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o Seoul
- 기업형태
- 기타
- 접수기간
- 시작일2025.01.15마감일채용 시 마감
- 채용형태
- 체험형 인턴, 채용연계형 인턴
- 급여
- 연봉 5200만원 ~ 6000만원
- 모집직무
- 미디어
- 근무지역
- 해외
- 홈페이지
- -
Internet Explorer 서비스 종료 안내
Internet Explorer(IE) 11 및 이전 버전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원활한 이용을 위해 Chrome, Microsoft Edge, Safari, Whale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접수 기간 2025-01-15 ~ 채용 시 마감
모집 부문 | 상세내용 |
---|---|
리포터 (0명) | 미국 대표 한인 라디오 방송국입니다. 담당업무 채용직군 : Reporter 1. Field Reporting: - Cover breaking news, events, and community stories on-site. - Conduct interviews and gather accurate, first-hand information. 2. Article Writing: - Research, write, and edit articles on current events and community topics. - Ensure content is accurate, engaging, and aligned with editorial standards. 3. Content Contribution: - Develop multimedia content (photos, videos, social media posts) to enhance reports. - Collaborate with the team to deliver timely and impactful stories. 채용형태 - 인턴 12개월 우대조건 - Strong written and 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bilingual in Korean is a plus). - Experience in journalism, reporting, or a related field preferred. - Ability to work under pressure and meet deadlines. - Strong research and storytelling skills. - Familiarity with digital media platforms and basic multimedia tools. - Flexibility to work on-site and during irregular hours if needed. ■ 근로조건
연봉 : $17.8~$20/hrs (한화 약 5,200만원~6,000만원 내외, 경력에 따라 상이) 접수문의 아이씨엔그룹(주)는 미국인턴 전문 에이전시입니다.
※ 파견직이 아닌 해당기업 미국현지법인 직접고용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 J-1비자로 입사하며 비자발급비용은 지원자 개인부담입니다.
☎ 지원문의 : (유선) 02-3445-4278 (메일) icngroup@icncareer.com (카카오톡) http://pf.kakao.com/_RBmwj/chat ✏ (신청서 제출 : https://forms.gle/TVkc8knomHkrfrXq9 |
학력
대학졸업(2,3년) 이상(졸업예정자 가능)
급여
연봉 5200만원 ~ 6000만원
근무시간
주 5일(월~금) 09:00 ~ 18:00
근무지역
해외 (미국 LA)
접수기간
2025-01-15 ~ 채용 시 마감
접수방법
홈페이지 지원
전화번호
0234454278
이메일
icngroup@icncareer.com
이 공고를 스크랩한 사용자들이 궁금하다면?
내 정보를 입력하면 스크랩한 사용자들의1. 삼성전자를 지원한 이유와 입사 후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꿈을 기술하십시오(700자) [새로운 Design Methodology를 만들어내는 회로설계 전문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미세공정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사에 설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6주동안 파운드리 DT 팀 CDM 파트에서 장기현장실습을 하며 해외 협력사와 소통하며 다양한 설계 솔루션을 개발하는 파운드리 회로설계 직무에 매력을 느끼게 되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학부에서 Verilog를 이용한 HW 개발을 수행하였고, 장기현장실습 프로젝트로 SPICE를 코딩하며 시뮬레이터를 설계해 보았습니다. 또한 Cadence Virtuoso 및 Synopsys Custom Compiler를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IDEC등 외부 강의를 수강하며 회로설계 및 반도체 8대 공정에 대해 지식을 쌓았습니다. 현재는 학부 수업을 들으면서 VLSI회로설계, 아날로그 집적회로, 반도체 프로세스 수업을 들으며 기초 지식을 쌓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로 설계, 공정, 시뮬레이션 과정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기존 설계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회로설계와 공정에 대한 지식, 경험과 영어 회화 역량을 바탕으로 입사 후 미세공정 기반의 새로운 DM 개발에 기여하며 해외 고객사와 문제없이 협력하는 다재다능한 회로설계 전문가가 되어 2030 파운드리 세계 1위가 되는 과정에 꼭 함께하고 싶습니다. 2. 본인의 성장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되 현재의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인물 등을 포함하여 기술하시기 바랍니다(1500자) [군생활과 디자인 업무] 전문특기병으로 입대 후, 연구소 홍보를 위한 편집 디자인 및 행사 준비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낯선 업무를 수행하며 삶을 살아가는 방향도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무엇이든 모르면 물어보고, 찾아보고, 행동하고, 부딪히며 목표에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선임자의 전역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라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툴을 짧은 기간 안에 습득해야 했습니다. 모르는 것은 선임한테 물어보면서 배우고, 관련 기능사 책을 구입해 매일같이 연습하였습니다. 또한 툴을 다루는 것 외에도 디자인 컨셉을 구현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여러 이미지 사이트를 탐색하며 무엇이 좋은 디자인이고 나쁜 디자인인지, 우리 연구소의 홍보를 위해서는 어떤 컨셉으로 접근해야 할지 선임자와 토론하였습니다. 배색, 폰트, 레이아웃 등 많은 부분을 신경 쓰며 결재를 위해 많은 컨셉 안을 만들어서 제출하며 끊임없이 실력을 쌓아 나갔습니다. 이 외에도 팸플릿 및 배너 제작을 위해 외부 업체와 만나고, 대회 행사 준비를 위한 사전 답사를 수행하고, 홈페이지 디자인을 위해 기존 디자인을 변경하고 추가하는 과정 등 여러 사람과 소통하며 낯선 일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런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어떠한 업무가 주어져도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과 문제를 직접 부딪쳐보며 추진하는 행동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추진하는 삶] 전역 후 3학년이 되고 관심이 있었던 회로설계를 공부하며 관련 실험 과목을 수강하며 배운 이론을 적용해보고, 소자의 특성과 회로에 대한 이해를 넓혀갔습니다. 실제 칩 설계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IDEC에서 “CMOS를 이용한 아날로그 회로설계 및 레이아웃”을 수강하였는데, 실제 회로를 설계하는 방식에 대해 더욱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연스럽게 레이아웃 설계 후 이를 구현하는 공정에도 관심이 생겨 교내 “반도체 8대 공정설계” 특강을 수강하며 회로설계와 공정에 어떠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까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현업에서 어떻게 설계하는지 알아가고 싶어, 16주간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에서 다양한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Cadence Virtuoso와 Synopsys Custom Compiler로 간단한 AMP의 Front-end 및 Back-end 설계 Flow를 경험하였습니다. 또한 현장실습 중 시뮬레이터 설계를 경험한 후, 코딩 역량을 키우기 위해 “42 서울”이라는 C언어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며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현장실습을 하며 업무가 진행되는 상황을 보니 새로운 설계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낯선 분야를 공부하고 고객사와 미팅을 하는 일들이 끊임없이 발생하였습니다. 새로운 분야를 두려워하지 않고 열린 마음가짐과 행동력을 바탕으로 부딪히는 태도는 엔지니어가 가져야 할 중요한 덕목입니다.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생긴 자신감과 행동력은 끊임없이 새롭게 기술을 발전시키는 파운드리 사업부의 회로설계 엔지니어로서 성장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3. 최근 사회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 가지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 코딩 열풍과 그 효용성 ]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로의 전환기를 맞았습니다. 세계적인 IT기업들은 무형의 서비스 플랫폼을 바탕으로 산업 전반을 독점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발자에 대한 수요가 늘며 코딩 부트캠프 및 정부 지원 교육과정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대학생, 취준생 및 직장인까지 코딩 교육을 받고 개발 역량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설계 엔지니어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42 Seoul”이라는 정부 지원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1달 동안 매일 10시간씩 공부하며 C언어를 학습하고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에 참여한 이유는 디지털 회로설계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였습니다. 집중 교육과정을 경험하며 짧은 기간 동안 C언어 기반 구현 능력을 키울 수 있었고, 현재 1학기 VLSI 설계 실습을 하며 Verilog Code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을 진행하면서 간단한 SPICE 시뮬레이터를 구현해 보았는데, Python을 이용하여 회로 수치해석을 실습해 보면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옵션들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코딩은 회로 설계 TAT 단축에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작년 구글에서는 칩 설계 과정 중 Floorplanning 단계에서 AI를 적용하여 수 개월간 걸리던 작업을 6시간 만에 완성하였습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 딥러닝이 적용되듯 칩 설계 역시 딥러닝을 적용하여 TAT를 단축하는 방법론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딥러닝이 적용된 설계 방식은 더욱 빠르고 정확한 설계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렇듯 코딩은 딥러닝의 이론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로서 회로설계에 아주 잘 활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부는 코딩 열풍은 각 산업 분야에 있어서 자동화 및 TAT 단축에 좋은 도구가 될 것입니다. 설계 엔지니어로서 항상 프로그래밍 마인드를 가지고 설계한다면 새로운 DM을 개발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경험(심화전공, 프로젝트, 논문, 공모전 등)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지원 직무에 적합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영문작성 시 2000자) 이내 [Python을 이용한 SPICE Simulator 구현]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 중 SPICE를 코딩하는 프로젝트는 문제를 고민하고 공부하면서 결과물의 완성도를 점차 향상시키는 경험이었습니다. 시뮬레이션 Flow를 직접 구현해보며 회로 수치해석의 다양한 기법을 경험해보고 어떤 이유로 설계에 적용되게 되었는지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MOSFET과 BJT가 포함된 회로의 Transient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 것이 최종 목표였고, 쉬운 회로해석부터 구현을 시작하였습니다. 먼저 간단한 Diode, R, C로 구성된 Ripple Rectifier의 Transient 시뮬레이션을 엑셀을 통해 확인하고 Python 코드로 구현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회로 MNA matrix를 구성하는 방식과 dynamic timestep algorithm 적용 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그 후 MOSFET과 BJT모델을 추가하기 위해 각 소자의 Companion model을 구현한 후 간단한 회로에서 예상한 파형이 나오는지 확인하였습니다. Diode와 달리 트랜지스터가 포함된 회로는 동작점 계산이 먼저 수행이 되어야 하는데, 인위적으로 예측한 초깃값 행렬 연산 시 발산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이론을 찾아보며 Source Stepping Method가 적합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최종적으로 회로의 MNA 행렬을 구성하고 Source Stepping Method로 동작점 계산 후, Dynamic timestep algorithm으로 각 Timepoint에서 소자들의 Companion Model을 업데이트하며 뉴턴-랩슨 iteration을 수행하였습니다.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며 2개월의 시간 동안 간단한 SPICE Transient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끈기 있는 노력은 끊임없는 기술 발전이 필요한 파운드리 사업부의 회로설계 엔지니어로서 성장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1. 지원한 직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두 가지 제시하고, 그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본인만의 노력을 관련 경험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십시오 시스템 운영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스템의 이해도와 안전 운용입니다. 다른 직무와 달리한 가지 고려해야 할 특이 사항은 특별한 작업없이 네트워크 문제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즉, 불가항력으로 발생한 장애에 대해 얼마나 신속하게 대처하느냐가 운용자의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호처리, 서버,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별 시스템과 최신 기술을 이론개념이 아닌, 실제 상용망에서 현장감 있게 다뤄본 네트워크 운용 경험이 무엇보다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 입니다. 네트워크 망 구성 및 설계부터, 개발사와의 검증 시험, 그리고 실제 운용 경험을 통해 체감함 수많은 전국단위 장애 상황과 대응까지. 시스템과 통신망의 A to Z를 경험했습니다. 폐쇄된 운용보존망 운영, 그리고 스위치연결을 통한 외부망 접속 등 스위치단의 네트워크 이해도가 높습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시스템 운용 및 장애 대처를 위해 가장 먼저, 운용 장비의 스케일, 시스템 체크 주기, 그동안 진행했던 PKG 히스토리와 예외처리 리스트까지 전반적인 장비의 모든 것을 파악했습니다. 이후, 주 담당 장비 이외 외부연동장비의 SOP와 통계, SIP, DAIMETER 분석 등 서비스 영향성을 미칠 수 있는 케이스에 대해 꾸준히 연구했습니다. 또한 장비 도입 및 망 설계 시 상용망 운영 담당자로서 회의에 참석해 컨설트하며, IPv6, 가상화 등 신규 장비 및 기술 검증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 위에서 제시한 역량을 활용하여 성과를 냈던 경력 또는 경험에 대해 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십시오 각 단말 제조사에서 출시하는 IPv6 단말이 상용 출시되기 전, 통신사에서는 정상적인 서비스 처리가 가능한 지 TB 검증을 거치게 됩니다. 상용 서비스 영향성 없는 TB 시험이 끝나면, 실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용망에 신규 IPv6 운영 장비를 연결하여 테스트 가입자 간 서비스 연속성을 분석하게 됩니다. 설계TF에서 테스트검증을 마치고, 상용TF에서 신규 도입 장비를 상용망에 연결, 가입자 등록, 정상 서비스 여부 등을 시험하게 됩니다. 저는 상용TF 검증 시험에 담당자로 참여하였습니다. 단말의 비정상 Attach는 없는지, 가입자 정보를 불러오는지 등의 등록 절차를 확인한 뒤 이중화 확인 서버 절체 시험 등, 장애 대비 시험을 진행됩니다. IPv6-IPv4간의 서비스, v6-v6간의 서비스 등에 대한 서비스 연속성 등을 확인하는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국내 3사 통신사와 안전재난청 간 긴급호처리 라우팅 개선 사업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전국망 상용서비스를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상용망 담당자로 해당 사업에 참여하였습니다. 그동안 쌓아왔던 시스템 운영 스킬과 장애 대응 능력으로 발생 가능한 케이스별 상황을 리스트업 후, 검증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단말이 Attach 되는 지역기반 근접한 경찰서/소방서 등의 기관으로 자동 호처리는 도중 발생한 에러상황에 대해 체크하였습니다. 패킷 분석을 통해 예외처리가 필요한 단말을 분류하여 PKG 적용 등의 과정을 거친 뒤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오픈할 수 있었습니다. 3. 예술의 전당 사업분야 중 가장 관심있는 분야와 그 이유를 설명하고, 본인이 지원한 직무를 활용하여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십시오. 따로 또 같이, 우수한 노하우를 담아 제작된 영상으로 문화예술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SAC(Seoul Arts Center) On Screen 사업입니다. 공연을 단순하게 촬영하여 배포하는 것이 아닌 고화질로 다각도에서 담아낸 영상이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제작 했다는 것. 이 모든 것이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기획 및 제작됐다는 것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 진정한 따로 또 같이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회적으로도 우수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대중들에게 다가가는 점입니다. 문화, 공연 더 깊숙하게 들어가서 발레, 오페라, 클래식 등 장르만으로도 거리감을 느끼는 대중들이 많습니다. 제대로 경험해보지 못하고 어색함으로 시도해보지 않는 일부 대중들에게 더욱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내민 손이라 느꼈습니다. 첫인상은 어렵지만, 편안함을 주고 곧 다시 찾게 만드는 이 영상 사업이 시스템과 서비스 운영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지원한 직무로 이 사업을 기획하거나 배포하거나 하는 업무를 할 순 없지만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으로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또한 예술의전당의 프로그램을 찾는 고객들, 더 나아가 함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참여하는 다양한 공연관계사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정보시스템 및 전산 에러사항이 없도록 운영하는 것 역시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사업이 완성되었을 때, 보이는 곳과 보이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지만 없어선 안될 구성원으로, 역할로 최선을 다할 것 입니다. 4. 상대방에게 의사전달을 제대로 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에 대해 기술하고, 그런 상황이 다시 발생한다면 어떻게 대처할지 작성해 주십시오 가상화 장비 추진 초기 시절, 개발사와 협의 과정에서 개발사와 운용자 간 의견 차이가 있었습니다. 개발 기간 및 표준 성능에 중점을 둔 개발사와, 실제 장비와 통신망을 운용하는 데 있어 필요한 성능 및 기능에 중점을 둔 운용자 간 견해 차이로 인해 관계 부서 설계팀, 운용팀, 개발사가 모여 합의점을 논의한 적이 있습니다. 대화를 진행하다보니, 운용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개발사의 입장에서는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표준 성능에 맞춰 개발을 해야 추후, 새로운 장비 및 이종망간 망 연결 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 도입 후 패키지 작업 시 예외처리의 최소화 등 충분히 개발사의 의견에 동의를 표하였습니다. 다만 우리 운용자 입장에서는 최우선 되어야 할 요소는 "안전 운용"이며, 이미 도입되어 있는 레거시 장비와의 호환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상적인 네트워크 구성은 운용자들 역시 충분히 지향하고자 하나, 현실적인 상황에 대해 인지시켰습니다. 또한 자사망 내에서 호처리를 하는 장비와, 타사와 호처리를 이어주는 장비는 다르게 설계되어야 하며 망 내 호처리의 예외처리 또한 필수적으로 반영해야 함을 주장하고 개발사와의 원만한 협의점에 도달하였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상대방의 입장과 주장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나의 주장에 근거가 있듯, 상대의 주장에도 논리적인 근거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 후,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원만한 협의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모두가 납득할 수밖에 없는 정확한 진단과 판단을 바탕으로 해결점을 제시해야 합니다. 5. 조직생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신만의 원칙을 제시하고, 갈등상황에서 그 원칙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에 대해 기술해 주십시오. 조직생활과 개인생활 모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책임감입니다. 서로 다른 개개인이 각자의 업무와 역할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조직생활에서 필요한 것은 굉장히 많습니다. 원만한 의사소통능력, 업무능력 그리고 직업윤리 등등. 이 중요한 모든 것을 아우를 수 있는 것,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책임감입니다. 미래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 3사 품질평가 TF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KPI 달성을 위해 모두가 집중 근무를 할 때였습니다. 미래부 측정은 네트워크 부문의 모든 임직원들이 좋은 결과를 위해 시간과 노력을 쏟는 행사였습니다. 각 팀에서 인원이 차출되어 TF가 구성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목표를 향해가면서도 각 팀 업무량과 이해관계로 인해 내부적으로 불만이 속출하였습니다. 가장 큰 불만은 매일 돌아가면서 맡는 고객센터 VOC파트였습니다. 각자 운용하는 네트워크 망 트래픽 분석과 통계 작성 등 개인의 업무량에 VOC 담당까지 맡으려니 불만이 제기되었고, 모두가 꺼려 하는 VOC 전담을 맡겠다고 자원하였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의 모든 무선망 VOC는 저에게 인입되었고, 파라미터 조정으로 인한 특정지역 및 장비 등 VOC의 원인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로 인해 신속한 응대와 함께 전체 네트워크 품질 지표를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저를 비롯한 TF 원 모두가 업무 강도에 따라서 기피해야 할 일이 아닌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해야 하며, 이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큰 원동력이자 목표를 달성하고 난 이후에도 조직을 더욱 단단하게 잡아주는 힘이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국내 통신사 네트워크 부문 상용망 운영 및 관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의 무선 음성 호처리 장비를 운영하며, IPv6 및 가상화 신규 장비 도입 및 상용화 검증 시험 등에 참여하였습니다. 국제 통신 규격 프로토콜과 자사망 예외 처리 등 무선 코어망, VoLTE 음성 데이터 및 부가서비스 망 운용 업무 경험이 있습니다.
1.자기소개 저는 직접 만든 '무언가'로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주는 일을 좋아합니다.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을 바꾸고, 그래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마음껏 "왜?"라고 질문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각자 스킬을 가진 사람들과 서비스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저는 문제를 잘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바로 실행하는 실행력을 갖고 있습니다. '문제 발견 → 해결책 고안 → 추진'의 사이클을 다양하게 경험하면서, 1) 비즈니스 목표 파악 2) 사용자의 행동과 니즈 파악 을 통해 솔루션을 엮어내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주도적인 태도로 끝까지 책임지는 태도로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소비자의 행동을 보고 문제 해결하기] 뉴욕의 팟캐스트 방송국 Talk Radio NYC에서 첫 인턴을 했을 때, 쇼를 알리고 청취자와 소통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방송 모습을 찍고 SNS를 운영하다가, 몇 가지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실시간으로 호스트가 전화 연결을 하거나 게스트와 이야기할 때 청취자 수가 확실히 높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진행이 있는 쇼와 없는 쇼 사이에서도 격차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더 후킹하고, 소통이 강조되는 콘텐츠를 만들면 청취자 수가 늘어날까?'라고 고민해봤습니다. 게다가 이건 Boss와 소통하며 들었던 목표 - 청취자 수를 높여서, 호스트를 더 유치하려는 것 - 과도 같은 방향의 고민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때부터 트위터의 트렌딩 해시태그를 적극 활용해 콘텐츠 노출 수를 높이고, 사진 대신 라이브 비디오를 중심으로 채널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처음 듣는 청취자들의 온보딩을 위해 쇼 주제를 알리는 가벼운, ever-green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결과는 점점 놀라웠습니다. 우선 실시간 청취율이 20%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쇼 호스트 중 소셜미디어 대행사를 운영하던 CEO에게 같이 일하자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광고주를 위한 제안서 작성을 하면서, 광고주의 문제를 파악하고 유저를 분석하기 위한 Tool을 제안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련의 과정에서 저는 '회사가 느끼는 문제'와 '사용자가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파악하여 솔루션을 제안하는 일에 열정을 갖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보고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경험 공유 서비스' 리드미에서 인턴 당시 Google Analytics를 활용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습니다. 그 때 타 서비스와 신규 제휴를 맺어 방문자 수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퍼널별로 분석한 결과, 트래픽에 비해 회원 가입 전환율이 낮다는 문제를 도출했습니다. 그리고 회원 가입 중 2단계에서 가장 이탈이 높다는 사실을 팀에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 중 이탈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과 실행을 담당했습니다. 이탈 발생 이유에 대해 추론하고 10명의 VOC를 직접 들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정보 입력을 귀찮게 인식한다'는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해당 페이지에 '프로필을 완성한 예시를 볼 수 있는 팝업 추가' 아이디어를 발전시켰고 개발 이후 회원 전환율이 30% 증가했습니다. [구조의 문제를 보고 0에서 1을 만들기] 유니버설뮤직코리아에 입사하고 채널 관리 업무를 맡았을 때, 광고 운영에서 두 가지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1. 어떤 아티스트, 어떤 음악에, 어떤 콘텐츠로 광고를 집행했는지 데이터가 쌓이지 않았습니다. 2. 연 10억 가까운 비용을 지출함에도 광고에 대한 효과 분석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콘텐츠 제작자와 SNS 운영자가 분리되어 있고, 콘텐츠 제작자가 구글 시트에 콘텐츠 업로드 요청과 광고 요청을 같이 메모장에 기입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사와 계약을 추진하여, 연간 계약을 맺었습니다. 또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값을 데이터로 쌓을 수 있는 시트를 마련했습니다. 콘텐츠 제작자 - 광고 담당자 - 대행사 간의 데일리 업무 프로세스와 리포팅 방식을 정했습니다. 매월 지출 비용과 음원별 콘텐츠별 퍼포먼스 리뷰를 진행하여, 6개월 뒤에는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내부 컨센서스와 업무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에서 전혀 무명이던 13개 트랙에서 유의미한 매출을 발생시켰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요청 대시보드를 바탕으로 자동 집행하는 환경을 대행사와 개발하여 운영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개선 → 커뮤니케이션' Loop를 여러 번 거쳤으며, 대표적으로 대시보드의 데이터 필드값을 필수적인 것으로 간소화하고 사용 규칙을 정해 커뮤니케이션하였습니다. 또한 광고 비승인 건에 대한 알람을 수동으로 1:1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의 불편함을 파악하여, 슬랙을 통한 자동 알람을 마련하고 제공했습니다. 이처럼 저는 발견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해결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시너지를 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카카오에서 발휘할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입니다.
인기 활동 리스트 보러가기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Spigen Inc
NHN링크
키노라이츠