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물리학과 / 학점 3.84/4.3 / 오픽: IH /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연구실 인턴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
새창
목록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지원직무와 관련 있는 전공 혹은 교양 수강과목 (500자 ~ 1000자) ※ 본인이 지원한 직무와 관련 있는 전공 혹은 교양 수강과목을 4~5개 나열하고 선정 사유 및 직무연관성을 간단히 기재하세요. (①과목명, ②학점, ③선정사유와 연관성을 반드시 포함 할 것) (1000자 이내)
전공과목인 ‘기초전자’를 수강했으며 학점은 A+입니다. 이 과목을 통해 pn 접합,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학습하며 반도체 산업에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Kirchhoff, Thevenin, Mesh Method 등 기초 회로 분석 방법을 학습했으며 기초 전자회로를 이해했습니다. 반도체 소자 기본 구조 지식은 생산기술 엔지니어로서 CPU, GPU 등을 조합한 System-on-Chip을 제작하여 모바일 Application Processor를 구현하는 업무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공과목인 ‘전자기학’을 수강했으며 학점은 A+입니다. 이 과목을 통해 정전기장의 개념과 성질을 학습했습니다. 또한, 전자기적 현상을 포괄하는 맥스웰 방정식과 전자기파의 특성을 공부했습니다. 이 역량은 전자기기의 기본 동작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물리 공정 개선 및 해석 업무 수행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공과목인 ‘고체물리학’을 수강했으며 학점은 A+입니다. 이 과목을 통해 금속의 특성과 미세 구조를 물리학적 관점에서 학습했으며 살창 진동, 화학 결합 등을 공부했습니다. 이 역량은 제품별 생산 기술 과정을 이해하는데 연관되며 생산 공법 개발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생산 공법과 장비 설치 업무에는 제품의 소재 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물질의 기본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공정 효율 향상과 자동화 방법 고안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공과목인 ‘반도체공학’을 수강했으며 학점은 A+입니다. 이 과목을 통해 실제 반도체에 사용되는 소자들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기본적인 반도체 동작 원리와 공정 과정에 대해 이해했습니다. 이 역량은 제품 생산 공정의 빠른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며 공정 및 장비 개발 업무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자전기 엔지니어의 업무인 레이저 공정 개발은 박막 패터닝 측면에 반도체 Photo 노광 공정과 이론상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공정에 관해 학습한 경험을 바탕으로 레이저 기술의 이슈를 해결하여 선행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프로젝트 경험 (500자 ~ 1000자) ※ 최선을 다해 참여했던 학교 수업의 팀플레이 과제, 경진대회, 공모전 등 가장 기억에 남고 많은 것을 배운 프로젝트에 대해 기술하세요. 프로젝트 제목/기간/참여 인원/본인의 역할/내용과 결과/본인의 역할을 반드시 포함해주시고, 최초 프로젝트 목표, 목표 대비 달성 수준과 본인이 배우고 느낀 점을 포함하면 좋습니다. (1000자 이내)
클린룸에서 얻은 문제해결능력
전자전기공학부 학부연구생으로 논문 기반 실험에 참여해 공정 이슈 해결 경험을 했습니다.
Wide-range Motion Recognition through Insole Sensor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s 제목의 논문에 기반한 실험에 참여했습니다. 실험의 목표는 Multi-walled CNT와 PDMS를 사용해 wearable insole system에 사용되는 pressure sensor의 필름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Spin-Coater와 UV Mask Aligner를 사용하여 N-PR Patterning을 통해 Cr-glass 상단에 전극을 증착했습니다.
강한 압력과 충격에도 부서지지 않고 선형적인 저항 변화가 발생하는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이슈는 신축성과 단결성입니다. Solvent 내의 MWCNT 함량이 6wt 이상이면 저항의 변화가 미미하거나 비선형적이었고 7wt~10wt의 경우에는 단결성이 감소하여 부서지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또한, solvent 내의 수분이 부족하면 신축성이 감소하여 갈라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IPA 용액을 추가로 넣고 bake 온도를 160도에서 80도, 시간을 20분에서 2시간으로 변경했습니다. 시행착오를 거치며 solvent의 적정 비율을 찾고 stirring rpm, hot plate의 종류, layer의 개수 등을 조절하며 실험을 진행한 결과, 5wt solvent로 단일층을 제작했을 때 필름 완성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이를 통해, 실험을 계획하고 이슈에 접근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또한, 반복되는 실험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여 소자의 완성도를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사전 지식 및 경험은 생산 이슈 해결을 통한 수율 검증 업무에 빛을 발할 것입니다. 솔루션 없는 이슈는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열정적인 생산기술원 전기전자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3. "LG전자"에 대한 지원동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주십시오. (100자 ~ 1000자) (1000자 이내)
옹스트롬 시대의 선구자
생산기술원 전기전자 엔지니어로 Display Driver IC의 이슈를 해결하여 디스플레이의 옹스트롬 시대를 선도하고자 LG전자에 지원했습니다.
어린 시절, 레고 학원에 다닐 정도로 만들기에 흥미가 있었고 이후, 전자기기 조립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이 경험은 성장 후 물리학 전공과 반도체 엔지니어의 꿈으로 이어졌습니다. 직무를 위한 기본 학습을 위해 반도체공학, 고체물리학 등 전공과목을 수강했고 반도체 공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학부 3학년 당시, 이론 학습의 한계를 느끼고 엔지니어의 실무를 배우고자 전자전기공학부 디스플레이 및 소자 연구실 인턴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UV mask aligner와 Spin-Coater 등 공정 장비 조작 및 실험 데이터 분석 역량을 기를 수 있었고 이후 교수님의 추천으로 산학 협력 실험에 참여해 Photo 공정을 직접 진행하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N-PR과 P-PR Patterning을 진행하며 열정을 갖고 공정의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소자를 이중 증착하는 과정에 N-PR을 적용하기 위해 실험 레시피를 수정한 후 공정 단순화와 패턴 손상 감소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직접 공정 step을 수정하고 최적 조건을 도출하며 엔지니어로서 성취감을 느꼈습니다. 이 경험은 RD 전기전자 엔지니어로서 아날로그 반도체 회로의 최적 조건 탐색과 레시피 표준화 역량의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모든 디스플레이의 핵심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뛰어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화소 수가 급진적으로 증가했습니다. DDI는 수많은 화소를 구동하며 색을 통제하는 데 쓰이는 칩으로 부 화소 즉, RGB를 조절하는 핵심 소자입니다. 또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도입되고 옹스트롬의 시대가 도래하며 DDI의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향후 LG전자에 입사해 DDI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Quantum Nano cell 디스플레이의 시야각과 명암비를 확보하고 디스플레이 산업의 선구자가 되려는 목표를 이루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