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존슨앤드존슨] 2021년 부문별 정규직 신입/경력 채용 (~채용시마감)
[전형절차]
- 채용 홈페이지 참조
[직무]
- Associate EHS Specialist
- Q&C Engineer : Microbiology
- Associate EHS Specialist (Environmental Health Safety)
- Formulation Operator
[업무내용]
- Ensure compliance condition of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 of local regulations/laws and J&J EHS and related statutory regulations
- Performs routine and investigational microbiological testing activities.
- Ensure compliance with local EH&S laws and regulations by setting governance process to understand the applicable laws & regulation and propose to local leadership team to take actions to follow.
- 모든 품질 및 안전 지침을 준수하여 조제공정 업무 수행 등
[자격요건]
- 공고참조
이 공고를 스크랩한 사용자들이 궁금하다면?
내 정보를 입력하면 스크랩한 사용자들의1. 성장과정 [하나를 알려면 제대로 알아야 한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생의 가치관은 ‘하나를 알아도 제대로 아는 것’입니다. 학부 시절, 신청했던 연합 사진 동아리 활동이 단순한 친목 모임인 것에 아쉬움을 느꼈습니다. 한번 시작한 동아리 활동 제대로 해보고자 임원직에 지원했습니다. 그 후 부회장으로서 권한을 가지고 1년에 2번의 전시회 개최와 지역 내 소상공인 홍보, 외주를 받아 매출을 올리는 등 동아리를 적극적인 분위기로 이끌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때의 긍정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웹/모바일 서비스 기획 직무를 지망하면서,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2개월간 아시아 경제에서 주최한 산업융합 빅데이터 분석가 교육을 100시간 동안 이수하였습니다. 기본기가 탄탄한 IT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개발자들과의 제대로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교육을 받으며 html, python, SQL 등 개발 언어와 툴에 대한 이해를 갖추려 노력했습니다. 덕분에 개발자와 소통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데 무리가 없을 정도의 지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산학연계 인턴으로 6개월 간 근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 성격 및 특기 [꼼꼼한 성격으로 문제해결능력 향상] 저는 꼼꼼하면서도 손이 빠른 편입니다. 6개월간 기획팀에서 근무하며 10여 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마다 기업 측에서 완벽을 기해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해도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 및 개선 사항은 존재함을 깨달았습니다. 때문에 서비스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변수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꼼꼼한 성격은 웹/모바일 서비스 기획 직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때 강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IT서비스 분석] 최근에 자기계발을 꾸준히 이어가고자 신규 IT서비스에 대한 트렌드를 분석하며 블로그에 정기적으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저는 취미로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하고, 그 감상을 기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때문에 앱스토어의 거의 모든 영화 리뷰 서비스를 다 사용해보았습니다. 왓챠피디아 같은 기존 리뷰 서비스에 아쉬움을 느꼈고, 스스로 필요하다고 느꼈던 서비스를 직접 기획해보기로 하였습니다. 국내외 기록 앱 서비스를 벤치마킹해보고, UX/UI 화면까지 설계하여 친구들과 공유했습니다. 동아출판에 입사 후에도 사용자가 공감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저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싶습니다. 3. 지원동기 첫 번째로,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고,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에 앞서가는 동아출판과 함께 성장하고 싶습니다. 서비스 기획에서도 기존의 시스템을 놓치지 않으면서 문제없이 새로운 업데이트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힘들더라도 학생, 학부모, 선생님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나아가는 동아출판과 같은 길을 가고 싶어 지원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제가 가진 실무 역량이 동아출판의 서비스기획 직무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기획팀에서 6개월간 인턴으로 활동하며 10여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프로젝트팀이 사내에서 신설된 시기라서 인턴이라는 직위에도 불구하고 시장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디자인 및 개발팀과의 회의를 통한 기획 확정, 모의 테스트 이후 서비스 출시까지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프론트 및 백앤드 기획, 인하우스 및 SI 기획까지도 경험하였습니다. 이때의 경험을 통해 다각도에서 서비스를 보는 시야를 갖출 수 있었으며, UI/UX 기획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4. 입사 후 포부 교육열이 높은 대한민국에서의 교육 산업은 어느 산업보다도 서비스 기획이 중요한 직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경험이 극대화되었고, 앞으로도 교육과 기술은 더 적극적으로 결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동아출판의 서비스 기획 직무로 입사한다면, 그동안 축적해온 IT서비스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겠습니다. 단순히 의견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로 설득력을 높이겠습니다.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겠습니다. 저는 다수의 학습 조교 및 과외 경험을 가지고 있고, 현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다양한 학생, 학부모, 선생님들을 접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이 입사 후 기업에 대한 이해와 업무 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직무능력기술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직무 경험과 경력이 본원에서 어떻게 발휘될 수 있는지 최대한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주십시오. 지난 회사에서 문서 뷰어를 개발하면서 여러 종류의 문서들의 스펙과 내부 데이터 구성을 확인하고 html로 변형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주로 C++을 사용하여 문서 데이터를 파싱하고 편집기의 속성과 동작에 관련된 기능을 유지 보수하였습니다. 주로 Visual Studio를 사용하여 코드 작업을 하였고, eclipse로 UI(android) 코드를 확인하였습니다. 이슈를 하나씩 수정할 때마다 팀원들에게 코드 리뷰를 받으며 이해하기 쉽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도록 연습하고, 다른 기능에 문제가 되지 않을지 코드의 영향 범위도 검토하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테스트와 기타 자동화 작업을 위하여 python로 '이미지 다운받기'나 같은 작은 프로그램을 구현하였습니다. 현재는 웹 프런트(HTML, CSS, Javascript)와 백앤드(jsp, Java, DB) 분야를 공부하며 웹페이지의 구성과 동작을 학습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유지 보수하고 개발한 지난 경험이 한국재정정보원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작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고,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는 분석 작업이 연습이 되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저의 역량을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지원한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본인의 강점 중 ‘지식’과 ‘기술’을 각 1개씩 제시하고, 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성과를 이룬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개발 작업을 시작할 때에는 먼저 작업의 결과를 명확히 하고,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재료와 작업 과정을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전체적으로 작업을 그려보아야지 일정을 예측할 수 있고, 필요한 부분을 놓치지 않고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현재 구조에서 제약을 빨리 확인해야 대안이나 해결 방법에 대해서 담당자들과 빠르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내외부에서 내가 필요한 작업을 미리 구현해 놓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작업해 놓은 내용을 정리한 페이지들을 찾아서 읽어보는 작업도 작업 초기에 진행합니다. 이것이 이슈 수정과 기능 개발 작업에서 습관화 한 저의 기술입니다. 기능을 개발할 때에 여러 가지 재료와 수단이 많습니다. 웹 서칭을 통해서 나의 개발 환경에서 방법이 적합한지 재료별 장단점을 확인하고 그 지식을 정리하면서 구현할 재료들을 선택했습니다. 저의 작업을 준비하고 분석하면서 기록하는 것이 저의 지식입니다.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시작하기 전에는 알지 못했던 문제를 마주쳤을 때 미리 정리해두었던 차선책으로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하여 추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분석 내역이나 해결방법을 얻는 작업에서는 중간마다 기록으로 남기고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고 그 내용을 공유하면서 추후 개발작업에 히스토리를 만듭니다. 2. 고교 졸업 이후, 모임이나 조직에서 남들과 다른 해결방법을 제안하고 실천하여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에 대해 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남다른 방법은 아니지만 계속해서 실천하고 있는 저의 도전이 있습니다. 제가 가진 발표 두려움을 마주하는 과정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사람들 앞에 나서서 이야기하거나 발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이 사라지지 않는 두려움과 친해지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들을 해왔습니다. 대학교 때 토론 소모임에 들어가서 1년 동안 모임장을 하였습니다. 모임장은 진행과 의견을 정리하는 역할로 사람들 앞에 서서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것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였습니다. 또한 교직이수 과정을 통해서 여러 좋은 발표를 접하였습니다. 4학년 1학기 때는 교생실습을 나가서 학생들 앞에서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듣는 사람을 배려하면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것에 대해 많이 고민하며 교생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지난 회사에서도 제 기능에 대한 세미나를 하였었고, 그것 또한 어려운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담당한 기능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나누면서 정리를 하고 그것을 소개하는 연습을 계속하였습니다. 세미나를 하는 도중에 ‘나 자신을 구구절절 소개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긴장을 조금씩 떨쳐냈습니다. 말하기 모임에 나가서 제 자신과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계속 연습하고 있습니다. 매번 발표나 면접마다 긴장하고 두려움과 씨름합니다. 그렇지만 피하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하며 더 괜찮은 제 자신을 만들고 있습니다. 3. 모임이나 단체 생활 중 함께 활동(또는 업무)하기 힘들었던 사람에 대해 이유 및 관련 사례를 포함하여 설명하고, 입사 후 유사한 성향의 팀원을 만난다면 어떻게 대처할지 작성해 주십시오. 이전 회사에서 제가 담당하는 업무 특성상 엔진은 동일한데 android, window, IOS 플랫폼 별로 ui가 달라서 플랫폼별로 문제가 다르게 발생하여 엔진 담당자인 저는 각 플랫폼 담당자들과 대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상대하기 힘들었던 담당자는 크래시 로그가 엔진에서 끝난다고 재현 경로만 알려주고 저의 문제라고 넘겨버리는 사람이었습니다. UI에서 어떤 API들을 호출하여 동작이 진행되는지 하나씩 로그를 통해 흐름을 파악하다 보니, 맞지 않는 API를 호출하여 엔진에서 문제가 터지는 것이었습니다. 담당자가 로그로만 판단하지 않고 문제를 재현하면서 분석을 먼저 했다면 저에게 전달되지 않았을 이슈였었습니다. 각자의 업무 환경과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 중 이슈 넘기기나 실수가 발생한다는 것을 여러 담당자와 작업하면서 느꼈습니다. 이런 경험들을 통해 제가 이해하고 분석하는 영역이 넓어지면서 작업자 사이의 소통이 참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충돌할 수 있는 일이 생기면 관련 담당자들이 모여서 각자의 작업상 구조와 기술적 한계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누면서 해결방법을 찾았습니다. 그 외에도 작업자들끼리 자신의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서로의 작업을 이해하고 겹치는 영역에서 조심해야 할 것들을 주고받았습니다. 좋은 프로그램은 사원들이 서로를 이해해주며 협력해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최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서로에게 입장과 상태를 이해시키고 문제를 풀어나가려고 합니다. 4. 한국재정정보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 중 사회적 가치 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해 설명하고, 본인이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함께 기술해 주십시오. 한국재정정보원은 e나라도움 홈페이지에서 학교, 공공기관, 자치단체에서 공개 모집하는 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일 교육, 사회복지, 문화 등 여러 분야의 공모가 올라오고 있기 때문에 특정 유형에 공모사업에 대해서만 필요한 회원에게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눈으로 추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들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만 필터링하여 메일로 공모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원 정보 설정에서 관심 분야와 관련 키워드, 메일 주소와 메일 수신 동의 여부를 받고, 정보를 메일로 받기를 원하는 회원에게는 해당 키워드이거나 그와 유사한 키워드가 담긴 공모의 경우 정보 알림 메일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모글이 올라올 때마다 중심 키워드를 지정하고 그와 유사한 키워드를 확인한 후, 관련된 사용자 그룹을 찾아서 공모 내용이 담긴 링크를 메일로 전달하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재정정보원과 그 외에 공공기관의 메일링 서비스를 좀 더 파악한 후에 전체를 작은 기능으로 분리하여 나눈 후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구현하고 통합하면 맞춤 자동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리더십’이나 ‘팔로우십’을 발휘하여 조직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과를 이룬 경험에 대해 작성하고, 입사 후 어떤 리더십 또는 팔로우십을 통해 조직에 기여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지난 회사에 입사 후 6개월 정도 지났을 때에 사수님이 개인 사정으로 자리를 비우시면서 기능 유지 보수를 독립적으로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엔진 내부 이슈를 익히던 중이었는데, 엔진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엔진 내부에서 문제(Android 단말에서 crash)가 발생하는 문제를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플랫폼 별로 UI에서의 View 운용과 이벤트 진행을 알 수 없던 저에게는 정말 입사 후에 가장 큰 이슈를 마주하였습니다. 중요 긴급 이슈로 빠른 시간 안에 처리되어야 했기 때문에 입사 후 처음으로 부장님과 함께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처음에는 log 추가하여 라인 단위로 정상적일 때와 비정상적일 때의 진행을 먼저 파악하였습니다. 그 진행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View 운용과 thread 진행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플랫폼에 맞는 디버깅 환경을 구축하고 처음 보는 코드를 이해하고 그 진행 구조를 파악하면서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한국 재정 정보원에 입사한다면 지난 경험과 배움을 되새기면서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고 여러 이슈를 분석하면서, 소프트웨어를 더 안전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유지보수 할 것입니다. 그리고 미래의 나와 동료들이 작업 내역을 되돌아 보고 개선하거나 확장 작업을 하기 편하도록작업 단위별로 내역을 정리하고 공유하며 커뮤니케이션 할 것입니다.
1. 전과목 평균 학점을 학기별로 구분하여 작성해주세요. <가천대학교> 2015-1(1차학기) 3.12 2015-2(2차학기) 3.31 2016-1(3차학기) 2.79 2016-2(4차학기) 2.59 2016-겨울학기 4.0 ---------------- <중앙대학교> 2018-1(5차학기) 3.95 2018-2(6차학기) 3.57 2019-1(7차학기) 3.75 2019-2(8차학기) 3.15 2019-겨울학기 2.5 2020-1(9차학기) 3.5 2. UI개발 직군에 지원한 이유와 입사 후 하고싶은 업무에 대해 작성해주세요.(150자 이내) 산학 연계 인턴 경험을 통해 처음 웹 개발을 접했습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웠지만 끈기를 갖고 불철주야 회사에 남아 열심히 공부한 결과, 능력을 인정받아 메인 개발자로 웹 프로젝트를 하나 맡아 수행할 정도로 실력이 늘었습니다. 이번 인턴십을 통해 다양한 프론트앤드 라이브러리들을 경험해보고 더 나아가 사용자들을 위한 편리한 웹 UI를 개발하고 싶습니다. 3. 포트폴리오가 있을 경우, 사이트의 URL을 적고 어떤 사이트인지 설명해주세요. 공동 작업인 경우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작성바랍니다. (면접 시 역할에 대한 질문을 합니다. 없을 경우 '없음'으로 표기 해주세요.) 1. DSI 온라인 플랫폼(www.dsikr.com) - 디지털 사회혁신 소개 및 의견을 나누고 각 분야 전문가들과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개발 - 역할: 지도서비스와 디자인을 제외한 모든 프론트앤드(퍼블리싱 포함) 및 백엔드 기능 개발 2. 천안시 빅데이터 플랫폼 데모페이지(www.cabighub.com) - 제안서 제안용 데모페이지 개발 - 역할: 디자인을 제외한 모든 개발(퍼블리싱) 3. 디지털 뉴딜 대국민 교육 데모페이지(guiyomj.github.io/Newdeal_Demo) - 제안서 제안용 데모페이지 개발 - 역할: 디자인을 포함한 모든 개발(퍼블리싱) 선도소프트 사원 6개월
인기 활동 리스트 보러가기
국가정보원
(주)조선비즈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s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