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링커리어
리스트박스

합격 자소서

삼성전자 / DS부문 메모리사업부_반도체공정기술 / 2022 하반기

인서울4년제 / 신소재공학과 / 학점 3.26/4.5 / 오픽: IM2 / 사회생활 경험: 정출연 인턴(10개월) / 해외봉사(약 2주), 학과학생회

보고있는 합격자소서 참고해서 내 자소서 작성하기닫기
마음에 드는 문장을 스크랩 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PC에서 이용해보세요.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시사프로젝트_스포츠조선_[LG생건/올영/토니모리]뷰티 3대장 직무스펙 한번에, 뷰티메이저기업 신입 상시인재 발굴 프로젝트_250328 자만검 배너 이미지


1. 삼성전자를 지원한 이유와 입사 후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꿈을 기술하십시오. (700자) [초격차의 삼성전자] 삼성전자에서 차세대 반도체 기술에 도전하는 엔지니어가 되고자 지원했습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는 항상 도전이었습니다. 0부터 시작하여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기틀을 다졌고, 최근에는 수 nm 미세공정의 선제도입으로 기술의 초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도체학술대회 등의 초청강연에서는 삼성전자 엔지니어들의 기술력과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학부 연구생과 석사 과정 4년 간 열전 재료와 0TS 셀렉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ALD를 중심으로 박막 증착과 노광 등 반도체 공정에 대해 경험을 쌓았습니다. 직접 ALD 공정 레시피를 최적화하고 소자를 제작하며 기술적인 직무에 매력을 느꼈고, 이 경험은 공정기술직무와 적합하다 생각합니다.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개발 및 소형화를 위해서는 ALD, EUV공정과 같은 초미세 공정이 필수적입니다. ALD는 GAA, VNAND 등 높은 단차피복성과 세밀한 두께 조절이 요구되는 구조에 필수적입니다. 이런 명확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원자 단위로 한층씩 쌓는 공정 특성으로 인해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ALD 장비에 대한 지식과 공정 최적화 경험을 기반으로 레시피와 공정 구조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하겠습니다. 삼성전자에서 공정 이슈 해결과 레시피 최적화를 배우고, 전문 지식을 쌓아 차세대 공정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엔지니어로써 발전하고 싶습니다. 2. 본인의 성장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되 현재의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인물 등을 포함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작품 속 가상인물도 가능)(1500자) [걸어 다니는 검색창] 대학시절 친구들이 붙여준 별명이 알쓸신잡이었습니다.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잡지식이 많아 생긴 별명입니다. 친구들은 사소한 궁금증이 생기면 저에게 물어봤고, 대부분 대답을 해줄 수 있었습니다. 강한 호기심을 가지고 문화, 자연, 인문학 등 분야와 관계없이 궁금하면 궁금증이 풀릴 때까지 집요하게 공부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양한 분야를 체험하고 궁금증을 해결해 주셨던 부모님 덕분인지, 강한 호기심과 집요함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호기심은 연구실에서도 계속해서 이어졌습니다.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하며, '왜?' 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유를 알아내고자 노력했습니다. 이는 실험이나 논문 작성 중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박막을 이용한 열전 성능 향상 연구 중, 샘플의 전기적 특성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한 예상과 달랐던 적이 있습니다. 박막에서 캐리어 산란이 발생하여 이동도의 감소를 예상했으나, 이동도가 증가했습니다. 기존과 다른 결과였기에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습니다. 이유를 찾고자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XPS 데이터에서 원인을 찾았습니다. XPS에서 증가한 OH 피크로부터 새로 원인 검토를 시작했습니다. 분말공정 중 수분의 혼입을 원인으로 생각하여,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OH기와 H+가 전자 이동도를 높이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유에 대한 호기심과 꼼꼼한 데이터 복기 덕분에 새로운 해결책을 얻은 경험이었습니다. 호기심을 가지고 항상 새로운 해법을 고민하는 엔지니어의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긍정의 땅 아프리카] 10년 전 고등학생 시절, 아프리카로 봉사활동을 다녀왔습니다. 낙후된 이미지로만 바라봤던 아프리카에서 저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사람을 대하는 진실성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처음 도착했을 때는, 미디어에서 봤던 선입견을 가진 상태였습니다. 광활한 자연이 있지만, 사람들은 가난하고 불행한곳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현지인들과 만나고, 그들의 밝은 모습에 생각을 완전히 바꾸게 되었습니다. 낡은 옷을 입고 제대로 된 책조차 없는 곳에서 공부하지만, 어린 아이들은 모두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간식으로 우리나라가 먹던 메뚜기 같은 벌레를 먹지만 그 작은 것 하나에도 밝게 웃는 얼굴을 보여주었습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꿈을 잃지 않는 모습을 보고 힘들어도 굴하지 않는 긍정적인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았습니다. 그들은 먼저 다가와 친구가 되어줬고, 마음을 열자 쉽게 협력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저희의 일인 위생화장실 건축 같은 봉사활동에도 마을 사람들 모두가 함께해주었습니다. 봉사단원만으로는 기간 내에 끝낼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멀고 낯선 아프리카에서 긍정적인 마음과 진실성이 사람들을 어떻게 이어주는지 배웠습니다. 열악한 조건에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진실성으로 협력을 얻는 엔지니어로써 사회적 기업이 되는 삼성전자에 일조하겠습니다. 3. 최근 사회 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 가지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자신의 견해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지구, 지속가능성] 쓰레기 매립지 부족 문제는 매년 심각해지고, 태평양에는 쓰레기 섬이 떠다니며, 미세먼지는 일상이 되었습니다. 환경 오염은 본격적으로 악영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환경 오염에 대한 기업과 정부 단위의 대처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현재 오염에 대한 대규모의 대책이 부족합니다. 현재 정부에서 실행되는 것만해도, 분리수거나 일회용품 줄이기 등 실효성 없는 대책만이 전면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보다 적극적인 탄소배출권 도입, 공업 폐기물에 대한 강력한 규제 등 대규모오염원에 대한 대책 강화가 필요합니다. [오염방지와 교육정책] 크게 두 방향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규제와 동반한 경제적 가치 창출입니다. 과도하게 강제적이면 반발이 발생하고, 무르면 지켜지지 않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벌금이나 폐기물 정화 강제 등의 규제와 동시에 세제 혜택과 같은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물론 공공 사업의 친환경적 행보가 동반되면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탄소 저감 장치 설치 규제, 폐기물 불법 배출 처벌 강화, 모범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두 번째, 환경 문제에 대한 교육을 통한 전세계적인 의식 향상입니다. 정부와 기업은 대중의 지지를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위에서 제시한 규제 대책이 힘을 얻기 위해선 환경 오염으로 인한 지속가능성 저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강연, 수업을 통한 교육도 필요하지만 좀 더 근본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재미가 있는 교육'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게임, TV예능 등 엔터테인먼트와 함께하는 교육법이 가장 적합할 것입니다. 흥미를 먼저 가지게 한 뒤 세부적이고 진지한 교육이 동반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를 얻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반도체 분야의 선두에서 삼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을 추구하는 인재가 되겠습니다. 4.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경험(심화전공, 프로젝트, 논문, 공모전 등)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지원 직무에 적합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분말 ALD 공정 레시피 개발과 최적화, 0TS 셀렉터 제조 중 노광 공정 이슈 해결 경험이 있습니다. 연구 내용에 대한 학회 발표 및 수상, SCI 논문 출판 등 성과를 얻었습니다. 현재는 X-Ray 분석실에 인턴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XRD, XRR, pole-figure 분석 등 X-Ray 기반의 박막분석을 주로 맡아 분석 지원 업무를 수행 중입니다. 공정을 계획하고 수행한 경험, 반도체, 태양전지 등 다양한 박막소자를 분석한 경험은 신규 공정 및 소재 개발과 제품 defect, 물성 분석을 담당하는 공정 기술 직무에 적합한 경험입니다. [박막 증착을 통한 40% 성능 향상] ALD 공정을 개발 및 최적화하고 SnSe, BiTe 분말 열전 소재에 ZnO ALD 박막을 증착하여 열전 성능을 개선한 결과를 얻고, 관련 SCI 문헌을 출판하였습니다. 분말 ALD에 대한 온도, 전구체 주입 시간, 회전 속도 등의 공정 변수를 조정하여 공정 레시피를 A부터 Z까지 설정했습니다. 당시 분말 ALD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직접 부딪히며 조건을 찾아야 했습니다. 온도, 회전 속도, 공정 레시피 등 설정을 위해 수많은 변수 실험을 반복한 결과, 두께를 제외한 변수를 고정했습니다. 이후 ZnO 박막을 10-100 ALD 사이클로 증착 후 열전 특성을 분석하여 기존 샘플의 열전 성능지수 0.32에서 10 사이클 샘플의 0.47로 40% 향상된 성능을 얻었습니다. [노광 환경 이슈 해결] OTS 셀렉터 제작을 위해 스퍼터링 금속 전극 제조, 노광 공정 기반 패터닝, ALD 접착층 증착공정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노광 공정 중 장비와 현상액 등 환경이 변경되어 현상 시 패턴 lift off가 불완전한 문제가 있었으나, 현상액의 노출 시간, 레이저 파장 등 논문정보를 기반으로 동료와 상의 끝에 현상액 노출 시간을 늘려 정확한 패턴을 얻었습니다. 완성된 소자는 l-V analyzer로 TS 특성을 확인 후, in-situ 열분석을 통해 안정적인 열 특성을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