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전공 수강이력 (지원직무와 관련 있는 전공 혹은 교양 수강과목)
※ 본인이 지원한 직무와 관련 있는 전공 혹은 교양 수강과목을 4~5개 나열하고 선정 사유 및 직무연관성을 간단히 기재하세요. (①과목명, ②학점, ③선정사유와 연관성을 반드시 포함 할 것)
시스템반도체설계 - A+
시스템 반도체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PPA를 최적화하는 설계기법을 학습합니다.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된 회로보다 전력 소모를 감소하고, 성능을 향상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회로의 PPA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상세히 분석하여 10퍼센트 이상의 PPA개선을 이뤘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하드웨어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업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디지털집적회로설계 - A+
논리회로에서 쌓았던 지식을 기반으로 로직 게이트 및 메모리 회로 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수강했습니다. Nand 같은 간단한 논리 게이트부터 Multiplier까지 설계 및 검증을 진행했습니다. TV회로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집적회로 설계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논리 소자를 설계하고 검증하는 경험으로 하드웨어 제품 개발과 설계에 있어 경쟁력을 갖추었습니다.
전자회로 1 - A0
트랜지스터, 증폭기 그리고 필터의 구성과 원리 등 능동회로 설계에 대한 개념을 학습합니다. HW직무에 있어서 회로에 대한 직관적 해석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자회로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기반으로 회로 해석 역량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실무 회로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목이라 생각되어 선정했습니다.
전파공학 - A+
무선 통신용 수동소자 중 핵심을 이루는 부품인 안테나를 공부하기 위해 해당 수업을 수강하였습니다. 무선 장비에서 안테나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으면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의 적절한 설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수업을 통해 안테나의 동작 원리, 미소 안테나, dipole 안테나, 루프 안테나, 고 이득 안테나 등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에 대해 배움으로써 안테나의 특성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능력을 토대로 제품의 통신을 검증하는 역할에 적합한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2. 프로젝트 경험
※ 최선을 다해 참여했던 팀플레이 과제, 경진대회, 공모전 등 가장 기억에 남고 많은 것을 배운 프로젝트에 대해 기술하세요. 프로젝트 제목/기간/참여 인원/본인의 역할/내용과 결과/본인의 역할을 반드시 포함해주시고, 최초 프로젝트 목표, 목표 대비 달성 수준과 본인이 배우고 느낀 점을 포함하면 좋습니다.
"새로운 설계방식으로 IEEE에 논문을 투고하다"
연구생 인턴 과정 중 선배 연구실원과 함께 AI 연산 속도를 개선하는 모델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8 개월간 진행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 설계된 모델의 면적을 기존보다 30퍼센트 이상 줄이는 성과를 보여 IEEE에 1 저자로 투고했습니다.
설계된 모델의 경우 AI 연산 속도는 2 배 이상 개선하였지만, 수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 게이트 구조를 실제 설계에서 구현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설계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예상보다 면적을 15퍼센트가량 더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Layout 최적화에 관련된 논문 14편을 분석하고, 설계 기법에 관련된 3 개의 특허를 조사했습니다. 논문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셀간 metal line과 diffusion 영역을 겹쳐서 설계하여 면적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생각했습니다. 또한 설계 과정 중 발생한 셀의 공백영역에 좌우의 셀을 이어서 설계하여 여유 면적을 최소화했습니다. 결과적으로, 4개의 인접한 셀의 겹치는 영역을 공유해서 설계하는 방식으로 기존방식 대비 30퍼센트 이상의 면적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수직으로 배치된 트랜지스터 게이트를 다른 방식으로 배치해서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게이트를 평행하게 배치하되 게이트에 연결되는 metal line 만을 직교하게 설계하는 방식으로 모델의 수직구조를 충족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모델을 추가적으로 설계하여, 회로 엔지니어들이 요구하는 Spec에 따라 최적화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최적화 방법론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IEEE에 논문을 투고하는 성과를 이뤘습니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면, 더 고민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입사 후 LG전자 HE 사업부의 설계 엔지니어로서 발전하는 전략을 찾아, 고품질의 제품을 선보이겠습니다.
3. 자기소개 문항 1
"LG전자"에 대한 지원동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주십시오.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며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엔지니어"
LG전자 HE사업부는 고객들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여 올레드 TV를 세계 최초로 출시한 후 10년에 걸쳐 TV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AI칩에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한 ‘독자영상처리기술’과 빛 제어기술’을 통해 잔상문제를 해결하고 밝기, 명함비를 향상한 점은 LG전자의 뛰어난 기술력을 입증합니다. 특히 알파 9 프로세서 6세대를 통해 기존 제품 대비 밝기를 74% 높이고 HDMI 2.1의 최신 규격인 QMS VRR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했다는 점은 LG전자가 올레드 티비 시장을 이끌 기업이라는 것에 확신을 더해주었습니다.
23년에는 사용자 맞춤 기능이 늘어난 웹 OS기반의 TV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LG전자 HE 사업부가 고객들과 소통하며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고객의 니즈를 만족하게 하겠다는 저의 가치관을 실현할 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되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실 인턴 과정 중, "PIM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사업"에서 BNN과 TNN 모델의 256x256 메모리 어레이와 주변 Perri까지의 설계를 통해 두 개의 모델을 비교 및 분석하는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전체 Chip을 Layout 하는 경험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설계 도중 생각하지 못한 에러가 발생했으며, 트랜지스터 Hacking 과정 중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는 소자연구실에 찾아가 이전에 진행했던 비슷한 연구를 분석하며 오류를 해결해 나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2,3차년도 국가 과제를 성공적으로 마쳐 투고한 논문의 공저자로 등재되었습니다.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겁먹지 않고 부딪혀 나간 경험을 토대로 TV회로 설계 및 검증을 하는 직무에서 저의 역량을 발휘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