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D+157

[한화비전] Vision's Edge Device Academy 2기

10920

한화비전

교육분야
임베디드, IoT · 임베디드 · 반도체
온/오프라인
오프라인
접수기간
시작일2025.01.20
마감일2025.02.14
활동기간
시작일2025.03.16
마감일2025.08.05
체험/채용연계
채용연계형
활동지역

서울 강남구

비용
무료(국비지원)
모집인원
60명
홈페이지
https://www.hanwhavision.com/ko/

공유하기

상세내용

[한화비전] Vision's Edge Device Academy 2기


[모집대상]

- 내일배움카드 발급 가능하신 분

- 풀타임으로 훈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수료 후 취업이 가능하신 분

- 학력 및 전공 무관

- 장애인/보훈대상자는 관련법령에 따라 우대

- 졸업예정 또는 졸업 요건을 충족한 학생, 

  취업준비생, 다른 개발을 하지만 전직하시고    싶으신 분 등


[접수기간]

01월 20일 ~ 02월 14일


[채용공고]

[한화비전] Vision's Edge Device Academy 2기

지원서 다운로드

  • '지원서 파일 없음'

이 공고를 스크랩한 사용자들이 궁금하다면?

내 정보를 입력하면 스크랩한 사용자들의
학교, 전공, 연령, 관심 직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 활동에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 (16명)

합격스펙 & 합격자소서

더보기오른쪽 화살표
  • 건동홍 / 정보통신공학과 / 학점 3.89 / 4.5 / 토익: 835 / 한이음 ICT 공모전 입선

    1.한화비전 및 지원직무에 지원하는 동기와 입사 후 포부에 대해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첨단 클라우드 환경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하고 기여하겠습니다] 한화비전에 지원한 이유는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적 성장을 도모하고, 한화비전이 추구하는 혁신적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한화비전은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융합한 첨단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서비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환경에서 백엔드 개발자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쌓고, 다양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저는 NestJS 기반의 서버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RESTful API를 설계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최적화하며 시스템 확장성을 확보한 경험이 있습니다. 한화비전의 클라우드 환경과 DevOps 파이프라인이 도입된 환경에서,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백엔드 개발자로서 자사 제품과 서비스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입사 후에는 한화비전의 클라우드 및 백엔드 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고도화된 서비스 아키텍처를 구축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겠습니다. AWS 환경에서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를 통해 자사 제품 간의 연동성을 높이고,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여 비즈니스 확장에 기여하겠습니다. 또한, 내부 R&D 프로그램과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화비전이 AI 및 클라우드 솔루션 분야에서 업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본인이 가진 열정과 역량에 대해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직무와 관련된 경험 및 역량, 관심사항 등을 핵심 위주 근거에 기반하여 기술) [피드백 반영으로 인한 앱의 발전 및 백엔드 개발 역량] 3학년 2학기 전공 프로젝트에서 Android Studio만을 사용하여 간단한 식단 관리 앱을 처음 개발했습니다. 개발 초기에는 기술적인 구현에 주력했지만, 가족과 친구들이 앱을 사용하며 제공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식단 검색 기능 부족과 영양소 정보 제공에 대한 필요성은 기술적인 요소를 넘어 사용자 경험의 핵심임을 알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4학년 1학기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개발 및 팀장 역할을 맡아 기존의 식단 관리 앱을 발전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식단 기록 및 관리, 영양소 정보 제공, AI를 통한 식단 인식, 영양제 기록 및 복용 알림 기능을 추가하며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NestJS를 활용하여 MVC 패턴 기반의 RESTful API를 설계했습니다. 또한, Flask와 AI 팀이 만든 모듈을 사용하여 AI 사진 인식 서버를 만들었습니다.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 클라우드 팀과 github action, docker, ec2, ecs을 사용하여 CI/CD를 구현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론트엔드 팀과의 협업을 위해 Swagger REST API 문서를 활용하여 API 설계와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진행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은 공공 API를 통한 식단 정보 검색 시 응답 속도가 느려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공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체 DB에 저장하여 응답 속도를 200%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문제를 직면했을 때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해결책을 찾는 탐구심과 협업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도전과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끊임없는 탐구 정신을 발휘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내고,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개발자가 되겠습니다. 3. 본인의 성격 및 장/단점을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을 들어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Agile 개발론 도입으로 인한 업무 속도 150% 향상] 저는 ICT 공모전에 참가하여 IoT 스마트팜 인삼 재배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개발을 맡았습니다. 사용자 데이터 관리를 담당하고, 실시간으로 스마트팜의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여 허용 수치를 벗어날 경우 led와 fan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또한, 웹 기반 알림 서비스와 Telegram, Kakao 알림을 비교하며 최적의 사용자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알림 채널을 적용하고, 세부적인 설정을 조정하여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꼼꼼한 개발과 준비 과정을 통해 팀은 안정적인 시스템을 평가받아 공모전에서 입선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꼼꼼한 성격이 업무 속도를 저하시킨다는 단점으로 작용한 적도 있습니다. 프로젝트 초반, 모든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하고자 했던 저는 일부 작업의 세부적인 부분에 시간을 과도하게 할애하였고, 이로 인해 전체 프로젝트 일정이 지연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Jira를 도입하여 Agile 개발론을 적용해 봤습니다. 저는 데일리 스크럼 회의를 통해 팀원들과 작업 상황을 점검하고, 각 작업의 우선순위와 소요 시간을 측정하며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업무의 중요도에 따라 시간을 배분하고, 팀원들과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Agile 방식 도입 후, 전체 프로젝트 진행 속도와 효율성이 150% 향상되었고, 저는 체계적인 업무 방식이 성과에 얼마나 중요한지 몸소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후,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저의 강점은 높은 완성도의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꼼꼼함이지만,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업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하고, 소통을 통해 업무 속도를 조절하며 완성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 하반기

    한화비전

    Back End Engineer

  • 전남도립대학교 / 미래자동차 / 학점 4.49/4.5 / 기타: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전기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1, 지원동기 (500자 이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지원한 동기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하는 방산 기술의 미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산 장비 조립 및 기술 지원 직무는 단순한 조립을 넘어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기술을 다루는 분야입니다. 저는 자동차공학을 전공하며 기계 정비 및 조립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고, 공군 공병으로 발전 설비 유지보수를 담당하며 정밀한 조립과 철저한 점검의 중요성을 몸소 경험했습니다. 대학교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회생제동 시스템 시뮬레이터를 제작하며 부품 조립과 배선 최적화 과정을 주도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설비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조립 기술을 익혔으며, 문제 발생 시 빠르게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길렀습니다. 설비보전 기능사와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며 정밀 조립과 유지보수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강한 책임감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빠르게 적응하며, 방산 기술의 발전에 보탬이 되는 조립 전문가로 성장하겠습니다. 2. 경쟁력 (500자 이내) 지원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본인만의 경쟁력(직무관련 경험, Skill, 전공 등)은 무엇이며, 당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밀한 조립 기술과 문제 해결 역량] 조립 직무에서 필수적인 정밀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공군 공병으로 근무하며 발전 설비를 유지 보수한 경험을 통해 정밀한 조립이 설비의 안정성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체험했습니다. 특히, 정비 과정에서 도면을 분석하고 부품을 교체하며 체계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웠습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와 설비보전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며 기계 조립과 유지보수의 실무 역량을 쌓았습니다. 대학교 실습 과정에서는 다양한 기계 부품을 조립하고 조정하며 공정상의 결함을 분석하는 경험을 통해 조립 기술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이러한 기술적 역량을 활용하여 방산 장비 조립 공정의 정밀도를 높이고,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에 기여하겠습니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해결하며, 안정적인 양산 체계를 구축하는 데 힘쓰겠습니다. 3. 경력사항 및 업적 (500자 이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타인과 협업했던 경험과 그 과정에서 본인이 수행한 역할, 그리고 해당 경험을 통해 얻은 것은 무엇인지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협업을 통한 조립 공정 최적화 경험] 대학교 실습 과정에서 팀원들과 협력하여 자동차 부품 조립 공정을 최적화한 경험이 있습니다. 실습 중 일부 부품이 조립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며 조립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팀원들과 조립 매뉴얼을 분석하고, 부품 배치와 조립 순서를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립 단계별 문제를 분석하고, 부품 정렬 방식을 개선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기존의 배치 방식이 작업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점을 파악하고, 조립 동선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성을 향상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조립 시간이 단축되었고, 제품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조립 공정에서 협업이 필수적이며, 문제 해결을 위해 팀원들과 소통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도 협력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조립 품질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4. 비전 (500자 이내) 직무를 수행하면서 본인의 직무와 관련한 성장계획과 포부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방산 조립 전문가로 성장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우주·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저는 조립 직무에서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며 방산 장비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 극대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입사 후 첫 번째 목표는 조립 공정의 기술적 이해를 심화하는 것입니다. 방산 장비 조립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설계 도면 해석과 품질 기준을 철저히 익혀 완성도 높은 제품을 생산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사내 교육과 선배 기술자들의 노하우를 배우며 전문성을 키울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조립 공정 개선 및 기술 지원 역량을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방산 장비 생산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특히, 수출용 장비 조립과 기술 지원 업무를 수행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제적으로 신뢰받는 방산 기업으로 자리 잡는 데 일조하겠습니다.

    2025 상반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사업부 현장 전문직_조립

  • 지거국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학점 3.94 / 오픽: IM2 / 사회생활 경험: 학부연구생 6개월 / 현장실습 2개월 / SK LOOKIE / SKCE / SK HYPO / 한국전력공사기자단 / LG MAKE A WISH / 한국사검정시험: 고급, 컴퓨터활용능력: , 기타: DSAC - M1 / ADSP / 6SIGMA - GB,BB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지원한 동기와 사유 및 입사 후 포부에 대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폭발적 성장 #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꾸는 비전 "방산 산업의 폭발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구성원이 되어 자사가 그리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함께 이끌어가기 위해 지원하였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방산/해양 분야에서 폭발적인 성과와 성장을 이루고 있는 기업입니다. 인수 합병을 통해 2년 간 3배 이상의 연구 개발비를 확보하고, 영업 이익을 무려 20배 이상 성장시킨 무서운 성장 잠재력을 가진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공격적인 M&A 투자와 함께 오랜 세월 축적된 기술력을 융합하며 새로운 국방 산업의 미래를 개척해가고 있습니다.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류와 지구를 보존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비전에 매료되었고, 한화가 그리는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며 엔지니어로써 폭발적 역량 성장을 위해 지원하였습니다. PGM 사업부는 한화의 유도 무기와 정밀 탄약을 생산/관리하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유도탄/미사일 등의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군사용 제품을 다룬다는 부분과 매우 높은 신뢰성과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사업 분야라는 부분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저는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불량률 감소를 통해 고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첫째, 연구생/부품사 인턴을 통해 쌓은 실무 경험을 자사에 접목시켜 빠르게 실무에 적응하겠습니다. 둘째, 계측 장비를 통한 공정 품질 분석 역량과 통계적 활용 역량을 접목시켜 불량률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셋째, 대내외 활동을 통해 쌓은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을 기반으로 함께 일할 때 힘이 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2.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지원한 동기와 사유 및 입사 후 포부에 대해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직무와 관련된 경험, 본인만의 차별화된 강점, 당사에 기여할 수 있는 점 등을 근거에 기반하여 기술해 주십시오.) # 현장과 사무를 연결하는 품질 품질 엔지니어는 현장과 사무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며 제품 개발/양산/출하 전 과정에 참여하며 영향을 미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유관 부서와 연결하고 협업하며 문제를 해결합니다. 해당 과정에서 소통과 협업 그리고 업무 흐름에 대한 이해는 필수 역량이라 생각합니다. # 실무 경험을 통해 성장한 품질 인재 LED 제조사 U사 품질 인턴을 수행하며 부품 IQC 업무 및 공정 상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LQC 업무를 맡았습니다. 실무를 통해 품질 엔지니어의 역할과 중요성을 경험할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또한 DMAIC 기법을 실무에 적용하며 통계적 품질 개선 업무를 수행하였고, 다양한 계측 장비를 활용한 CTQ 설정과 PDCA 과정을 통해 “PKG 공정 미세 스크래치 문제”를 해결하여 품질 향상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 품질 부트캠프 – 실무를 통해 배운 '업무 흐름' APQP 프로젝트 속 신차 품질 프로세스 과정을 통해 개발 단계의 품질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켰습니다. 프로젝트를 통해 제품의 개발 과정 속 품질 엔지니어의 역할과 ISIR 문서 작성을 통한 관리 계획서/검사 성적서/시험 계획서 등 다양한 문서를 통해 품질 엔지니어의 업무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제품의 개발부터 양산까지 과정 속 품질 엔지니어의 현장 경험을 쌓으며 각 부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하나의 제품 양산을 위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성장 시킨 역량을 바탕으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객이 믿고 사용하는 품질을 만들겠습니다. 3. 주인의식 또는 책임감을 가지고 몰입했던 경험과 그로 인해 어떠한 성과를 이뤄냈는지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인 의식을 가진 품질 엔지니어 품질 엔지니어는 제품의 양산의 전 과정에 참여하며 품질 확보 활동을 진행합니다. 출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품질을 모니터링 하며 불량과 문제점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무인 만큼 매우 많은 책임감이 따르는 직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SKCE 활동 속 SK머티리얼즈 기업을 대표해 사업/공장 관련 홍보 컨텐츠 제작을 맡아 많은 사람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자단 활동을 했습니다. SKCE 기자단 활동은 전국에서 단 한 명에게 TO가 주어지는 활동이었고, 저는 3번의 도전 끝에 '1000:1'이라는 경쟁률을 뚫고 회사와 HR 부서의 선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에 대한 믿음에 부응하고자 책임감과 주인 의식을 가지고 활동에 임했고 이러한 저의 태도는 우수한 성과로 직결되었습니다. 매주 회의를 통해 여러 CASE의 기획안을 발표하고 컨펌 받으며 두 발에 땀이 나게 사무실을 뛰어다녔습니다. 또한 부산에서 출발하여 이천/서울/울산 등 지역 각지에서 취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과정은 정말 힘들었지만 '나의 영향력을 통해 회사가 디벨롭이 될 수 있다'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그 결과 'SK 행복 복지' 컨텐츠는 조회수 만 명을 달성할 수 있었고, 최우수 팀 활동상을 수상하며 회사에 믿음에 부응할 수 있었습니다. 힘든 과정을 참고 버틸 수 있었던 원동력은 회사에 대한 주인의식이었습니다. 주인의식은 조직에 대한 헌신/믿음을 통해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밑거름입니다. 자사에서도 주인의식을 갖춘 엔지니어로 성장하겠습니다. 4. 남들과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근거로 새롭게 도전하여 성공 또는 실패했던 경험을 서술하고 그로 인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통계적 분석을 접목한 공정 품질 향상 산학 연계 과제를 수행하며 6개월 가량 'R2R 공정 품질 최적화 연구'를 진행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해당 연구의 최종 목표는 졸업 과제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었습니다. 기존의 RAW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본 공정은 방대한 양의 변수와 원인 모를 불량 유형들로 인해 접근 방식조차 찾지 못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습니다. 매주 3개 이상의 논문 정리와 선행 연구를 참고하며 노력하였고, 50번 이상의 실험을 진행하며 공정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기준과 체계 없이 진행된 실험은 무의미한 결과만 도출하였습니다. 체계적인 실험의 필요성을 느끼며 무의미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나갔고, 해당 과정에서 새로운 Insight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통한 'DOE 기법' 적용을 통해 불필요한 반복 실험을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요인 배치법과 파레토 차트를 통해 CTQ를 도출하였습니다. 이후 40번 가량의 반복 실험을 진행하며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수와 반응 인자 사이의 관계를 수치화하며 최종적으로 실험 데이터를 통해 RMS 분석을 통해 최적의 양산 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경험을 통해 품질 엔지니어는 통계를 근거로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시간과 노력을 결과물로 도출하기 위해선 명확한 방향성이 중요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자사의 품질 엔지니어로 성장하여 프로젝트에서 명확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Insight를 제시하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5. 최근 3년 내 본인이 경험했던 큰 변화가 무엇인지 설명화고 그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했는지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론과 실전의 괴리감을 극복한 경험 "학부생 인턴 경험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학부 시절 전공에 흥미를 느끼며 새로운 학문을 탐구하기 위해 학부생 인턴을 수행하였습니다. 전공서를 통해 쌓아왔던 기초 지식을 실무에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며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생소한 실험 장비/환경/연구원들의 소통 방식으로 인해 처음 겪은 변화는 저에게 두려움으로 다가왔습니다. 무엇보다 이론으로 쌓아왔던 전공 지식과 실제 변수에 의한 실험 결과 사이에는 너무 큰 괴리가 존재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저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며 유연하게 극복하였습니다. 첫째, 배우려는 자세로 임했습니다. 교수님과 선배 연구원들의 경험을 배우기 위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실험 진행하고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노하우와 연구자로써의 마인드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퇴근 이후에도 연구실에 남아 실험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부족한 부분을 온라인 강좌를 통해 채워나갔고 점점 역량이 성장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둘째, 새로운 조직에 적응하기 위해 유연하게 소통하는 법을 성장시켰습니다. 조직의 특성을 빠르게 파악하며, 연구실이라는 환경에 맞춰 저의 의견과 피드백을 간결/명료하게 전달하는 소통법을 익혀나갔습니다. 그 결과 조직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고, 구성원들과 높은 신뢰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자사에서도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할 때마다 열린 마음으로 받아드리겠습니다. 또한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려는 노력을 통해 미래 기회를 선점하는 한화의 인재가 되겠습니다.

    2024 하반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품질엔지니어

최종합격후기

더보기오른쪽 화살표

    인기 활동인기 활동 리스트 보러가기

    오른쪽 화살표

    담당자 Q&A (0)

    담당자가 인증된 공고입니다. 댓글을 달면 담당자가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담당자 정보

      담당자
      글로벌소프트웨어캠퍼스(주)
      연락처
      01021698774
      이메일
      veda@gscampus.net
      [누아] 한국관광 데이터랩 활용 경진대회_250716 담당자 Q&A 하단 배너

      이 공고 조회자가 많이 본 공고

      AI융합 로봇 SW개발자 교육생모집 - 취업연계과정
      스크랩
      14
      담당자 답변받기
      AI융합 로봇 SW개발자 교육생모집 - 취업연계과정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기술교육센터

      D-39
      조회 793
      댓글 0
      [재직자 대상]반도체 공정/설계 실무 과정(Cadence, PSpice)
      스크랩
      13
      담당자 답변받기
      [재직자 대상]반도체 공정/설계 실무 과정(Cadence, PSpic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54
      조회 728
      댓글 0
      비전공자도 쉽게 배우는 <생산관리 데이터분석 실습>
      스크랩
      24
      담당자 답변받기
      [도전해용! 용인청년LAB] 2025년 7월 프로그램 모집]
      스크랩
      0
      담당자 답변받기
      [도전해용! 용인청년LAB] 2025년 7월 프로그램 모집]

      희망둥지협동조합 / 용인청년랩 프로그램 운영국

      오늘마감
      조회 27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