험/성적(또는 성과) 등으로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자+데이터 분석=수율 향상"
Panel개발 업무 중 소자 개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MOSFET 소자의 특성 분석 및 성능 개선 경험과 생산 수율 증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CAD를 통한 소자 성능 개선"
TCAD로 n-채널 MOSFET을 설계하며 소자의 성능을 개선한 경험이 있습니다. 각 공정 조건을 변경하며 기존의 소자보다 나은 성능을 갖는 소자를 설계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MOSFET의 특성 상 drain current가 높을수록, threshold voltage가 낮을수록 소자 성능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채널 길이를 줄여 drain current를 높일 수 있었고, 이에 더해 채널 길이를 과도하게 줄였을 때 발생하는 Short Channel Effect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threshold voltage를 낮추기 위해 gate oxide 두께를 줄여 소자가 저전력에서도 작동하게 했습니다.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MOSFET 소자 설계 시 타겟 스펙에 따라 고려할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각 제품에 적합한 소자 특성을 분석하고 개발하겠습니다.
"데이터 분석의 key : 통찰력"
음성처리 프로젝트 중 저만의 데이터 분석 아이디어로 원본 데이터를 훼손하지 않고 잡음율 0%를 달성했습니다. 악기소리 샘플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수업시간에는 4kHz 이상 고주파수 데이터를 모두 없애는 방법만 알려주셨지만, 이 방법을 사용할 시 잡음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소리 데이터도 함께 제거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저는 모든 데이터를 FFT 전처리 후 특정 고주파수의 outliner 성분만을 하나씩 제거함으로써 잡음만 모두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것을 잡아내는 통찰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각 공정 프로세스상 발생하는 문제를 통찰력 있게 분석하고, 공정 프로세스를 설계해 Panel 생산 수율 100%를 달성하겠습니다.
직무 관련 강점
지원 직무 수행과 연계한 본인만의 경쟁력 및 강점을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통계 기반 Big data 분석 역량"
Panel개발 직무에서 Panel의 불량분석 및 생산 수율,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통계를 기반으로 오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Big data specialist가 필요합니다. 한 기업에서 인턴을 수행하며 Python 및 R을 활용해 강수여부 및 풍향이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경험이 있습니다.
평소 비가 온 뒤 쾌청한 날씨를 보인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강수여부가 미세먼지와 상관관계가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에 저는 DB에 접속해 SQL문을 활용해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해진 2010년도 이후의 데이터 중 일 강수량이 30mm이상인 다음 날의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CSV파일로 추출했습니다. 이후 Python을 활용해 결측치가 포함된 row를 제거했고, R을 활용해 강수여부와 미세먼지 농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습니다. 분석 결과 상관계수 cor이 0.2889 값을 가져 약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통상적으로 cor값이 0.3이상이어야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기에 풍향 변수를 이용해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분석 결과 cor값이 0.7184로 강수여부보다 바람이 동쪽으로 불 수록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상황에 맞게 각종 분석계획을 수립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및 유의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후 통계 관련 data분석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며 data 및 database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입사 후에도 data역량을 꾸준하게 개발해 Panel의 생산 수율을 100% 달성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직무 이해도
지원 직무 관련 최근 Trend를 간략히 기술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LG Display의 투자 방향, 중소형 OLED와 POLED"
최근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7명이 검색 수단으로 Youtube를 활용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국내 1위 포털 사이트인 Naver를 제친 것을 통해 정보를 탐색할 때 텍스트보다는 동영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으로부터 LG Display의 두 가지 사업 방향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 중소형 OLED의 지속적인 투자입니다. 정보 searching시 텍스트보다 동영상을 활용하는 이유는 직접적으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각종 전자제품 리뷰, 화장법 컨텐츠의 급속 성장으로부터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중소형 OLED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미 LG디스플레이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TV용 대형 OLED를 생산하고 있을 정도로 대형 OLED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더해 늘어나는 중소형 OLED시장 대응을 위한 생산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신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입니다. 앞서 정보탐색 방식이 텍스트로부터 동영상으로 급속하게 변화한 것과 같이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타사에서 출시한 갤럭시 폴드, Z플립3의 역대급 흥행으로 보았을 때 POLED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또한 POLED는 기존의 OLED보다 더 얇고 제조 비용도 저렴한 것으로 보았을 때 추후 LG Display의 주요 수익 창출 모델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공정을 기반으로 최신 공정에 대한 설비 투자를 진행해야 하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최적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OLED 시장에서 LG Display가 나아가야 할 방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