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해당 공고 및 세부 수행직무를 희망하는 이유와 본인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이유 및 근거를 제시해 주십시오.
미래 모빌리티의 선도 기업인 현대자동차의 차량 성능 평가 및 개발 부문에서 BEV, HEV 등 전동화 차종의 NVH 성능 개발 업무를 수행하며 전동화 시스템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이동수단을 넘어서 운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의하며 글로벌 전동화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바, 저는 이 분야의 모터 개발 직무에 관심이 많습니다. 전기기기 최적 설계 연구실, H모빌리티 클래스 수료, 매치업 직무 능력 평가를 인증 받은 제가 해당 공고에 적합한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DD모터 설계, 전기기기 전문성 배양]
전기기기 최적 설계 연구실에서 1년 6개월 간 학부연구생으로 DD모터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모터에 대한 전문성과 MATLAB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MATLAB을 이용한 전기기기 모델링과 Meta-heuristic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빠르고 정확한 최적 설계 기법을 학습했습니다. 구동 사양에 맞는 모터 형상을 설계하고 설계 변수와 모터 성능의 상관관계를 연구했습니다. 이후, 코에너지 기반의 서브 도메인 모델과 TLBO 알고리즘을 결합한 개방 슬롯 SPM 최적 설계 기법을 고안해냈으며, 현재 IEEE저널에 revision 작업 중에 있습니다. 모터의 형상을 변형하며 전자기 성능을 연구하고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전기기기에 대해 심도 깊이 이해하였습니다.이러한 경험으로부터 H-모빌리티 클래스의 신재생 자동차 기본 및 모터 과정 수료 뿐만 아니라 매치업 직무 능력 인증 평가를 통과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모터 분야에서 직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PE시스템의 NVH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모터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일련의 경험을 통해 학습한 전문성을 통해 PE시스템 NVH 성능 개발 업무를 수행하며 운전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2. 본인의 역량을 나타낼 수 있는 주요 전공과목(최대 5개)을 선정하여, 해당 과목에서 습득한 역량 및 성취도(학점)를 기술해 주십시오 ※ 석사과정자는 연구경력 및 세부 전공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 전기기기(A0)에서 모터 설계 변수와 성능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PM 형상 설계 기법과 전자기 성능 해석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특히, 형상 설계와 코일 설계의 분리를 통해 효율적인 계산법인 최신의 설계 기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후, 전기기기 학부 연구생에 참여하여 수업에서 배운 설계 이론을 토대로 DD모터 최적 설계를 수행하며 모터 최적 설계 역량을 길렀습니다.
- 전기자동차 공학(B-)에서 HEV, FCEV, BEV 등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의 구조와 배터리,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모터 등 전동화 부품에 대한 동작원리와 특성을 학습했습니다. 특히, IPM, SRM, 인 휠 모터 등 현재 전기자동차에 널리 사용되는 모터에 대한 특성과 연구 과제를 공부했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헤어핀 권선법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차세대 기술인 MSO 권선법을 130kW급 EV모터에 적용한 연구에 대해 탐구하였습니다. 더불어 현재 전기차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점인 전기차 냉각 방식을 주제로 발표하며, 공냉, 수냉, 유냉 방식의 장단점과 구조를 학습하였습니다.
- 에너지변환실험(B+)에서 3상 유도기, 동기기, 직류기 회로를 직접 결선하고 구동 실험을 통해서 각 전동기의 특성과 기동 방법에 대한 이해 역량을 쌓았습니다. 실험을 통해 전동기의 회전 방향 제어 기법과 회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며 전동기 특성을 파악했습니다. 더불어, 부하, 무부하 시험을 통해서 전동기의 출력, 속도, 효율 등을 조사하여 실제 운전 상황에서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는 역량을 길렀습니다.
- 전력전자 A- 전력용 반도체와 반도체 전력 변환 장치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에 의한 정류 회로, AC/DC, DC/DC 전력변환 회로들의 해석, 동작 원리, 설계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 B+ DE2 board와 Quartus프로그램을 이용한 PLD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제어기 설계에 필요한 PLD 설계 역량을 키웠습니다. 이론 수업에서 배운 Flip-Flops, State Machine, Switch Debouncer를 이용하여 계산기와 카운터를 설계하며 PLD에 대한 이론과 VHDL 역량을 길렀습니다.
최고 품질의 상품들을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유통 채널에서 더욱 폭 넓고 쉽게...
1. 해당 공고 및 세부 수행직무를 희망하는 이유와 본인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이유 및 근거를 제시해 주십시오.
미래 모빌리티의 선도 기업인 현대자동차의 차량 성능 평가 및 개발 부문에서 BEV, HEV 등 전동화 차종의 NVH 성능 개발 업무를 수행하며 전동화 시스템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이동수단을 넘어서 운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의하며 글로벌 전동화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바, 저는 이 분야의 모터 개발 직무에 관심이 많습니다. 전기기기 최적 설계 연구실, H모빌리티 클래스 수료, 매치업 직무 능력 평가를 인증 받은 제가 해당 공고에 적합한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DD모터 설계, 전기기기 전문성 배양]
전기기기 최적 설계 연구실에서 1년 6개월 간 학부연구생으로 DD모터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모터에 대한 전문성과 MATLAB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MATLAB을 이용한 전기기기 모델링과 Meta-heuristic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빠르고 정확한 최적 설계 기법을 학습했습니다. 구동 사양에 맞는 모터 형상을 설계하고 설계 변수와 모터 성능의 상관관계를 연구했습니다. 이후, 코에너지 기반의 서브 도메인 모델과 TLBO 알고리즘을 결합한 개방 슬롯 SPM 최적 설계 기법을 고안해냈으며, 현재 IEEE저널에 revision 작업 중에 있습니다. 모터의 형상을 변형하며 전자기 성능을 연구하고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전기기기에 대해 심도 깊이 이해하였습니다.이러한 경험으로부터 H-모빌리티 클래스의 신재생 자동차 기본 및 모터 과정 수료 뿐만 아니라 매치업 직무 능력 인증 평가를 통과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모터 분야에서 직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PE시스템의 NVH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모터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일련의 경험을 통해 학습한 전문성을 통해 PE시스템 NVH 성능 개발 업무를 수행하며 운전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2. 본인의 역량을 나타낼 수 있는 주요 전공과목(최대 5개)을 선정하여, 해당 과목에서 습득한 역량 및 성취도(학점)를 기술해 주십시오 ※ 석사과정자는 연구경력 및 세부 전공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 전기기기(A0)에서 모터 설계 변수와 성능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PM 형상 설계 기법과 전자기 성능 해석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특히, 형상 설계와 코일 설계의 분리를 통해 효율적인 계산법인 최신의 설계 기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후, 전기기기 학부 연구생에 참여하여 수업에서 배운 설계 이론을 토대로 DD모터 최적 설계를 수행하며 모터 최적 설계 역량을 길렀습니다.
- 전기자동차 공학(B-)에서 HEV, FCEV, BEV 등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의 구조와 배터리,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모터 등 전동화 부품에 대한 동작원리와 특성을 학습했습니다. 특히, IPM, SRM, 인 휠 모터 등 현재 전기자동차에 널리 사용되는 모터에 대한 특성과 연구 과제를 공부했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헤어핀 권선법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차세대 기술인 MSO 권선법을 130kW급 EV모터에 적용한 연구에 대해 탐구하였습니다. 더불어 현재 전기차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점인 전기차 냉각 방식을 주제로 발표하며, 공냉, 수냉, 유냉 방식의 장단점과 구조를 학습하였습니다.
- 에너지변환실험(B+)에서 3상 유도기, 동기기, 직류기 회로를 직접 결선하고 구동 실험을 통해서 각 전동기의 특성과 기동 방법에 대한 이해 역량을 쌓았습니다. 실험을 통해 전동기의 회전 방향 제어 기법과 회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며 전동기 특성을 파악했습니다. 더불어, 부하, 무부하 시험을 통해서 전동기의 출력, 속도, 효율 등을 조사하여 실제 운전 상황에서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는 역량을 길렀습니다.
- 전력전자 A- 전력용 반도체와 반도체 전력 변환 장치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에 의한 정류 회로, AC/DC, DC/DC 전력변환 회로들의 해석, 동작 원리, 설계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 B+ DE2 board와 Quartus프로그램을 이용한 PLD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제어기 설계에 필요한 PLD 설계 역량을 키웠습니다. 이론 수업에서 배운 Flip-Flops, State Machine, Switch Debouncer를 이용하여 계산기와 카운터를 설계하며 PLD에 대한 이론과 VHDL 역량을 길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