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검색결과 9584건

Copyright © Linkareer Inc. All Rights Reserved.

합격 자소서

kt cloud / IT-아키텍처 / 2023 하반기

동국대 /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학점 3.86 / 토익: 710, 오픽: IM2 / 기타: SQL D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자사_윈스펙_바이오헬스 자만검 배너 이미지


1. kt cloud 및 해당 분야에 지원한 동기와 입사 후 포부를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700자 입력가능) 전공 공부를 하던 중 IT 인프라 과목(운영체제,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체제 등)에 흥미가 생겼고, 공부를 할수록 빠져들었습니다. 깊은 관심과 열정은 좋은 성적까지 직결되었습니다. 그중 광범위한 개념인 클라우드에 매료됐고 기술 블로그, MSA에 관한 책 등 학부 수업 이외에도 심층 깊게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Cloud 관련 공부를 하던 중 클라우드 팜을 알게 되었고.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강력한 보완성과 퍼블릭 클라우드의 비용, 운영 효과를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형 서비스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IDC, Cloud, NW를 보유한 국내 유일 No.1 DX 전문기업다운 서비스의 개발은 저의 마음을 KT Cloud로 향하게 했습니다. 두 개의 프로젝트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백엔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클라우드 환경에 배포 및 운영하였습니다. 그렇기에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환경 구축 환경 과정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이해하고 있습니다. 또한 잘 구축된 클라우드 환경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서비스 안정성을 높여주며, 이것이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입사한다면 경험을 통해 인지하고 있는 본 직무의 중요성과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Cloud 인프라를 운영하고 개선하여 세계 No.1 DX전문기업을 향한 발판을 마련하겠습니다. 2. 원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본인의 지식/역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700자 입력가능) "Cloud 운영에 적합한 인재" 제가 관리 및 운용하는 IT 서비스를 고객이 유용하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제 꿈이었습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깊은 컴퓨터 공학 전반의 전공 지식과 프로젝트 개발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했습니다. 따라서 학교에서 IT 인프라(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공학 및 설계, 컴퓨터 네트워크등)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고 좋은 성적을 성취했습니다. 이후 프로젝트에서 IT 기업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AWS 클라우드 환경 속에서 3 tier architecture를 설계하여 웹 서버를 구성했습니다. VPC를 생성하고 서브넷을 생성하고 보안그룹을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사용자 정보를 AWS의 RDS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개발을 수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잘 마친 후, 챗봇 활성 사용자 20명까지 달성하며 좋은 결과까지 성취할 수 있었습니다. 잘 구축된 클라우드 환경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전 과정에서의 서비스 안정성을 높여준다는 것을 프로젝트를 통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두 번의 퍼블릭 클라우드 프로젝트 경험과 IT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은 KT Cloud의 인프라운영 및 개선뿐만 아니라 IT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운영하는데 적합할 것입니다. 3. 특정 사안에 대해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노력했던 과정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최대 700자 입력가능) "팀워크를 통한 문제해결" AWS를 이용한 프로젝트에서 저는 처음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 속에서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비록 낯선 프로젝트였지만, 새로운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즐기기 때문에 팀장을 지원했습니다. 팀들의 IP만 접속할 수 있게 해야 했고, 동시에 리눅스 상에서 파일 탐색기 구조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저는 문제가 발생하면 제가 해결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혼자서 스스로 모든 것을 구현하려 하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왜냐하면 파일 탐색기 구조는 개발 공수가 많이 드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팀 내에 리눅스 CLI를 많이 활용해 본 팀과 협업을 통해 어려움을 풀어갔습니다. 제가 구현하고자 하는 파이프라인 구조와 동시 작업 시 적용할 멀티스레딩을 팀들과 공유하고 이때 사용할 프로세스를 자세하게 기술하여 팀에게 전달했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고, 개선점을 찾아 고도화했습니다. EC2의 IP가 계속 바뀌었던 문제점도 탄력적 IP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고, 보안그룹 규칙을 설정하여 허용된 IP만 접속 가능한 환경도 구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를 팀워크를 통해 잘 해결해 나가며, 서로의 의견을 충분히 주고받으며 상황을 이해하고, 계속된 피드백을 통해 첫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 속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를 잘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