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 / 화학공학부 / 학점 3.98/4.5 / 토익스피킹 IH(140), HSK 4급(239/300), 중국어 오픽 IM1 / 대외 수상 경력 3회 / 6시그마, 위험물산업기사, ADsP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
새창
목록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삼성전자를 지원한 이유와 입사 후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꿈을 기술하십시오.
700자 이내 (영문작성 시 1400자)
[반도체 양산의 안정적인 생산성 확보]
반도체 물성연구소에서 8대 공정을 실습하며 PECVD 장비를 이용한 SiO2 박막 증착 실험에서 평균 공정 시간 52초에서 다른 학우들보다 공정 시간을 약 7초 단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경험을 계기로 공정 조건 제어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흥미를 갖게 되어, 그와 직결되는 공정 기술 직무에 지원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업계에서 GAA를 적용한 3나노 공정 최초 양산 성공이라는 기술력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향후 2나노 공정에서 시장 점유율 선점을 위해 안정적 생산이 가장 중요한 만큼, 신기술 적용의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한 공정 조건 표준화가 핵심이라 생각됩니다. 반도체 화학공학, Hy-po 2기 교육 수료 등을 통한 이론 학습 및 반도체 물성 연구소 실습을 통해 공정 레시피 작성 및 set up 역량을 마련하였습니다. 반도체 공정 기술 직무를 수행할 때 이를 발휘하여 기업의 이윤 극대화에 기여하겠습니다.
[능동적으로 일하는 인재]
전공 심화를 수강하는 3학년부터 학점 4점 이상을 받는 것을 목표하였고, 졸업까지 2년간 매 학기 4점 이상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이루고 싶은 것을 명확히 정의하고, 노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했습니다. 명확한 목표 설정 및 능동적 자세를 발판 삼아 입사 후에도 의미 있는 성과를 내며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고, 인정받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2. 본인의 성장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되 현재의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인물 등을 포함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작품 속 가상인물도 가능)
1500자 이내 (영문작성 시 3000자)
[언어 울렁증 극복, 번역기 없는 대만 여행 & OPIc 중국어 IM1 취득]
대학교 3학년 시절, 교내 중국인 유학생이 길을 물어봤을 때 당황하며 번역기를 틀어 안내해 주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간단한 단어로도 충분히 알려줄 수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던 제 모습이 자신감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머니께 고민을 털어두자, 문제점을 함께 찾아주셨습니다. 평소 완벽한 문장을 구사하려는 강박이 원인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머니께서는 지인 중 중국인이 계시니, 함께 대화하며 중국어를 배워보지 않겠냐고 제안해 주셨습니다. 그분을 만나 중국어를 배우면서 2가지 행동을 꾸준히 실천하였습니다.
첫째, 짧거나 어법에 맞지 않아도 되니 오로지 중국어로만 대화했습니다. 모르는 단어는 중국어로 물어보고, 그 단어를 사용해서 다시 이야기를 이어나갔습니다. 둘째, 교내 유학생들이 공부하는 뉴실크로드센터에 3일에 한 번 방문하면서 유학생들과 대화했습니다. 점점 편하게 대화하는 자세를 갖게 되었고, 작년에 다녀온 대만에서 번역기 없이 여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지인과 스몰토크도 하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온전히 즐기는 값진 시간을 경험했습니다.
언어 울렁증을 극복하며 대화스킬, 언어 학습의 즐거움을 배웠고 회화 자격증도 취득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두려움 앞에 멈춰서기보다 행동으로 실천하여 두려움을 극복하고 발전하는 삼성인이 되겠습니다.
[데이터에 근거한 AI 구동 방식 변경, 미지시료 예측률 70%p 상승]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에서 AI 구동 및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여 미지시료 예측률을 10%에서 80%까지 끌어올린 경험이 있습니다. 475nm의 UV를 쐰 직후의 농약(DQ, Diquat) 샘플을 PL spectroscopy로 측정하는 과정에서 반응 후반부 그래프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에 Open NN이라는 AI 프로그램이 데이터의 차별성을 읽지 못하여 예측률이 10%에 그쳤습니다. 마감 기한이 1주밖에 남지 않아 피드백 방향성을 두고 팀원 간의 갈등이 발생했고, 팀장으로서 갈등을 해결하고 문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행동하였습니다.
먼저 그래프의 변동이 커진 이유를 분석했습니다. 3분이 지난 시점에서 변화가 커진 것을 부반응 발생으로 판단하였고, 이의 정확한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DQ의 라디칼 부생성물 발생을 알아냈습니다. 이에 10분동안 초 단위로 측정한 PL 데이터 중, 140초 내의 데이터만 사용하여 AI를 재 구동하였습니다. 그 결과 미지시료 예측률이 60%까지 오른 것을 확인하였고, 팀원들과 함께 오염된 데이터를 걸러내는 것에 열중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121초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AI 미지시료 예측률 80%를 달성하며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했고, 동상 수상이라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입사 후에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능동적 자세로 문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겠습니다.
3. 최근 사회 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 가지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이내 (영문작성 시 2000자)
[디지털 약자, 적극적인 배려와 지원 필요]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2년 동안 바리스타로 근무하며 키오스크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 손님들을 보고, 디지털 약자에 대한 사회적 배려와 지원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2019년 기준 한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96.16%로, 1990년 0.02%와 비교했을 때 한국은 정말 빠른 속도로 디지털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70세 이상 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2020년 20대의 디지털 이용 능력 점수 134.1점에 비교했을 때 한참 못미치는 14.9점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세대 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극단적 차이를 우리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한국의 출산율은 점점 낮아지고,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2021년 OECD 국가 평균 출산율 1.58에 비해 한국은 0.7이라는 절반도 안 되는 수치를 기록했고,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6%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고령층이 계속해서 디지털 약자에 놓이게 된다면, 국민 대부분이 디지털 약자가 되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고, 첨단산업 강국이라는 한국의 위명도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정부는 디지털 약자를 위해 젊은 세대가 교육 봉사를 행할 수 있는 제도 및 시설을 마련해야 합니다. 언론에서는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국민에게 교육 봉사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젊은 세대는 정부의 시설 및 제도를 이용하며 교육 봉사를 적극 실천해야 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첨단 산업의 선봉에 있는 삼성전자의 키오스크, 스마트폰 사용 교육 등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격차 해소를 위한 활동은 사회적으로 본받을 만한 훌륭한 행보입니다. 저 또한 교육봉사를 실천하여 세대 간 격차를 해소하고, 온 국민이 함께 첨단 디지털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삼성전자의 공정 기술 엔지니어로서 신기술 개발 및 양산 적용에 함께하겠습니다.
4.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경험(심화전공, 프로젝트, 논문, 공모전 등)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지원 직무에 적합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이내 (영문작성 시 2000자)
[PFD 및 데이터 분석에 근거한 전산모사 구동으로 공정 전환율 33%p 상승]
공정 기술 엔지니어는 객관적 사실과 데이터에 근거해 문제 해결 방향을 찾아야 합니다. 공정해석및설계 과목의 설계 프로젝트에서 Aspen Plus 전산모사 프로그램 구동 및 결과 데이터 분석 업무를 담당하여 공정 전환율 60%에서 93%까지 끌어올린 경험이 있습니다.
그린 암모니아의 수소화 공정 구현을 시작했을 당시, 전환율은 60%에 불과했습니다. 문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ⅰ) PFD 분석 및 공정 조건 이상 점검, ⅱ) 매일 2시간씩 팀 회의를 실천했습니다. PFD 분석을 실시한 결과, 멀티 압축기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반응물을 30bar에서 136bar로 압축시키는 것이 목표였으나 93bar까지만 압축되었고, 나머지는 버려지거나 회수되었던 것이었습니다. 팀 회의에서 논문 탐색을 통해 Aspen plus 프로그램의 3단 멀티 압축기 성능은 0.7, 단일 압축기 3개를 직렬연결 하였을 때 성능은 0.78 임을 알아내었습니다. 이에 프로그램 구동을 맡은 제가 압축기 성능을 고려하여 압축기 직렬연결 공정을 재구현했고, 반응물의 양과 공정 조건 등을 바꾸어가며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 설계를 선정하였습니다. 공정 전환율, 필요 전력량, 수소 회수율, 이산화탄소 처리 비용을 고려했고, 가중치 평가에서 가장 경제성이 뛰어난 설계의 전환율은 93%를 달성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팀 전체가 함께 방향성을 찾는 것과, 결과 데이터 분석에 근거한 공정 피드백이 설계 성공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는 점을 배웠습니다. 공정 기술 직무를 수행할 때, 객관적인 사실과 데이터에 근거하여 문제 해결 방향성을 찾고, 팀원들과 함께 유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조직 전체의 성과를 높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