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My Competence 본인이 지원한 직무관련 지원동기와 역량에 대하여
Guide> 해당 직무의 지원동기를 포함하여, 직무관련 본인이 보유한 강점과 보완점을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과 연구 경험을 토대로 쌓은 실무 능력으로 회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해 지원하였습니다.
‘ANSYS’를 사용해 전기-열 연계 해석과 열-구조 연계 해석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필름 히터를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급속 가열 및 냉각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필름 히터에 전력을 인가하여 발열량을 계산하고 사출 금형으로의 열전달로 금형 표면에서 가열속도를 계산해 최적 전력 조건을 찾았습니다. 그에 따른 사출 금형의 열응력 해소 및 급속 냉각을 위해 미세 격자 구조 기반의 냉각 채널을 설계하였습니다. 격자 구조가 용융된 수지에 의한 가열과 사출압을 견뎌 실제 공정에서 사용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열-구조 해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Int 어쩌구’와 ‘한국어쩌구‘에 게재되었고 기계학회에서 우수 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Fluent’를 사용해 유동 해석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고전압 전기차 배터리 열교환기를 설계하고 성능을 검증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새로운 설계 기법을 도입해 설계한 유동 채널에서 유체의 거동을 확인하고 성능을 검증하였습니다. 유체가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저항없이 흐르며 입출구에서 압력강하를 25% 줄여 본 연구는 ‘Materials’에 게재되었습니다.
‘MOLDEX 3D’를 사용한 사출 해석으로 열관리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용융된 수지로 가열된 사출 금형에 대하여 열해석을 통해 냉각이 부족한 영역을 찾아내었습니다. 부족한 냉각으로 인한 사출품의 후변형을 예측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냉각 채널을 설계해 전체 공정 시간을 32% 줄여 본 연구는 ’Polymers’에 게재되었습니다.
여러 분야에서의 CAE연구를 통해 쌓은 연구 통찰력으로 새로운 연구를 마주하여도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연구를 이끌어 나가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2. My Future 본인이 지원한 직무관련 향후 계획에 대하여
Guide> 본인이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본인의 향후 미래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기반 새로운 기술 개발”
최근 데이터 기반 기술이 발전하며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과 현실을 이어주는 메타버스나 접촉만으로 데이터 공유 등이 가능한 NFC 등 데이터를 다루고 활용하는 기술이 발전하였습니다. 현재 공학 계열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품의 성능을 예측할 때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성능을 미리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뮬레이션은 가상공간에서 실제 물리 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수집해 데이터마이닝과 머신러닝을 이용해 데이터 기반 성능 예측 및 설계 기술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성능 예측과 동시에 보완된 설계안을 개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해 공학의 새로운 길을 열 수 있을 것입니다.
데이터 기반의 성능 예측과 설계 기술을 융합해 고성능의 부품 개발과 동시에 성능 예측을 통해 효율적으로 부품을 개발하고 실제 산업에 적용해 미래를 선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