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D+520

달서맛나 음식점 사진공모전

2270

상세내용

달서맛나 음식점 사진공모전


[공모 주제]

- 달서구 맛나음식을 스토리텔링하다


[공모 내용]

- 달서구 대표 음식점인 달서맛나 음식점 또는 선사시대로 맛나 음식점과 대표 메뉴를 소개 할 수 잇는 사진으로 달서구의 맛과 멋을 표현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진


[지원 자격]

- 누구나 참여가능 (지역, 연령 제한 없음.


[모집 기간]

- 2023.10.10. ~ 2023.11.10.


[지원 방법] : 온라인 접수


[출품작수]

- 1인 3점 이내 

- 파일크기 6Mb 이하

- 모바일, 드론 촬영 사진도 응모 가능


[출품조건]

- 출품시 작품명, 작품설명, 촬영장소 및 촬영시기 필수 기재

- 출품작은 공모전의 주제에 부합해야 되고 공모전입상 등의 내역이 없는 작품

- 출품작의 음식점을 방문, 해당메뉴를 주문하여 촬영


[시상내역]

- 총 13점 / 상금 총 260만원(참가상제외)

※ 참가하신 모든분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문의 사항]

- 대구광역시 달서구 위생과 053-667-2785 

달서맛나 음식점 사진공모전

지원서 다운로드

  • '지원서 파일 없음'

이 공고를 스크랩한 사용자들이 궁금하다면?

내 정보를 입력하면 스크랩한 사용자들의
학교, 전공, 연령, 관심 직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 활동에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 (8명)

합격스펙 & 합격자소서

더보기오른쪽 화살표
  • 전문대 / 신소재응용학 / 학점 3.73 / 사회생활 경험: 인천약품,계양구보건소 / 한국사검정시험: 고급, 컴퓨터활용능력: 2급, 기타: 압연기능사,ITQ한글파워포인트중급,침투비파괴기능사

    1. 성장과정 저는 꾸준함의 가치를 배우게 된 경험이 있습니다. 헬스 운동을 시작하기 전까지 무기력하고 자신감이 떨어져 있던 사람이였습니다. 무기력함을 떨쳐내고 자신감을 높이고 싶어 운동을 취미로 하는 친구에게 운동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을 하여 헬스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운동을 시작하며, 처음에는 너무 힘들고 헬스장에 나가는 것도 싫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운동을 하게되면서 반년 후에 거울을 보니 내 몸이 좋아졌다는 것을 느꼈고, 어느새 적용하지 않았던 루틴들을 인터넷이나 소셜에 직접 검색을 하며 스스로 찾아보는 경지에 이르렀습니다. 현재는 목표 무게를 설정하여, 목표 무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저는 이 일을 통해, 포기하지 않는 꾸준함의 가치를 배우게 되었고, 어려운 목표를 설정할 때마다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는 계기로 삼게 되었습니다. 2. 성격의 장단점 제 성격의 장점은 꼼꼼하게 업무를 마무리하는 성향이 있다는 점입니다. 2022년 선별진료소에서 선별 업무를 했을 때, 검사를 받으러 오는 민원인이 많은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동명이인인 민원인이 검사를 받아 동명이인 한 명의 검체가 누락이 되는 경우가 일어난 적이 있었다고 이 부분을 주의해달라는 얘기를 선임 선생님들에게 들었습니다. 코로나 19 검사인만큼, 검체가 누락 되지 않게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그래서 전자문진표에 동명이인인 민원인이 있는지 미리 체크를 하고, 동명인이 있는 경우 다른 의료진 선생님들에게 혼동되지 않도록 안내하고 원활하게 검사 업무를 마무리한 경험이 있습니다. 제 성격의 단점으로는 꼼꼼하게 업무를 수행하려는 탓에 업무의 처음 배움에 있어서 속도가 느리다는 점입니다. 이 점이 선별진료소팀으로 일을 수행할 때에 업무 속도가 느려져 전체적인 업무에 지장을 준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임에게 모르는 업무 내용을 물어보고, 업무를 하다 스스로 깨달은 노하우가 있으면 메모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업무 수행 능력이 좋아져 하루에 100명의 검사 민원을 맡아왔던 제가, 200명 넘게 검사 진행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경력사항 (혹은 업무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경험사항) 저는 팀워크를 중요시하며, 동료들과 함께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또한,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접근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발생한 선별진료소에서 행정 업무와 함께 의료진으로 일하였습니다. 선별진료소에서의 팀워크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선별진료소 팀에서는 의료진, 안내원, 관리자(주사님)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는데, 서로의 일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자세로 협업을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환자 검사가 급격히 증가할 때는 의료진이 서로 도와가며 검사를 진행하였고, 안내원은 환자들을 원활하게 안내하며, 관리자는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준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팀워크가 강화되고 우리 팀은 선별진료소 운영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팀워크가 중요한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고,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협업하는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4. 지원동기 및 포부 계양구청은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며, 사회문제에 대한 대처와 문제해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가 계양구청에서 하계 대학생 아르바이트를 했을 당시, 계양3동 행정복지센터로 근무를 가게 됐습니다. 당시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65세 이상의 어르신분들이 각 통장님들을 통해 백신 접종 신청을 하거나, 오프라인으로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서류작성을 통해 백신 접종 신청을 하는 지원 서비스를 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우유팩, 아이스팩, 무색 페트병을 모아오면 10리터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주는 서비스를 비롯해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시는 민원인분들을 보고, 이러한 서비스와 지원이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계양구에서의 청년인턴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이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일에 일조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싶습니다.

    2023 하반기

    계양구청

    인턴 사무보조

  • 가천대 / 행정학과, 경제학과 / 학점 3.79/4.5 / 기타: G-TELP Level2 78 / 경제연합동아리, 신문동아리 경제부, 자유기업원 경제칼럼공모전 우수상 수상 / 한국사검정시험: 고급

    1. 새마을금고에 지원한 이유를 본인의 역량, 강점, 경험 등 사례를 들어 작성해 주십시오.(500자 이내) 저는 성장 과정에서 사람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을 자주 맡았습니다. 또한, 구청과 도청 등 공공기관에서 주최하는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 소통하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험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쌓았습니다. 새마을금고를 방문하는 고객들은 신혼, 노후, 주택과 관련된 대출 등 금융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여러 사연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저는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이러한 사연에 공감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꼭 필요하고 알맞은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주거래 고객 유치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또한, 행정학과 경제학을 전공하며 쌓은 배경 지식은 업무 시 다양한 고객을 이해하고, 맞춤형 응대를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2.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타인과 협력하여 팀워크를 발휘한 경험을 소개하고, 그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작성해 주십시오.(500자 이내) 2019년에 연합동아리에서 부회장을 맡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이유로 이탈하는 인원이 점점 늘어났습니다. 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우리 동아리가 다른 활동과 병행하기 어렵거나 타 동아리와 비교했을 때 매력적이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특히, 주 콘텐츠는 괜찮았지만, 관련 스터디나 봉사활동 같은 보조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이에 남은 동아리원들과 함께 스터디와 봉사활동 유치에 집중했습니다. 스터디는 경제 관련 신문 읽기, 한능검 준비, 테셋 스터디를 계획했으며, 봉사활동은 다른 간부에게 맡겨 JA KOREA 봉사단 등 다양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결과, 다음 기수부터 이탈 인원이 10명 이상에서 5~6명 정도로 줄어들었고, 동아리는 지속적으로 운영되며 현재 10년 이상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팀원들과의 협력과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문제를 명확히 인식하고, 팀원들과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며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팀워크의 힘을 깊이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3. 끈기 있게 도전하여 성공 또는 실패했던 경험과, 그 과정에서 느낀 교훈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500자 이내) 조부모님과 어머니를 병간호하며 예상했던 타임라인보다 학업이 늦어지게 되었습니다. 간호와 동시에 꾸준히 공부를 이어가면서, 다른 동기들보다 조금 늦었지만, 확실하게 실력을 쌓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특히 부전공이었던 경제학을 복수전공으로 변경하고, 학점 보충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매일 복습과 함께 하루 일과를 정리하며,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공모전에도 참여하며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1년 6개월 동안 꾸준히 매진한 결과, 모든 전공 과목에서 A를 받지는 못했지만, 성적을 꾸준히 향상시켜 3학기 평균 4.3 이상의 학점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자유기업원의 경제 칼럼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는 성과도 이루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시간 관리의 중요성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또한, 꾸준한 노력과 목표를 향한 끈기의 가치를 깨달았습니다.

    2024 하반기

    MG새마을금고

    일반직(경기)

  • 인하대 / 전기공학과 / 학점 3.32 / 토익스피킹:130/레벨6 / 교내 자작자동차 공모전 / 기타: 운전면허 2종

    1. 직장으로서 지엠테크니켈센터코리아를 선택한 이유와 지원분야에 지원한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지원하는 분야의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는지, 학습분야 또는 관련경험/직무 경험 중심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제가 GM Korea의 PSVCTL-S&PI 부서를 선택한 이유는 이 부서가 차량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는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프로젝트에서 CAN 통신 아키텍처를 개발하며 데이터 순서 오류와 쓰로틀 데이터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습니다. 작은 오차 하나가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깨달았고, 더 나은 안정성을 위해 CAN 데이터를 SD 카드에 저장하는 방안을 도입해 주행 성능을 높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으며, 이를 GM Korea에서도 실현하고 싶습니다. DVUL 승인 절차를 통해 개발 차량이 단계별로 안전성과 성능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점에서 특히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품질을 보장하며,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차량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 경험해 보지 않은 새로운 과제나 업무를 맡아 이를 성공적으로 해결했거나 실패했던 사례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당신은 그 상황에서 어떤 생각과 행동을 했고 결과는 어떠했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협업과 분석으로 완성한 전기차 연비 예측 웹사이트 프로젝트] 저는 전기차 연비 예측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전한 경험이 있습니다. 먼저 한국에너지공단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HWFET 구간에서 27.6%의 예측 오차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더 정확한 모터 효율 공식을 적용했습니다. 또한, 회생 제동과 유압 제동 비율을 50%로 조정하여 오차율을 15% 이하로 낮추는 성과를 냈습니다. 연비 데이터 분석까지는 혼자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를 소비자들에게 가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웹사이트 제작이 필요했고 기술적 한계로 다른 전공 학우와 협력해야 했습니다. 이에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 전공 학우와 협업하여 웹사이트를 성공적으로 구축했고 최종 발표에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분석적 사고와 협업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3. 도전적이었던 과제(업무)나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특히, 짧은 시간안에 많은 정보를 수집해서 빠른 결정을 했어야 했던 경험 또는 다른 사람들이 시도해서 실패한 일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경험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데 어려움은 무엇 이었으며, 어떤 행동과 노력을 통해 성취를 이루었는지 기술해 주십시오. [현장 요구와 데이터로 설득한 프로젝트 성공 경험] 영종도 해안개발 프로젝트에서 1차 현장 답사 중 주민들이 실질적이고 경제적 도움이 되는 방안을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팀원들은 시간이 촉박한 상황에서 초기 기획인 공원 라이트업 사업을 고수하려 했습니다. 저는 주민 요구를 반영하지 않으면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팀을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갯벌 체험장으로 주제를 변경할 경우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팀원 앞에서 발표했습니다. 인천 중구청 통계를 활용해 하루 평균 60명이 방문할 경우 연간 18,000명의 추가 방문객이 예상된다는 점과 지역 경제 성장률 3.15% 증가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이점을 통해 팀원들은 주제 변경의 필요성에 동의했고 이후 중구청장님에게 발표하여 높은 현실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임을 깨달았습니다.

    2024 하반기

    한국GM

    PSVCTL-SP&I

최종합격후기

더보기오른쪽 화살표
  • [한국회계학회] 제 3회 대학생 회계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후기

    서론 23-1학기 통학 door to door로 왕복 4시간 40분으로 인한 번아웃으로 2학기 휴학을 때린김에 뭐할까 고민하던 중에 한국회계학회에서 개최한 대학생 회계사례 경진대회를 발견하고 참가하기로 결정 ​ 원래는 각 학교마다 4학년 강의인 캡스톤 수업에서 제대로 교수님 피드백받고 토의하고 제작하는건데 뭐 결론적으로 캡스톤 수업 안 듣고도 우수상까지는 갔으니까.. 기관장상을 2회 대회에서는 5팀을 뽑았는데 이번에는 3팀 밖에 안 뽑아서 아쉬웠지만 우수상들 출품작 타이틀 보니까 우수상도 나쁘지 않은듯 ​ 처음에는 주제로 뭘 선정할까 하면서 서칭을 했었는데 당시에 아마 리스회계도 좀 찾아봤었고 금융감독원이 매년 초에 발표하는 익년 회계 이슈 같은 내용같은 것도 봤었는데 딱히 매력적이지 않아서 넘기고 분식회계라는 키워드로 서칭을 이어나가니 딱 걸린게 '국가철도공단 분식회계 이슈' ㅋㅋ ​ 공기업 성격이 짙은 공단이 분식회계를 한다고? 이거 당기순이익 뻥튀기 해놓고 성과급 잔치 여는 거 아닌가 싶어서 자세히 찾아봤었는데 생각보다 흥미로운 주제 같아서 결국 이걸 파보는 걸로 선정 1차 제출 & 통계 메인 이슈는 국가철도공단이 철도시설을 건설하고 정부한테 귀속시킨 뒤 받는 권리가 철도시설관리권인데 동무형자산 상각법과 관련해서 갑론을박이 존재한다는 점 ​ 자세한 건 금년도 초가을에 간단히 포스팅을 해놨고 해당 내용은 국가철도공단 감사보고서 + 감사원 처분통보서를 합친건데, 이후 ppt를 제작하면서 교수님 2분께 피드백을 받았는데 두 분다 감사원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하시는 거 같았던 느낌이 들었음 개인적으로도 금융감독원도 아니고 감사원이 갑자기 공공기관 회계처리에 딴지를 왜 걸지? 싶어서 여쭤봤는데, ​ "???: 그건 감사원이 그 쪽으로 나와바리를 넓힐려고 그래" ​ "아" ​ https://blog.naver.com/hhbwon5862/223196700063 어쨌든 공단이 사용중인 상각법은 투자원가회수법(이익상각법)으로 SR이랑 KORAIL로부터 징수하는 철도사용료수익이 유지보수비용 및 시설부채에서 발생되는 이자비용을 상회해야 상각을 진행하는 상각법을 적용하고 있었음 ​ 이걸 보고 동 상각법을 사용하는 거 말고 다른 상각법을 고안하는 등의 대안책을 만들어내면 되겠다 싶어서 그걸 중심으로 최초 PPT를 제작하였음 기상천외한 논리를 펼치면서 내용연수도 이상하게 잡아서 산정한 상각비.. 심지어 무형자산 상각인데 감가상각비라고 써놓은 기가 막히는.. ​ 아 그리고 괜찮은 논문을 찾은 거 같아서 이걸 공단에 사례에 적용시켜서 적용 근거만 합리적으로 찾으면 괜찮겠다 싶어서 궁극적인 목표로 해당 함수를 사용해서 상각비를 산정하는 것으로 결정 위에서 내용연수를 28년으로 잡겠다고 쓰여져 있는데.. 이건 사실 사채 상환 스케줄 해석과 감사원 통보서 해석을 동시에 잘못해서 생긴 오류인데.. 최종작에서는 오류없이 2004~2051년까지인 48년으로 제대로 산정을 했습니다. 어쨌든 해당 슬라이드에 쓰여져 있는 논리로 마무리를 짓고 자신있게 교수님께 피드백을 요청드렸는데.. 열정이 급급한 나머지 거시적으로 생각을 못했던 것 같았음 ​ ​ 1. "이거 이 논문은 어디서 찾은 건가요? 제가 회계만 20년을 했는데 처음 보는 방법인 거 같아요." ​ 2. "이게 결국 체증상각법 형태로 상각을 하려는 거잖아요? 그러면 사실 시간 경과에 따라서 이익이 증가해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건데 시설관리권이 그렇지는 않잖아요 맞죠? 그리고 교수님들이 채점하시는 건데 알다시피 체증상각법은 K-IFRS에서도 인정이 안되는 방식인데 이 방법으로 결론을 낸다고 하면 안 될 거 같아요." ​ 3. "이 논문을 사용해서 상각법의 예시로 드는건 좋은데 이걸 사용한다가 최종 결론이 되면 좋은 결과가 나올 수가 없어요." ​ ​ 1시간이 넘었던 피드백을 요약한건데 이 때가 아마 제출 마감 3일 전이었나 다시 생각해도 머리가 하얘지는 경험.. 그래서 결국 중요 슬라이드를 다 갈아서 1차 제출안은 다음과 같음 아 여기서도 30년으로 잡았네; 그래도 이론적인 부분을 추가했었고 틀린 내용연수로 계산한 거지만 매해년도 당기순이익과 상각비도 계산해서 도표로 넣었다. 얘도 이렇게 바꿔놓았는데 사실 1차 제출은 연구계획서를 제출하는 거라 8 page 이내로 제출하면 됐었기 때문에 뭘 연구할 건지에 대해 결론을 내지 않았고 수박 겉핥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수박 안 쪽 초록색 부분까지는 핥는 식으로 제작을 했었음 이런 식으로 마무리를 하면서 결국 제출을 했었습니다. 아무래도 피피티 퀄리티를 보고 1차합격을 시켜준 거는 아니고 다루는 주제가 흥미로워서 그랬던 거 아닐까 싶음 참가신청 한 게 대표자(팀장)이 되는 건줄은 몰랐는데 어쨌든 통과 ​ 2차 제출 & 본선 수상 ​ 2차까지 통과하면 일단 본선 수상 (우수상은 확정)이었고, 최종 3팀에 들어야 유수 기관장상을 받을 수 있었다. 근데 이것도 저번 대회랑 또 상을 지급하는 방법이 많이 바뀌어서 미리미리 알지 못했음 일단 표지부터 다시 만들었는데 음.. 인생업적에 추가해야겠다. ​ 이후부터는 최종 제작 ppt를 슬라이드 하나씩 올리면서 길게 설명을 하면서 포스팅하고 싶은데, 나 혼자 만든 ppt도 아니고 팀원들한테 허락도 안 받고 올리는 거 같아서 ppt 슬라이드 첨부없이 대략적으로 설명을 해보겠음, ​ 국가철도공단은 철도시설관리권이라는 무형자산을 소유하고있는데 동 권리는 철도시설을 건설한 뒤 국가에 귀속시키고 나서 부여받는 권리임. 해당 권리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코레일(한국철도공사)와 (주)SRT한테 선로사용료를 뽑아먹어서 선로사용료수익으로 처리를함. 즉 철도 관련 파워 순서가 국토교통부-국가철도공단(준정부기관)-SRT, 코레일, 서울교통공사 등) 이렇게 되는 것으로 사실상 국가철도공단은 국토교통부가 수행해야할 일을 공단에게 위임해서 대신 수행하는 준정부기관인 것임. ​ 음 근데, 일단 영업권아니고 내용연수가 유한하니까 당연히 상각처리는 해야될 건데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한 것임 ​ 1. 국가철도공단이 출범되기 전의 시설부채 몇 천억을 국가철도공단이 출범하면서 떠안고 시작 2. 철도시설을 건설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애초에 공단은 자본금이 없기 때문에 정부지원금과 사채발행을 통해서 자금조달을 해야하는데 즉, 철도건설 규모와 개수가 커질수록 차입해야하는 머니의 규모 역시 커질 거고 이렇게 되면 원리금의 액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짐 3. 설상가상으로 코로나 여파로인해 20년도부터 22년까지는 직격탄으로 선로사용료수입도 안나오는데 철도시설관리권까지 상각을 하라고? 이거 눈 뜨이고 코베이는거네 ㅇㅇ ​ 이렇게 되니 국가철도공단은 철도시설관리권 상각법으로 정액법,정률법 등등이 아닌 투자원가회수법(이익상각법)을 독자적으로 사용함. ​ 이 방식은 선로사용료수익에서 유지보수비용과 시설부채에서 기인하는 이자비용을 차감한 금액이 양의 값으로 산출되야 상각을 하는 방법이었음 ​ 물론 이게 국가철도공단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겠지만 회계기준에서 특정 기업만의 편의를 봐줄 수는 없기 때문에 감사원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었고 결국 딴지를 제대로 걸리게 돼서 '국가철도공단은 정액법으로 상각을 하세요' 라는 통보서를 받았음 ​ 그래서 이제 어떻게 2차제출 ppt에 풀어넣었냐면 우선 철도시설채권 발행시 책정한 48년을 내용연수로 잡고 '국가철도공단의 입장에서 어떤 상각법을 사용하는것이 국가철도공단의 경제적 실질과 이론에 위배되지 않으면서 적합하냐' 를 중점적으로 풀어가면서 여러 상각법들을 사용했을 때의 상각비와 당기순이익을 소급적용해보았음 뭐 그냥 엑셀 함수 돌려서 구했었고.. ​ 그래서 결국 결론은 정액법 + 내용연수를 48년이 아닌 55년으로 늘렸음. 내용연수를 늘린 근거로는 철도와 지하철 내용연수를 55년이라고 측정해둔 한국은행 논문이 있었음 ( 물론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간의 실질은 다른 것은 알지만 다른 논리는 이론적으로 너무 위배되기 때문에 사실 어쩔 수 없는 선택) ​ 뭐 여기 쓴 거 말고도 정말 많은 내용들이 있지만 귀찮기 때문에 그만 쓰는 걸로.. 그래서 뭐 궁극적으로 마지막 슬라이드는 이렇게 마무리헀고 핵심은 정액법+내용연수를 늘림으로써 상각액의 절대값이 감소하니까 그나마 상각비로 매해 인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동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투자원가회수법은 수익-비용 대응 원칙을 준수하지 못했는데 이제는 확실하게 준수할 수 있다 라고 마무리 할 수 있겠습니다. 대충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했던 프로젝트인데 캡스톤이라는 정석 루트가 아니라 따로 참가했는데도 우수상을 수상해서 좋았음 아 ㅋㅋ ( 저건 내 사진 아님 ) 최종 결과 유일무이한 회계공모전에서 수상도 해봤고.. (중급회계1만 수강한 상태로) 추후 재경관리사, 어학 취득과 ​ 나중에 재무팀 말고 다른 곳으로 갈 지도 모르니 군복무기간에 투운사 or 신용분석사 혹은 이와 유사한 자격증 취득까지가 목표 ​ AICPA는 1년 6개월을 투자할만한 자격증인가?라는 의문이 들기도 해서.. 보류 (미국 세법과 한국세법의 근본적인 차이, 시험 과목부터가 매우다름) ​ 끝 인터뷰 - Evo 님 https://blog.naver.com/hhbwon5862/223363441287 🖱️기획/아이디어 공모전 찾으러 가기 🖱️현재 모집중인 공모전 보러가기 🖱️역대 수상작 보러 가기 🖱️공모전 팀원 구하러 가기 🖱️공모전 오픈 카톡방 입장하기 (비번: 1004) 🖱️공모전 역대 수상작 보러가기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2천만원 상당 리워드&인턴십! 대기업 대외활동&교육 모음 🪙신입 채용 우대해주는! 인기 금융권 대외활동 LIST 🌈용돈+스펙+경험 한번에 쌓는! 멘토링 대외활동 LIST 💰총상금 1,000만원 이상! 푸짐한 상금혜택 공모전 모음 🍔맛있게 스펙 쌓을 사람 구함! 식품 대외활동 리스트 🌱 대학생고민방 🌱 취업/문과 고민방 🌱 SK멘토질문방 🌱 LG멘토질문방 🌱 취업/이과고민방 🌱 직장인고민방 🌱 삼성멘토질문방 🌱 현대멘토질문방 └ 삼성전자 면접관, 현대자동차 인사담당자 등 원하는 멘토를 선택해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게시글은 링커리어 회원님들이 남겨주신 소중한 후기입니다. 해당 게시글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악의적인 비방 및 비하, 욕설이 담긴 댓글을 남길 시 무통보 활동정지 및 탈퇴 처리됩니다. 본 사이트의 합격후기 및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 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며, 저작권법에 의거 법적조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025.04.11

    조회수 182

    댓글수 4

    스크랩수 3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 AI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후기

    이 글은 어떤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글이 아닙니다. 저의 개인적인 후기입니다. 대회 평가 방식 (평가)주행 경로 / 이벤트 발생 구역 주행 경로 및 각 식별 구역, maicon 본선 안내 사진 이번 대회는 4가지 부분으로 평가됐다. ​ 1) 발표 평가 최대 20점 2) 자율 주행 최대 40점 80초 기준 1초당 1점 추가 점수, 최대 15점 80초 이후에 들어오면 25점 기본 점수 79초 26점, 65초 이하 40점 만점 3) 아군/적군 식별 최대 20점 각 구역(A,B,C,D) 당 군인 수를 정확하게 식별 시 5점, 실패 시 0점 4) 전차 파괴 최대 20점 구역에 적군 전차가 있을 시 IR 센서로 파괴시 10점 아군 전차 파괴시 -10점 대회 1일차 눈오는 풍경과 테스트 경기장 눈이 정말 많이 내렸다.. 화성에 있는 YBM연수원에서 본선이 진행됐다. ​ 도착해서 10시 20분 쯤부터 개회식, 본선 안내를 진행했다. 12시부터 점심 식사가 시작됐고 바로 본선이 진행됐다. ​ 우리는 데이터 수집을 가장 먼저 진행했다. 왜냐하면 제한된 시간 내 우리 팀이 생각한 데이터 수는 최소 1000장 넘어서 2000장까지도 생각했다. 게다가 전 글에 얘기했지만 우리팀의 SOTA 모델은 RTDETR이어서 Yolo 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했던 것 같다. ​ 일단 로봇, Jetson Nano에서 각 모델들이 추론이 되는지 테스트 했다. RTDETR의 1장 추론 속도는 2초였다. 사실 돌아가기만 하면 됐다. 왜냐하면 양자화를 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데이터 수집을 진행했다. ​ 발표자료에서 꺼내옴.. 발표자료 ppt로 가져왔어야 했는데 pdf로만 가져와서 어쩔수가 없네요 ㅠ ​ 데이터 수집을 하면서 카메라 왜곡에 대해 논의했다. 이대로 모델 학습을 할 것인가, 왜곡 보정을 하고 할 것인가다. 우리 팀은 왜곡 보정을 했을 때 뒤에 잘 보이지 않는 객체도 잘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거라 결론하고 왜곡보정을 진행했다. 탕비실에서 체커보드를 프린트해서 카메라 왜곡 보정 을 진행했다. OpenCV의 calibration이라는 것을 통해 수집 데이터 이미지를 후처리하고 라벨링을 했다. ​ 라벨링의 경우는 polygon 으로 했는데 팀장님이 이유를 잘 설명해주고 실제로 bbox로 했을 때랑 성능 차이 가 있어서 polygon으로 진행했다. roboflow에 좋은 기능을 활용했더니 라벨링은 순조로웠다. ​ 테스트 경기장을 이용하면서 가끔 주행도 진행했다. 근데 준비한 주행 코드가 잘 작동되지 않았다. BEV, Color Filter 등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가 원인인 것 같았다. 이때 굉장히 당황했다. 사실 모델은 주행이 되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이 가장 중요했다. ​ 정전 근데 갑자기 건물 전체가 정전이 된 것이다. 몇시인지 기억은 안 남.. 밤이었는데 흠 우리팀이 테스트 경기장 쓰는 시간이었는데 정전 때문에 아무것도 못 했다. 그래도 못 쓴 시간동안 연장해줬다. 그리고 우리팀은 이 시간에도 라벨링도 하고 카메라 해상도 변경으로 인해 체커보드로 왜곡처리도 다시 하고 알뜰하게 사용한 것 같다. ​ 그리고 어느정도의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 주행을 담당한 팀원에게 휴식을 주고 그 동안 데이터 수집을 지속했다. ​ 근데 새벽 4시 5시 됐을까. 사람들이 많이 빠진 것이다. 즉 테스트 경기장을 독점할 수 있었다. 그래서 휴식 중인 주행담당 팀원을 꺠우고 주행을 완성시키기 시작했다. (미안해요 현호님.. 이때가 기회였어요 ㅠㅠ ) 1일차 일 때 이렇게 없으면 2일차 새벽엔 무조건 모든 팀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1일차 새벽에 주행을 완성했다. (진짜 우리 팀 잠도 안 자고 2일 다 밤새면서 하느라 고생했어요..) ​ 주행은 Bird Eye View, Sliding Window, Stanley Algorithm 을 이용해 진행했다. 초록색 트리거에 인덱싱해서 몇번에 어떤 주행할지 변하게 된다. 초록색 트리거는 Color Filter를 통해 검출했다. (아마 다음에 maicon 홈페이지에 발표자료 올라올거에요.) ​ 모델의 경우 Yolo11m 을 보험으로 지속해서 데이터셋이 업그레이드 될 때마다 학습시켜놨다. 왜냐하면 RTDETR의 양자화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Jetson Nano 에서의 TensorRT 버전은 8.2.1 이다. 무조건 맞는 버전에서 모델을 export 해야했다. 그러면 에러를 뱉어낸다..(아 정말 왜그래) ​ https://github.com/NVIDIA/TensorRT/tree/release/8.2 그리고 TensorRT로 양자화 하려면 GPU, cuda 가 있어야 했다. 일단 노트북은 안되고 데스크탑에서 하려니까 버전이 안 맞아서 안 된다. TensorRT 8.2.1이 또 pip에 없어서 직접 빌드해야 한다. 뭐 onnx 버전도 tensorRT랑 버전이 맞아야하고 numpy 뭐 뭐뭐 다 맞아야된다 뭐 linux 환경에서 해야한다. 어쩌고 저쩌고 결국 안 되서 정말 아쉽지만 포기했다. ​ 이게 됐으면 다른 팀에 비해 모델에서의 차이를 더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만약 평가 때 객체검출에 모든 팀이 잘 했다고 해도 발표 점수에서 Transfomer 모델을 사용한 점, TensorRT로 양자화를 통해 추론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점이 다른 팀과의 차이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매우 아쉬웠다.. (아직도 아쉬움) 대회 2일차 2일차 아침엔 그래도 주행이 어느정도 되는 시점부터 모델을 전차에 얹어 주행과 추론을 함께 진행하게 테스트를 진행하고 데이터 수집을 계속 계속 수집하고 라벨링도 진행헀다. (영주님, 희원님 최고) ​ 나도 이때부터 굉장히 피곤하고 눈에서 벌레가 기어다니는 듯한 자글자글함 이글이글함이 느껴져서 탕비실에서 좀 자기도 했고 점심 안 먹고 숙소에서 1시간 가량 자고 오후 1시쯤 다시 대회장으로 복귀했다. ​ 2일차가 기억이 잘 안 나는데 일단 주행의 완성도를 계속 높히려 했고 모델도 Yolov11 의 다양한 버전을 학습시키고 비교했던 것 같다. ​ 근데 다른 팀이 너무 잘 하는 것이다 속도가 굉장히 빠른 팀이 있었다. 게다가 모델도 준수한.. 이 대회가 주행 부분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니까 기준 시간보다 1초씩 빨리 들어오면 각 1점이고 최대 15점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근데 이 기준 시간이 대회 평가 당일 오전 8시에 공개된다. ​ 객체 탐지의 경우 평가를 할 떄까진 점수를 확보하지 못 하지만 주행 속도로 받는 가산점은 테스트 주행으로 어느정도 확보를 예상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 데이터 수집을 중단하고 주행 속도를 올려 확실한 점수를 받자고 결론났다. ​ 일단 완성된 주행 코드는 fix하고 거기에 모델 추론 시간, 추론할 frame 수를 줄이기로 하고 추론 후 잠깐 프레임 밀림 현상을 막기위한 정차 시간을 줄이기도 했다. 그렇게 해도 1분 5초였다. 다른 팀은 50초 정도로 들어오다보니까 만약 기준 시간이 65초일 때 우리팀은 15점을 놓친다. ​ 그래서 주행에 관련된 소스를 수정하고 주행 Mark2 버전을 개발하게 됐다. ​ 그리고 우리 팀은 Yolov11m 을 사용하기로 해서 최종 모델을 학습하고 Mark2 버전도 새벽동안 하는 동안 난 잠깐 탕비실에서 쉬었다. 근데 갔다오니 최송 모델이 로봇에서 load가 되지 않는 것이다. 아뿔사 뭐지 다른 모델들은 다 되는데 왜 이거만 안 되지?? 이러면서 팀원 전부 패닉(?)에 빠졌다. 결국 어쩔 수 없이 보험으로 해둔 11n버전을 사용하기로 했다. ​ 발표자료 한 부분 새벽 1시 정도부터 발표자료를 만들기 시작했다. 아마도 ( https://maicon.kr/) 홈페이지에 올라올거다. 미리 준비한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저 간결하게 짜기로 하고 디자인도 고민했다. 난 여러 디자인을 고민했는데 진짜 답이 없었다. 그래서 작년 팀을 참고를 많이 했다. (이미 답지가 있는데 왜 안 쓰지? 라는 생각으로..ㅎㅎ) ​ 그래도 우리팀이 한 내용이 전부 들어가긴 힘들어서 최대한 이미지를 많이 활용했다. 말로 설명하면 되니까. 이미지는 말로 표현을 못하기 때문이다. 평가 발표 평가를 먼저 하게 됐다. 우리팀은 7번째로 진행했고 무난하게 발표를 하게 됐다. 애초에 발표 시간이 많이 없어서 뭐 말 할게 없다. ​ 주행 평가는 총 2번 할 수 있다. 우리 팀은 기준 시간에 따라 Mark2 주행 코드를 사용할지 말지 정했다. 왜냐하면 mark2는 안정감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결국 기준 시간은 80초라 공지됐다. 우리 팀 Mark1은 65초에 들어오는 정도다. 그래서 가산점을 어느정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2회 다 Mark1으로 진행했다. ​ 모델의 경우 yolov11n conf-0.6? 이었나 설정하고 평가를 진행했다. 결과는 C구역에서 적군 수 식별에 실패하고 전부 성공해 75점을 받았다. ​ 이때 우리팀은 정말 안도했다. 생각보다 모델이 잘 해줬기 떄문이다. ​ 1회 주행 영상을 봤을 때 C구역에서 가려진 객체를 탐지 못 했는데 이떄 Conf 값을 내려서 테스트 했더니 잘 잡은 것이다. 그러니까 만점을 받을 수 있었다는 것. ​ 그래서 2회 때 Conf 값을 0.3? 4로 낮춰서 주행을 했는데 아쉽게도 똑같이 75점으로 마무리 했다. ​ 주행 리더보드는 1등으로 마무리했다. 2등도 같은 75점인데 우리가 2초정도 빨리 들어와서 1위를 유지했다. 최종 평가 발표는 점심 식사 후 오후 2시 시상식과 함께 진행된다. ​ 12시에 점심 식사를 하면서 수고했다고 다들 이야기 나눴다. 1시에 레크레이션과 같은 행사를 진행했는데 눈치게임에서 1등하고 다른 게임에서 1등한 3명 총 4명이 단상 위에 올라가서 가위바위보를 했는데 내가 2등해서 에어팟4를 받게 됐다. ㅋㅋㅋ 이런거 처음 받아본다. ​ 결국 오후 2시가 됐고 시상식과 함께 최종 순위 발표가 진행됐다. ​ 6위부터 공개가 됐던 것 같다. 5위까지 공개되고 3위인가 4위 후보부터 1위 후보 팀장은 단상 위로 올라가서 대기를 하며 수상을 진행했다. 4위, 3위 공개가 되고 갑자기 1위를 공개한단다. 그래서 엄청 조마조마 하고 있다가 최우수상 팀은 AI Force 팀입니다~ 라고 했나 그래서 와~ 하고 소리 지르면서 팀원 전부 단상위로 가서 시상하고 내려왔다가 다시 올라가서 수상 소감도 하고 인터뷰도 하고 대회가 끝났다. 수상 중 간단 소감. 먼저 이번 대회를 함께 해준 우리 팀원들에게 정말 고생했고 고맙고 좋은 경험이었다고 전하고 싶다. ​ 또 응원해준 우리 사무실 깐부들에게 고맙다는 말 전하고 싶고 대회 참여를 도와주신 우리 팀 팀장님, 주임원사님, 계운과 간부님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수상할 수 있게 많은 관심을 가져주신 공본 간부님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작년 대회에서 공군이 휩쓸었다보니 어느정도 부담이 있었던건 사실이다. 그래서 약간의 부담과 함께 더 책임감을 갖고 대회를 진행할 수 있었고 진심으로 바랬더니 잘 된 것 같다. ​ 다시 한번 함께 해준 팀에게 고맙고 다음에 또 만납시다. ​ 끝.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41202/3/ATCE_CTGR_0010050000/view.do 인터뷰 - 브라더빈 님 https://blog.naver.com/h0bin2/223682714542 🖱️과학/공학 공모전 찾으러 가기 🖱️현재 모집중인 공모전 보러가기 🖱️역대 수상작 보러 가기 🖱️공모전 팀원 구하러 가기 🖱️공모전 오픈 카톡방 입장하기 (비번: 1004) 🖱️공모전 역대 수상작 보러가기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총상금 1,000만원 이상! 푸짐한 상금혜택 공모전 모음 💛2천만원 상당 리워드&인턴십 기회 활동 모음! 🌸활동비부터 채용 우대까지! 인기 대외활동 리스트 🍓1학년도 합격 가능! 스펙 없어도 되는 대외활동 리스트 🛫 해외여행과 봉사실적 동시에 누리자! 해외봉사 LIST 🌱 대학생고민방 🌱 취업/문과 고민방 🌱 SK멘토질문방 🌱 LG멘토질문방 🌱 취업/이과고민방 🌱 직장인고민방 🌱 삼성멘토질문방 🌱 현대멘토질문방 └ 삼성전자 면접관, 현대자동차 인사담당자 등 원하는 멘토를 선택해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게시글은 링커리어 회원님들이 남겨주신 소중한 후기입니다. 해당 게시글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악의적인 비방 및 비하, 욕설이 담긴 댓글을 남길 시 무통보 활동정지 및 탈퇴 처리됩니다. 본 사이트의 합격후기 및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 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며, 저작권법에 의거 법적조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025.04.11

    조회수 244

    댓글수 4

    스크랩수 1

  • [DGB사회공헌재단] 제 2회 대학생 사회복지 토론대회 대상후기

    2023년에 도전했던 [제2회 대학생 사회복지 토론대회] 에 대한 후기이다. 제2회 사회복지 토론대회 모집 공고 ​ 사실 이 대회는 [제1회 대학생 사회복지 토론대회]부터 관심 있었던 대외활동이었다. 2022년 1회 대회에 참가해 8강에서 탈락하였고 아쉬움이 많아 2회 대회를 도전하게 돠었다. ​ ​ 2회 대회는 독특하게 토론대회에 대한 주제를 공모를 받아 선정된 수상작 중에서 골라서 진행되는 방식이었다. 나는 운이 좋게 주제공모에서 1등 을 받았다. 서류 준비 과정 + 본선 진출 ​주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주제인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 기준을 더 강화해야 되는가?" 에 대한 논제를 가지고 찬성/반대의 입장을 정해 토론 개요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본인이 제안한 주제였기 때문에 토론 개요서의 틀을 잡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그러나 본 주제가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흔하게 논의되는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근거를 찾는데 꽤나 어려움을 겪었다. ​ 하지만 서류를 준비하면서 겪은 가장 큰 문제는 팀 구성 이었다. 본 대회는 3명이 1팀으로 구성되어 참가할 수 있다. 주변에 관심 있는 사람을 구하려고 이리저리 연락을 돌렸지만 마음 맞는 친구를 구하는 게 쉽지 않았다. 너무 구하기가 어려워 포기하려고 마음을 먹었다가 함께 참가하는 친구가 마지막 한 사람을 구해 대회 서류 마감 하루 전에 부랴부랴 작성해 서류를 제출했던 기억이 난다. 제2회 사회복지 토론대회 서류심사 결과 ​ 운이 좋게 서류에 합격해 본선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본선 준비 과정 토론 주제는 총 4가지였다. ​ 토론 주제: "탈시설화는 시기상조이다." "기업의 관점에서 사회공헌은 의무이다. " "안락사는 합법 해야한다." ​ ​ 결승 주제: "자신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타인의 자유를 침범하는 시위는 제한되도록 법령은 개정 되어야 한다" vs "민주적 현대국가의 기본권인 언론·출판·결사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법령 개정은 위헌이다." ​ ​ 다시 한번 본선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좋았지만 각 주제마다 찬성/ 반대의 근거를 다 조사하여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었다. 왜냐하면 나에게 2023년 8월은 사회복지 현장실습, 공모전, 알바를 함께 하여야 했기 때문이다. ​ 또한 함께 참가하는 학우들도 개인적인 일정으로 시간이 맞추는 것이 쉽지 않아 얼굴을 보면서 준비한 시간은 거의 없다. 대회 본선 & 최종 결과 대회는 대구은행 제2본점영업부에서 진행되었다. 1회 때도 그랬지만 이번 2회 대회도 역시 완벽하게 준비를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너무 바쁘고 시간이 없어서 솔직하게 말하면 1회 때보다 더 준비를 안 해서 걱정이 많이 되었다. 1회 때 대회 진행 방식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지면 바로 탈락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2회 때 대회 진행 방식은 조금 변형되어 합산 점수를 통해서 높은 팀이 올라가는 형식이었다. 나는 이 변형된 방식이 더 마음에 들었다. 토론대회를 참가해 본 사람의 입장으로 토론대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자료를 찾아봐야 하고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된다. 그렇게 열심히 준비했는데 단 한 번의 토론으로 끝내면 너무 아쉽지 않은가. 개선된 방법은 준비했던 노력을 조금 더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년 동안 기다리고 준비했던 대회였기 때문일까? 한 단계 한 단계 결승을 향해 다가갈수록 압박감이 심했다.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는 상대들이 많아서 매 순간이 긴장되었고 너무 떨려서 이날 얼마나 많은 물을 마셨는지 모를 정도였다. 긴 싸움 끝에 나는 결국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저 운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서류 준비부터 대회 본선까지 쉬운 것 하나 없었고 나보다 뛰어난 실력을 가진 분들도 많이 있었다. 마지막 결승전은 애초에 기대하지 않아서 준비한 자료가 거의 없었고 지금 되돌아보면 생각나는 대로 막 말했던 것 같다. ​ 사회복지 토론대회를 통해 다양한 학교의 학우들과 교류할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고, 나를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이어서 좋았다. 인터뷰 - 승준 님 https://blog.naver.com/tg00616/223412862370 🖱️기획/아이디어 공모전 찾으러 가기 🖱️현재 모집중인 공모전 보러가기 🖱️역대 수상작 보러 가기 🖱️공모전 팀원 구하러 가기 🖱️공모전 오픈 카톡방 입장하기 (비번: 1004) 🖱️공모전 역대 수상작 보러가기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용돈+스펙+경험 한번에 쌓는! 멘토링 대외활동 LIST 🪙신입 채용 우대해주는! 인기 금융권 대외활동 LIST 🍔맛있게 스펙 쌓을 사람 구함! 식품 대외활동 리스트 💰총상금 1,000만원 이상! 푸짐한 상금혜택 공모전 모음 🛫 해외여행과 봉사실적 동시에 누리자! 해외봉사 LIST 🌱 대학생고민방 🌱 취업/문과 고민방 🌱 SK멘토질문방 🌱 LG멘토질문방 🌱 취업/이과고민방 🌱 직장인고민방 🌱 삼성멘토질문방 🌱 현대멘토질문방 └ 삼성전자 면접관, 현대자동차 인사담당자 등 원하는 멘토를 선택해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게시글은 링커리어 회원님들이 남겨주신 소중한 후기입니다. 해당 게시글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악의적인 비방 및 비하, 욕설이 담긴 댓글을 남길 시 무통보 활동정지 및 탈퇴 처리됩니다. 본 사이트의 합격후기 및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 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며, 저작권법에 의거 법적조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025.04.10

    조회수 167

    댓글수 4

    스크랩수 1

인기 활동인기 활동 리스트 보러가기

오른쪽 화살표

담당자 Q&A (0)

담당자가 인증된 공고입니다. 댓글을 달면 담당자가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담당자 정보

    담당자
    달서구청
    연락처
    이메일
    에듀콘_해외 비즈니스 외국어과정 담당자 Q&A 하단 배너

    이 공고 조회자가 많이 본 공고

    2025 땅스부대찌개 영상 공모전
    스크랩
    61
    2025 땅스부대찌개 영상 공모전

    땅스부대찌개

    D-28
    조회 1,175
    댓글 1
    김복남맥주 BOK PLAY 영상공모전
    스크랩
    51
    담당자 답변받기
    김복남맥주 BOK PLAY 영상공모전

    주식회사 맛쎈푸드

    D-7
    조회 1,242
    댓글 0
    [피자먹다] 틱톡에 콘텐츠 올리면 상금이 무려 100만원!!
    스크랩
    12
    담당자 답변받기
    [피자먹다] 틱톡에 콘텐츠 올리면 상금이 무려 100만원!!

    주식회사 숏만연구소

    D-8
    조회 305
    댓글 1
    GGgo 2025 제 3회 숏폼 공모전
    스크랩
    11
    담당자 답변받기
    GGgo 2025 제 3회 숏폼 공모전

    GGgo

    D-17
    조회 21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