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5 네트웍스 코리아
- 기업형태
- -
- 참여대상
- 직장인/일반인
- 시상규모
- -
- 접수기간
- 시작일2021.04.21마감일2021.06.20
- 활동혜택
- 기타
- 공모분야
과학/공학
- 추가혜택
- -
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과학/공학
NGINX 시즌1 Virtual Case Study 공모전
■ 공모주제
- 주제1. API엔진(NGINX Plus) / API 관리(NGINX Controller) / API 보안(NGINX App Protect) 사용 가상사례
- 주제2. Kubernetes/OpenShift NGINX Ingress Controller 트래픽 진입점 Ingress 보안 NGINX App Protect 사용 가상사례
■ 참가자격
- 현업 DevOps, DevSecOps, 개발자, 엔지니어, IT관련 재직자라면 누구나
- 개인전으로 참가 (공공기관 IT관련 부서 재직자도 참여가능)
■ 제출내용
- 제출내용 : 주제 1,2 중 택일하여 하기 제출처로 「공모양식 작성파일」과 「VM 파일」을 압축하여 제출
- 제출처 : NGINX 스토어 웹사이트 공모전 접수 페이지
※ 공모 편의를 위한 가상머신 이미지 제공 : Oracle VirtualBox용 VM파일 제공 (CentOS7 OS까지 설치, 노트북&PC 사용)
※ 공모양식 및 작성방법은 공모전 접수 페이지에 안내 예정
※ 사전설문조사 참여시 모든분들께 공모전 경품 당첨에 유용한 가이드 문서 제공
■ 일정
- 설문기간 : 2021. 4. 22 ~ 2021. 5. 10 (기프티콘과 가이드 문서 제공)
- 접수기간 : 2021. 5. 10 ~ 2021. 6. 20
- 심사기간 : 2021. 6. 20 ~ 2021. 6. 30
- 발 표 : 2021. 6. 30
- 시 상 식 : 추후 일정 공지
■ 시상내역
- Experience Level 5 (1명) : Macbook Pro 13.3Inch
- Experience Level 4 (1명) : Macbook Air 13.3Inch
- Experience Level 3 (1명) : iPad Pro 11
- Experience Level 2 (1명) : Apple Watch Series 6
- Experience Level 1 (1명) : AirPods Pro
■ 문의
- 공모전 관련 문의 : NGINX BDM / 070-4055-1034 / nginxplus@itian.co.kr
■ 주최/주관
- 주최 : F5 네트웍스 코리아
- 주관 : (주)아이티언
이 공고를 스크랩한 사용자들이 궁금하다면?
내 정보를 입력하면 스크랩한 사용자들의1. 본인이 생각하는 BGF로지스는 어떤 기업인지 한 단어로 설명하고, BGF로지스에 지원하는 동기는 무엇인지 기술해 주십시오. [BGF그룹의 든든한 지원자 로지스] BGF로지스는 그룹의 든든한 '지원자' 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로지스는 BGF리테일을 중심으로 네트웍스, 푸드 등 그룹계열사에서 필요로 하는 CSV상품을 보관 및 운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타 물류기업과 달리 다품종소규모의 특수한성격을 지닌 CSV물류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측면에서 그룹의 지원자역할을 수행한다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지스에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일을 하며 타인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저의 삶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군 복무 시절 보급병을 하며 군수품을 발주하고 감사해하는 장병들을 보고 처음 물류업에 자부심을 가졌습니다. 이후 관련 자격증 취득과 선박금융연구회활동을 하며 해양금융공모전 참여, 해운시황분석 등을 통해 해운과 물류업에 대한 지식을 쌓아왔습니다. 이러한 연구회활동 중 편의점물류를 주제로 발표하였던 회원을 통해 해당업종의 대표주자인 BGF로지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로지스는 계열사CSV물류에 따른 수수료이익에 안주하지 않고 협력사의 납품대행 서비스 등 사업다각화를 추구하는 모습이 매력적이었습니다. 이처럼 물류지식과 실무경력을 쌓고 언제 어디서나 최상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가치를 실현하는 BGF의 경영이념과 함께하며 고객께 긍정적인 변화와 행복을 드리는 로지스인이 되고 싶습니다. 2. BGF그룹의 핵심가치(인재상) 중 본인과 부합하는 가치는 무엇이며, 그 이유를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개선적사고와 도전으로 나아지는 단체] 합리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도전하여 단체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고 보람을 느끼는 삶의 목표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과 BGF그룹의 '도전' 핵심가치와 부합하다 생각합니다. 선박금융연구회 회장직을 수행하며 스터디 장소와 대관방식을 변경하여 회원들이 원하는 편리함을 도모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전에는 연구회활동을 예약이 가능한 스터디 카페에서 매주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대관하여 하였습니다. 이로인해 많은 회원들이 일정한 장소를 원하였습니다. 따라서 회원들이 원하는 활동장소를 지정하고 대관계약을 체결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이에따라 교내단과대학을 장기대관계약을 하고자 운영기획서를 작성하고 대관기준에 연구회가 부합하는 점을 관계자에게 전달하였습니다. 결국 토요일마다 강의실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맺으며 회원들의 회비를 절감하고 동일한 강의실에서 편하게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류관리를 하면서도 관행에 따라 점주님이나 최종고객님이 불편함을 겪는 상황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때 관행을 넘어서는 해결안을 구상하고 동료들과 도전하여 고객이 원하는 CU의 밑거름을 쌓아 올리겠습니다. 3. 본인이 지원하는 직무가 왜 중요한지 설명하고,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본인만의 차별화 된 역량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정량적 자료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이 가능한 물류운영가] 지원하는 물류관리직은 다양한 CVS상품을 입고후 전국의 CU편의점 가맹점주님께서 발주한 상품을 확인하고 이를 출고하는 허브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는 CU의 모든상품을 1차적으로 관리하는 직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지스의 물류현장은 협력업체 관리자의 다른 이해관계 등으로 물류 프로세스에 수시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로지스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검토하여 신속하게 협력업체를 설득하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은 정량적 자료를 통한 '신속한 문제해결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신용보증기금에 재직하면서 보증기한만료가 임박한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보증서 기간연장 업무를 하였습니다. 이때 업체 대표님께서 보증료인상으로 컴플레인을 제기하는 문제상황이 있었습니다. 이에 저는 업체에서 이전에 기금과 약정하였던 서류들을 검토하였습니다. 그리고 코로나시즌 보증료할인 특약기간이 종료된 약정서를 확인 후 대표님께 보여드리며 이유를 설명해 드리자, 이를 수긍하시고 업무처리를 원활히 마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B2B 대상 문제해결경험으로 현업에서도 가맹점주님이나 협력업체에서 컴플레인을 제기할 시 이전 계약서류나 물류업계동향 등을 검토 및 분석하여 로지스의 입장을 공유하고 협의하여 최적의 CVS물류를 운영하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1. 삼성전자를 지원한 이유와 입사 후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꿈을 기술하십시오.(700자 이내) 저는 전력 손실의 감소를 위해 20개의 예제에 관한 데이터 분석으로 기존 10~15% 케이블의 전파상수 추정오차를 4%로 개선하며 분석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역량으로 삼성전자의 HBM3E 양산 1위에 기여하고자 지원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D램 시장 점유율 1위(45.7%)를 수성하였고, 업계 최초 36GB HBM3E 12H D램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캐파를 작년 대비 2.5배 이상 확보해 HBM 공급 역량을 업계 1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계획은 5나노미터 이하 공정에서 삼성전자의 기술력 입증과 시장 영향력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세미콘 코리아 2024에 참여해 100여개의 소부장 업체들의 패키징 기술을 보며 업계 동향을 파악하는 동시에 엑시노스 2400을 FOWLP 패키징 기술에 적용하여 양산하는 삼성전자의 실행력에 대해 깊은 경외감을 느꼈습니다. 입사 후, 오차를 개선하며 키웠던 분석력과 문제 해결 역량을 HBM3E 12H의 양산 과정에 적용해 불량 원인을 분석 및 해결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한 수율 70% 확보로 HBM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풋살동아리 회장, 학생회 임원을 경험하며 얻은 실행력, 조직에 대한 로열티로 엔지니어들과 협업해 공동의 목표인 고객이 만족하는 고품질의 반도체 양산을 위한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2. 본인의 성장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되 현재의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인물 등을 포함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작품 속 가상인물도 가능) (1500자 이내) [6개월 간의 전문하사 연장을 통한 깨달은 책임의 가치] 저는 병장이 되어 전역을 생각할 즈음, 저랑 가까이 지내시던 중대장님께서 “진행 중이던 시설 취사장 공사는 꼭 같이 마무리했으면 좋겠다. 너 없으면 어떡하냐, 전문하사 6개월만 하는 것 어떻겠느냐”는 농담과 같은 어조로 전문하사를 권장하셨었습니다. 업무에 대한 책임을 중요시 생각하는 저는 흔쾌히 승낙했고 주변에선 군대 빨리 전역하고 복학하기 전까지 좀 놀아야지 않겠냐? 하면서 제 결정에 대해 황당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 손으로 하던 공사는 꼭 제 손으로 마무리 하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고 저의 부재로 힘들어할 동료들을 외면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전문하사 전역을 1개월 앞두고 취사장 시설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그 경험은 저에게 노력과 책임감이 조직에서 어떤 성과를 가져다주는지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럽트 방식 활용을 통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프로젝트 100% 구현 및 A+ 달성] 당시 교수님께선 자유주제로 Atmega128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프로젝트를 내주셨습니다. 저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도어락을 주제로 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100%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어셈블리어를 다루는 데 능숙하지 못했고, 그 결과, 코드 길이 증가로 인해 CPU에서의 처리 속도가 느려져 100% 구현하는 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폴링 방식이 아닌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잠시 중단하고 긴급히 처리해야 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인터럽트 방식을 활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인터럽트 방식은 2가지 이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복잡한 도어락의 알고리즘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실제 외부 인터럽트 동작을 위해 8개의 외부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하고, 플로우 차트를 통한 코드 시각화와 코드별 디버깅으로 코드의 논리성을 확보하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도어락 시스템을 100% 구현하였고, 인터럽트 방식을 활용한 HW 설계는 프로젝트 우수 사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터럽트 방식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진행 시간을 단축하고, 실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향상했습니다. 입사 후에도 맡은 업무에 책임을 다하며 조직의 목표에 기여하는 책임감 있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3. 최근 사회 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 가지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이내) [AI열풍에 따른 에너지 수요에 의한 미국의 에너지 공급망 위기] AI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하면서 전기차 등 청정 제조 기술의 확산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AI의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선, 수요와 공급망의 안정성을 고려하는 에너지 공급 대책 선정이 시급한 실정입니 이슈를 보며, 저는 우리나라도 똑같은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삼성엔지니어링에서 시공하는 반도체나 이차전지 공장에서의 전력 소비량은 대도시의 전력 소비량에 버금갈 만큼 방대한 전력 공급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소들의 수명은 유한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발전소 운영 중단에 대비해야 합니다. 만약 전력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력 공급망이 1분이라도 불안정할 시 공장의 제품 생산량의 타격이 생겨 피해액이 수십억에 해당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전력 계통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장에 전력을 공급할 때 계통 주파수가 60Hz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전기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계통 주파수는 전력 계통에서 유효전력의 불균형이 발생할 때 주파수가 변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계통 주파수 유지를 위해 유효전력 수급을 유지하는 제어가 수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임피던스 불연속점에 의해 결함이 발생한 케이블은 전력 전송 시, 전력 손실을 야기시켜 안정적인 전력 전송이 어려울 것입니다. 하지만 케이블 전체를 다 보수하는 것은 시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고장 진단을 통해 고장점을 찾아내어 케이블 전체를 보수할 필요 없이 고장 지점을 집중적으로 수리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반도체의 안정적인 양산에 보탬이 될 것입니다. 4.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경험(심화전공, 프로젝트, 논문, 공모전 등)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직무에 적합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이내 [협업을 통한 케이블 고장 진단 연구의 성과 달성] 학부 연구생 시절, 반사파 계측법을 활용한 케이블 고장 진단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뒤틀림으로 인해 오차가 15%대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는 수용가의 전력 공급 시 전력 손실을 증가시키고, 소비자들이 전력 소비 시 전기요금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실 내 전기공학, 컴퓨터공학 전공자들이 함께 모여 각자의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주파수 대역에서의 계측법 예제를 실습하며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푸리에 역변환 개념에 기인하여 복잡한 주파수 도메인 분석에서 벗어나 수정작업 시 오류 가능성이 적은 시간 도메인으로의 변환을 통한 분석으로 방향을 전환하였습니다. 이는 신호의 정확한 해석을 가능하게 했고, 결과적으로 50회의 시간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오차율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오차 개선 기술을 바탕으로 교수님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며 신뢰도를 76%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는 전기공학도의 시간/주파수 신호 해석 능력과 컴퓨터공학도의 Python을 통한 신호 데이터 분석 능력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결과였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송/배전 설비인 케이블 고장 진단 연구의 문제점이었던 오차를 개선하며, 실제 설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향상했습니다. 이 경험은 저에게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각자의 지식을 통한 협업으로 큰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주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안정적인 반도체 양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1. KB국민은행에 지원하게 된 동기를 본인이 지원한 부문과 연관지어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객 중심 소통으로 고객의 자산관리 단짝이 되겠습니다] 제가 가진 다양한 유형의 고객 응대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윤리 의식을 국민은행의 개인금융 UB에서 발휘하고 국민은행의 노하우를 배워 국민은행의 성장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지원하였습니다. 국민은행 UB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고객과 마주할 수 있기 때문에 무척 중요하며, 고객만족도조사 1위를 달성한 고객 중심성과 리테일 사업에 영업 역량을 집중하는 국민은행서 저의 강점을 잘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올리브영 아르바이트에서 고객 중심으로 생각하여 니즈를 충족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방문하는 고객들의 연령대,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점을 응대 중 설문 조사하여 행사 상품 배치에 활용하였습니다. 선호도를 고려한 상품 배치는 판매량 증가로 이어졌고, 고객 중심 마인드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저는 이러한 고객 중심 마인드를 입행 후에도 활용하겠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도 국민은행의 PB가 되고 싶습니다.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1인 가구 증가로 맞춤형 자산관리의 니즈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고객 만족과 전문성을 함양한 올라운더 PB가 되어 고객의 자산관리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경제 등 여러 분야의 역량을 개발하고, 영업점에서의 원활한 고객 응대를 위해 고객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시각을 키워 실무에 적용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소외 계층에는 금융 교육 프로그램을, 다문화 고객께는 ‘KB AI Translator’와 같은 다국어 번역 서비스를 소개하겠습니다. 2.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고객가치를 향상시키는 프로금융인의 역량과 자질은 무엇인지 기술하고, 본인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객 만족과 전문성을 아우르는 올라운더] KB국민은행의 프로금융인이라면 고객의 금융정보를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맞춰 다양한 업무를 혁신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에서 전문성, 윤리 의식,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행정 인턴 경험과 판촉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이러한 능력들을 쌓았습니다. 특히, 금융서비스는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고객의 개인정보를 다룬다는 점에서 윤리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더해 금융상품은 고객분에게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설명을 제공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합니다. 1년간의 행정 인턴 근무에서 학생들의 개인정보와 중요한 공문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관리하고, 교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님 협업하는 과정에서 해결 방안을 설명하며 의사소통 능력과 윤리 의식을 쌓았습니다. 덧붙여,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대한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코리아 핀테크 위크에 참여하여 ‘AI 금융비서 ’와 ‘AI 포트폴리오’를 체험하였습니다. 금융 서비스에서 AI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빅데이터를 통해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은행원은 금융 상품 및 서비스, 금융규제, 경제 동향, 위험 관리 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저는 이러한 역량을 쌓기 위해 외환전문역 1종을 취득하였고, 관련 교육기관에서 경제전문가 교육을 받으며 미 연준의 금리인하와 스트레스 DSR에 관한 지식 등 경제 시각을 쌓았습니다. 이와 같은 준비를 통해 다변하는 금융환경에서 자산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프로 금융인으로서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3. 새로운 부문에 도전했던 경험(성공 또는 실패)을 기술하고, 이를 통해 배운 점을 향후 KB국민은행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금융으로의 전환] 새로운 부문에 도전했던 경험 중 하나는 은행권에 대한 도전입니다. 저는 졸업 후 자산의 증가라는 더 높은 목표가 생겼고, 은행의 예·적금 상품과 투자상품을 이용하며 점차 금융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금융으로의 도전] 저의 전공과 전혀 다른 금융 세계에 진입하는 것은 저에게 있어 큰 도전이었습니다. 우선, 일정 기간 안에 어학, 금융 자격증 3개 이상 취득과 관련 분야의 지식을 학습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 결과, 회계 및 세무와 경영학 과목을 수강하고 어학 자격증과 외환전문역 1종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점차 이해되기 위해 시작하며 시작하며 이러한 노력으로 끈기와 분석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금융인은 의사소통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인턴 경험을 쌓았습니다. 행정 인턴 경험으로 타 부서에 갈등 없이 필요한 서류와 협조를 요청하고, 회의에서 교내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등 협업력과 소통 능력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덧붙여, 이러한 역량을 쌓는 과정에서 기존 전공인 음악과 금융이라는 분야는 많은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첫째, 감정적 공감과 세심함은 고객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어 고객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고, 니즈에 맞는 적합한 자산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 활용이 가능합니다. 둘째, 세심한 분석이 필요한 자산관리가 가능합니다. 음악적 배경을 통해 쌓은 분석력은 해당 역량이 요구되는 금융 지식 습득과 세심한 재무 상태 분석이 선행되는 자산관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활용해 저는 국민은행 입행 후에는 올라운더 PB가 되어 보다 혁신적이고 고객 중심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4. 예상결과가 부정적이고 해결이 어려웠던 과제를 혁신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극복했던 사례를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혁신적 아이디어의 실천] 저는 시민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주제로 한 행정 인턴십에 참여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 시민을 대상으로 지역 특성과 연계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이전에는 경험해 보지 못한 프로젝트로, 처음에는 진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우선,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관심사와 직업군을 파악하였습니다. 해당 지역은 평균 연령대가 높았으며 제조업에 종사하는 시민이 많았습니다. 이에 더해 낮은 참여율과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였습니다. 주 연령층인 노년층의 경우 디지털 앱 사용에 어려움이 많고, 금융사기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생’을 키워드로 금융 앱 활용법과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예방 교육 및 대처법, 가계부 작성 등 실생활에 적용이 가능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습니다. 이에 더해 낮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사보님의 피드백을 받아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SNS와 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지역 SNS 채널과 지역 특산물 축제에서 평생학습 프로그램 체험 부스를 활용하는 홍보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그 결과, 발표 과제를 무사히 마치며 시장님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시민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상대방 중심에서 바라보는 것, 주변 환경과 결합하여 생각하는 것은 혁신적 사고의 원천이 되며 지역 사회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러한 교훈을 적극 활용하여 혁신적 사고와 행동으로 국민은행의 프로금융인이 되어 조직 성장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한 번 수상해놓고 여기저기 많이 우려먹었던 1회 코리아타임스 ETS 영어프레젠테이션 대회 일반 단체부문 최우수상 수상 후기! (ETS는 토플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올해는 보니까 이름이 리포터 대회로 바뀌었다. 내 생각에는 코리아타임스가 신문인만큼 리포터 형식으로 영상을 만들기를 바라는 데 첫 두 해 동안 자유영상으로 모집하다보니 본인들의 기대에서 벗어난 영상이 많았나보다. 참고로 나도 리포터 형식으로 영상 제작을 했었고 아마 심사위원들의 의도에 잘 부합했던 것 같다. 아래는 올해 대회 링크! https://blog.naver.com/etskoreatoefl/222790948667 지원 동기 개인적으로 영어를 정말 '잘' 한다는 걸 서류로 어필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물론 면접까지 간다면 영어 면접에서 자신의 기량을 보여줄 수 있지만 보통 면접 이전에 서류를 통과해야되는데, 서류 상으로 토익 9XX점은 나를 어필하기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당시 언론 쪽에도 살짝 관심이 있던 내가 조선일보 영어 리포터 인턴 모집에서 서류 탈락한 이후로 그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영어 관련 전공이고, 학교 교지에서 3학기 활동했고, 미국에서 교환학생하면서 미국 대학교 신문 학생기자도하고 미국 인턴까지 했는데 당장 서류 탈락이구나. 서류에서 남들도 다 가지고 있는 토익 외에 영어 실력을 어떻게 어필할지 고민했다. 나만의 차별화된 영어 스펙이 필요했다. 그래서 나는 내가 당시 유일하게 잘할 수 있는 것이었던 영어 스펙을 높이기 위해 이 대회를 준비했던 것 같다. 그리고 당시 '최우수상 수상 시 코리아타임스, ETS Korea,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인턴 모집시 우대'라는 조건이 있었다. 코리아타임스나 주한미국상공회의소에서 인턴을 해보면 재밌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수상해서 상금 200만원으로 맛있는 것도 사먹어야지... 하는 마음으로 도전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언론 쪽 진로를 가지 않게 되어 수상 이후에도 인턴 지원은 안했지만 만약 언론쪽에 관심이 있다면 이거 수상하고 코리아타임스 인턴에 지원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같다. 올해는 코리아타임스 인턴 지원 시 우대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나 때는 발표 주제가 코로나19였는데 이번엔 자유주제로 바뀌었다. 자신의 관심분야에 대해 발표하고 수상하면 분명 영어 실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분야에서도 좋은 자양분으로 후에 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팀원 구하기 개인으로는 해볼 생각조차 않기는 했다. 공모전이란건 모름지기 팀플일 때 아름다운 것 아닐까...? 나는 원래 팀플을 좋아하는 편이다. 추진력 좋은 분들은 혼자 해도 괜찮을 것 같다. 일단 내가 영상을 잘 못다루기 때문에 나는 영상도 잘다루고 영어도 웬만큼 하는 동료가 필요했다. 마침 미국 교환학생에서 만났던 s가 생각이 났다. 사실 그렇게 친한 사이는 아니었는데 용기내어 연락했다. 사실 대학 졸업하고 보니 이렇게 용기내어 네트워킹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다. 나와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에게 용기내어 가볍게 카톡 한 번 하면 이후의 과정은 물 흐르듯이 흘러간다. 인연은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특히 이태원 클라쓰를 보면서 그걸 많이 느낀 것 같다. 세상에 혼자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기에 내가 나서서 좋은 사람들을 곁에 두고 내 삶을 더 풍족하게 만들어야 한다. 팀플을 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 사람 복이 중요하다. 그런데 내가 좋은 사람이 되어야 주변에 좋은 사람들이 남는 것 같다. (갑자기 자아성찰) 어쨌든 정말 다행히 그 친구도 인턴 입사 전에 시간이 조금 남은 상황이었나? 아무튼 시간 여유가 조금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같이 하기로 했다. 우리 앞에 있는 지옥의 4일 밤샘을 알지 못한채로...! 스크립트 작성 및 리딩, 촬영 스크립트 작성 및 리딩, 촬영 처음에는 나는 원래 교지 활동을 했었어서 글 쓰는 것이 더 편하니 내가 스크립트를 맡고 친구가 영상을 잘 다루니 영상 편집을 맡았다. 그런데 하다보니 역할 분담이 섞여 친구가 스크립트도 많이 써주고 나도 영상 만드는 데 많이 참여했다. 우리가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Intro 와 Conclusion. Intro가 사실 영상의 전부라고 생각한다. 짧은 시간 동안 심사위원의 마음을 사로잡아야한다. 우리는 자료화면도 쓰고, 효과음도 쓰면서 최대한 심사위원의 이목을 집중시키려 노력했다. 물론 내용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코리아타임스 기자가 아니라 대학생이다. 따라서 심사위원들도 어느정도 귀엽고 통통 튀는 오프닝을 좋아할 것이라 생각해 약간의 농담도 넣었다. 어설프지만 열심히 기자 흉내를 내며 신문사분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노력했고 어느 정도 성공한 것 같다. 아, 이거는 나랑 친구가 차후에 생각하게 된건데 나랑 내 친구는 서로 발표 파트너로서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주는 사이였던 것 같다. 영상을 보면 나는 좀 기자처럼 급하면서 굉장히 감정적으로 말하는 반면, 친구는 또박또박 아나운서처럼 평톤으로 말한다. 그런 면에서 내가 앞쪽에서 감정을 넣어 말하며 관심을 당기고, 뒷쪽에 친구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더 안정적인 발표가 되는 좋은 시너지가 났다고 생각한다. 이것처럼 각자의 장단점을 파악해서 역할 분담을 하는 것이 팀플에서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촬영은 우리 학교 SK미래관에서 했다. 사실 거기가 떠들어도 되는 공간이었긴한데 학우 한분이 앉아서 공부하고 계셔서 좀 죄송하긴 했다. 소리를 잘 들어보면 그 분 기침 소리도 녹음이 되었다.ㅎㅎ 원래는 창밖으로 중앙광장 나오게 예쁘게 찍으려했는데 역광 때문에 잘 안됐다. 새 건물이라 깔끔하고 잘 되어있어서 좋았다. 참가자분들이 대부분 대학생 분들일 것이니 아마 본인 학교의 신축 건물에서 찍으면 베스트일 듯 하다. 그리고 심사위원들은 힙한(?) 느낌의 영상을 별로 안좋아하는 것같다. 뭔가 요즘 애들 좋아하게 잘만들었다. 되게 아이디어 참신하다. 실험적이고 재미있다. 이런 영상들도 출품작들 중 많았는데 다 안뽑였더라… 우리는 리스크를 안지 않고 영상매체를 최대한 활용하되 심사위원의 호불호를 타지 않을정도로만 안전하게 간 것 같다. 진지한 리포터 톤으로 가되 중간중간 일부러 black humor같은 농담도 끼워넣었는데 그런 것들이 많이 플러스가 된 것 같다. 우리는 스크립트 작성 반나절, 촬영 3시간, 녹음 반나절, 영상 편집 이틀 이정도로 한 4일정도만에 모든걸 끝냈다. 사실 공모전 마감 4일 전에 카페에서 처음 만났을 때에는 공모전이 파토 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시간이 얼마 없어서 ㅎㅎ 정말 우리 계획의 단 하나라도 틀어지면 불가능한 게임이었다. 4일 동안 잠을 거의 못잤다. 나는 잠을 자고 맑은 정신으로 집중하자는 주의고 친구는 밤새서 끝내자는 주의였다. 솔직히 나는 너무 집중이 안되어서 자고 하자고 말하고 싶었는데 열심히 하는 친구의 사기를 꺾고싶지는 않았다. 그렇게 내 자취방에서 주로 스크립트 쓰고 녹음하다가 마지막 날에는 밤 11시에 친구 작업실에 가서 편집하고 밤을 샜다. 친구는 놀랍게도 밤새는 게 너무 즐겁다고 했다. 이렇게 며칠 밤 새서 프로젝트 하고 며칠 쉬는 루틴의 작업에 맞는 다는 것을 나랑 공모전하면서 깨달았다고 했다. 나는 반대로 밤을 새는 것이 나에게는 효율이 안난다는 것을 깨달은 공모전이었다. 밤샐 때는 너무 효율이 안났는데, 집으로 가는 차 안에서 잠깐 자고 일어나 자료조사해서 친구에게 화면 자료 전송하니 어젯 밤 3시간 걸리던 일이 10분밖에 안걸렸다. 이렇게 공모전을 하면서 자기자신을 알아갈 수 있는 게 좋았던 것 같다. 이 친구는 결국 지금 밤 새서 프로젝트를 하고 쉴 때는 확실히 쉬어주는 직업을 갖게 되었고, 나는 워라밸이 있는 직업을 향하게 되었다. 사람 성향이 이렇게나 다른 게 신기하다. 또, intro와 conclusion 말고도 발표 주제를 본질적으로 접근하려고 했던 것이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발표 주제에 대해 그냥 피상적으로 정말 물어본거에만 답하지 말고 그 문제의 근본적인 이유, 해결책을 떠올려 보자. 남들 다 알고 있는 이유 말고도 내가 생각해낼 수 있는 이유, 해결책이 있으면 좋다. 특히 한 가지 주제다 보니 문제 파악, 해결책이 대부분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 중에서 심사위원/청자의 마음에 들려면 신선한 분석을 해야한다. 이건 자료조사로만 되는 게 아니라 자기가 그 문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야하는 것이다. 수상 발표 너무 기뻤던 수상 메세지. 이때 실패를 겪어 자존감이 많이 낮아져있었는데 나도 무언가 할 수 있는 사람이구나 하고 자신감이 붙었던 것 같다. 어쨌든 과정도 결과도 좋아서 뿌듯했던 코리아 타임스 프레젠테이션이다. 준비기간 4일이라곤 하지만 사실 평소에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발표 연습도 많이 해봐야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개인적으로 영어 공부의 경우는 팝송 듣기와 본인 관심 분야 영어 원서 읽기를 추천한다. 언어는 무조건 흥미가 있고 재미가 있어야 는다. 그리고 발표는, 학부생라면 수업 팀 발표에서 무조건 발표를 맡길 바란다! 나는 팀플 할 때 주로 자원해서 발표를 하는 편이었다. 자료조사 안해도 되니까 편한 것도 있었지만 그냥 원래부터 말을 잘하고 싶다는 생각이 컸기 때문에 그래왔다. 특히 영어 발표는 정말 긴장됐지만 그래도 주로 자발적으로 맡아서 했다. 이 경험들이 쌓여 수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어쨌든 숙제 같았던 대회 후기 드디어 작성 완료 ㅎㅎ 그렇게 대단한 스펙은 아니지만 좋은 경험이었고 어느 경험이나 그렇듯 이를 통해 현재의 내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이때의 도전하는 마음을 잃지 않도록 노력해봐야겠다. 내 인생 화이팅...! 인터뷰 - 도리 님 https://blog.naver.com/mindoemi/222836693426 🖱️ 공모전 역대 수상작 보러가기 🖱️ 현재 진행 중인 공모전 공고 보러가기 🖱️ 공모전 수상후기 보러 가기 해당 게시글은 링커리어 회원님들이 남겨주신 소중한 후기입니다. 해당 게시글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악의적인 비방 및 비하, 욕설이 담긴 댓글을 남길 시 무통보 활동정지 및 탈퇴 처리됩니다. 본 사이트의 합격후기 및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 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며, 저작권법에 의거 법적조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국제 경제협력개발에 관심이 많은 저로서는 굉장히 호기심이 끌리는 공모전이었습니다. 특히, MDB자금을 활용한 PF에 관심이 많아 대학원 전공도 글로벌건설, 인프라개발전공을 이수중이어서 공모전을 보자마자 지원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함께 참여한 러닝메이트도 국제개발협력 전공이라 혼쾌히 수락하였습니다. 우선, 큰 틀의 주제는 각자의 전공과 관련된 국제개발협력으로 잡았으며,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한국(건설엔지니어링 기술)과 호주(금융,법률 서비스)가 가진 강점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방안을 기획하여 발표하였습니다. 무사히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 PPT발표에서는 7팀이 참여하였습니다. 학부생, 학부생+대학원생, 대학원생으로만 이루어진 팀 등 출신은 다양했으며, 아이디어 역시 다채로웠습니다. 대학원생 팀은 보다 전문적인 아이템을 가지고 비교적 디테일한 시각에서 접근하는 발표였던 것 같습니다. 우수상을 수상한 대학원팀은 '호주의 핵위기 대응 법안을 통한 한국의 북핵위기 대응방안'을 발표하였는데, 호주 역시, 미국의 환태평양 우방국으로서 북핵을 자국의 큰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호주의 관련 법안을 통해 한국의 북핵 위기 대응방안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대학생 팀은 디테일은 다소 떨어지지만, 참신한 아이디어로 다양한 접근을 했던 발표로 인상이 깊었습니다. 특히, 최우수상을 수상한 대학생팀은 호주의 관광산업과 관련한 발표를 하였는데, 기본적으로 3가지 여행 경로 외에도 로컬 여행전문점 발굴 및 개발을 통해 아직 알려지지 않은 호주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자는 의견을 발표하였습니다. 대학생팀답지 않은 깔끔한 발표자료와 논리적인 발표로 최우수상을 수상할만한 자격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발표가 끝난 이후에는, James Choi 호주 대사님과의 촬영과 더불어, 한-호 협력 증진방안에 대한 세미나도 개최되어 한국과 호주간에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들에 대해 알수 있었습니다. 또한, 저녁 만찬도 함께하면서 참석한 많은 교수님과 팀원들과의 네트워킹 시간도 가질수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단순히 발표만 하고 끝나는 자리가 아닌, 비교적 깊은 네트워킹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 있었던 점이 이 공모전만의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논문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호주에 대해 많은 것을 알수 있었지만, 발표 이후에 심사위원이셨던 교수님들과 친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점이 매우 색다르고, 교수님들로부터 직접 피드백도 들을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출처 : 스펙업애드 https://cafe.naver.com/specup/5600842 자료출처 : 스펙업애드 [출처] 2018 호주 및 한-호관계 논문공모전_장려상 수상 (스펙업 | 대학생,대외활동, 공모전,알바,인턴,취업,NCS,공기업) | 작성자 rlatmxor
인기 활동 리스트 보러가기
(사)환경교육센터
교육부, 시도교육청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비디에이(BDA)
성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